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긍정적 행동지원3 자폐성 장애 -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 PECS, 긍정적 행동지원 한은선 외(2016).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행동분석·지원연구, 3(2), 17-41. ① 자폐성 장애 · 사회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적인 결함 · 소통의 어려움은 문제행동으로 표출 ②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 (PECS) · 의사표현기회를 확대시킬 수 있음 · 교사와 학생 간 신뢰가 쌓여 수업참여도 높아짐 · 선호물 파악 중요 ③ 긍정적 행동지원 (PBS) · 문제행동의 기능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개인의 독특한 사회적, 환경적, 문화적 배경에 적합한 종합적인 중재를 고안하는 문제해결 접근방법 · 문제행동 - 배경/선행사건 중재, 대체기술교수, 후속결과 중재 ④ 기능평가 · 일화기록, ABC 분석 활용 ⑤ 검사도구 ·.. 2017. 12. 19. 자폐스펙트럼 - 긍정적 행동지원, 부적응행동, 수업참여행동 김선희, 이성봉(2015).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초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행동분석·지원연구, 2(1), 23-38. ① 학교의 기능 · 학생이 접하는 작은 사회, 성인이 되어 사회에 나가기 전 예비 학습을 담당 · 학교에서의 교육: 학업적 측면, 예의범절 및 바른 생활습관 형성 · 특수학교: 학생의 부적응행동 감소 및 친사회적 행동 증가에 초점을 맞추는 교육이 필요 ② 아동낙오방지법 (NCLB, 2001) · 교사가 교실 수업에서 과학적 기반의 방법론을 적용하도록 규정 · 과학적으로 성과가 입증된 증거기반의 실제를 적용해야 함 ③ 긍정적 행동지원(PBS) ·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예방, 친사회적 행동의 형성 및 일상생활에서의 일반화 · 문제행동을 하는 .. 2016. 2. 24. 긍정적 행동지원 박은수, 김은경(2015).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유아들의 친사회적 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행동분석·지원연구, 1(1), 59-81. ① 유아기 ·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관계에 내재해 있는 친밀감과 갈등을 경험, 사회적 기술을 배우는 시기 · 유아기 문제행동(비순응, 자리이탈, 수업방해, 다른 유아에 대한 배척행동)은 고착화되지 않은 경우가 많음 · 발달단계에 따라 문제행동이 쉽게 변화될 수 있는 최적의 시기이므로 조기중재는 필수 ② 유아를 위한 행동중재 · 문제행동이 발생하는 환경을 수정 · 문제행동이 발생하기 이전에 적극적으로 예방하는 전략이 필요 · 예방적인 성격이 강조 · 중재의 시기가 빠를수록 효과적 ③ 전통적 중재의 한계 · 문제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문제를 찾아내고 소거.. 2016. 2.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