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이 나의 행동을 조절
내가 했던 행동으로 자부심을 느끼게 되면 비슷한 행동을 또 하고 싶어짐
나쁜 행동을 해서 수치심이나 죄책감을 느끼면 그 행동을 다시 하지 않으려고 함


코르티솔(스트레스 호르몬) 측정을 통해 아이의 스트레스 수치를 정확히, 시각적으로 볼 수 있음


두 가지 불안정 애착

 - 회피형으로 이 아기들은 가정에서 양육자를 통해 감정을 조절할 수 없다는 것을 학습하고 어린 나이에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성향이 생김
 - 저항애착은 아기가 엄청나게 화가 나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화는 엄마의 관심을 얻으려는 일종의 전략, 부모가 바쁘거나 미숙하거나 무관심해서 아기에게 필요한 것을 충분히 제공해 주지 않을 때 아기가 필요한 것을 얻기 위해서는 불만을 크게 표시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기 때문

 

화를 잘 참으면 감정 조절을 잘 한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이것은 큰 오해임

 

감정을 잘 조절한다는 것은 무작정 참기만 하는 것도 아니고 과잉 분출하는 것도 아님

자신의 감정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간에 그것을 잘 인식하고, 다른 사람들이 수용할 만한 방법으로 표현하는가, 더 나아가서 그런 부정적인 감정을 어떻게 나름대로의 방법을 통해 긍정적인 감정으로 돌려놓을 수 있는 사람이 감정조절능력이 뛰어난 사람


아이들이 우는 것은 자기의 부족한 감정조절능력을 도움받기 위해서 양육자에게 보내는 메시지
결과적으로 아이들은 '필요한 것을 다른 사람을 통해 얻을 수 있다'하는 마음의 상태가 축적됨

 

스트레스 상황, 자기가 이해할 수 없는 어떤 당황스러운 상황에서 주로 보이는 감정 조절 전략들

 

 - 회피반응 (눈 돌리기, 딴 짓 하기)
 - 자기 기분을 스스로 조절

 

보통 아이들이 정서적으로 지나치게 각성되거나 또는 안정감이 빨리 돌아오지 않으면 인간의 제한된 에너지 내에서 많은 부분을 정서조절능력을 채우는 데 씀

 

 - 아이는 양육자를 통해 감정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함

 

3~4개월~12개월까지가 아기의 정서발달에 중요한 시기

 

아이가 줄을 당겼을 때 반응이 있다가 없어진 경우 2가지 반응

 

 - 아이들의 분노 반응은 어른들이 느끼는 종류의 분노와는 다름, 분노가 아닌 강한 의지의 표현, 끈기가 있음, 좋은 현상임
 - 슬픔의 표현은 좌절을 표현

 

자기 자신에 대한 개념을 갖게 된 다음에는 새로운 감정이 나타남

 

 - 당혹감은 타인 시선의 대상이 될 때
 - 공감은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볼 때
 - 부러움은 타인이 소유한 것을 갖고자 할 때

 

아이들은 자신이 해낼 수 있는 일들이 많아지게 됨
독립심이 생기고 자기 스스로 뭔가를 해보고 싶은 욕구가 굉장히 강해짐
하지만 그것이 좌절됐을 때, 그 좌절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아직 잘 가지고 있지 못함
그래서 그런 좌절을 분로로 표출하게 되고 떼를 쓰며 화를 내게 되는 것

욕구를 지연할 줄 안다면, 지금은 잘 못해도 궁극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

 

감정조절능력이 잘 발달한 아이들은 불편한 상황에서 나올 수 있는 부적절한 반응을 잘 억누를 수 있으며 현재 자신의 솔직한 심정을 드러내면 상대방의 기분이 어떨지 이해할 수 있는 것


부모의 양육방식, 상호작용 방식, 부모의 감정조절능력(부정적인 정서를 원래 상태대로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는 능력)이 중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