학습장애 - 의미단위 띄어읽기 전략, 읽기이해, 학습부진, 읽기능력, 읽기유창성
임미라 외 (2017). 의미단위 띄어읽기 전략교수가 읽기이해 부진 학생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장애연구, 14(2), 71-94. ① 읽기 · 국어 및 다른 과목의 학습을 위한 주요 수단 · 생활 전반에도 영향 어려움을 겪는 경우 단어해독 · 인쇄물을 소리로 전화하는 과정 · 구두읽기를 위한 처리과정 난독증 언어학습장애 읽기이해 · 단어, 문장, 담화 등을 해석하는 과정 특정 이해 결함 (읽기이해 부진 학생) ② 마태효과(Mattew effects) · 읽기를 잘하는 학생은 더욱 잘할 수 있음 · 읽기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은 점점 더 읽기를 잘하지 못하게 됨 - 낮은 기대, 제한된 연습, 낮은 동기로 연결 ③ 읽기 유창성과 읽기이해 · 유창해야 자신의 에너지를 읽기이해에 쏟을 수 있음 - 빠르고..
2017. 10. 29.
초기아동기 - 읽기이해, 글자판별, 단어재인, 읽기, 음운인식
정동영 외(2017). 초기 아동기의 읽기이해에서 글자판별과 단어재인의 역할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0(2), 243-260. ① 읽기 · 글을 읽고 의미를 이해하는 것으로 모든 학습의 토대 · 읽기 이해 - 단어 문장 및 텍스트의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 · 읽기 지도의 목표 - 높은 수준의 읽기 능력에 도달하여 글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이해하고 즐기게 하는 것 ② 읽기 관련 요인 · 낱자의 변별, 자소 및 음소의 대응 규칙에 대한 이해, 자모 체계의 원리 이해, 글자의 개념과 구조에 대한 이해, 단어의 개념 이해, 단어 재인 기술, 기억과 추리 기술, 독해 기술, 효율적 읽기를 위한 초인지적 기술 등 ③ 초기 아동기의 읽기 발달 · 글자판별 - 읽기 과정에서 최초의 단계 - 한 글자를 일련의 ..
2017. 9.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