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숙 (2015). 유아의 그림 표상 재 기술에 미치는 실행기능의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4(2), 183-205.

 

그림

 

· 그림의 내용을 어떻게 바꾸는지 분석하면 머릿속 표상의 유연성을 제약하는 측면을 알 수 있음

· 그림은 선천적으로 영역 특수하게 발달

· 발달 초기 그림은 암묵적으로 표상, 점차 그림에 익숙해지며 의도적으로 조작하게 됨

· 5세 정가 되면 그림의 요소를 갖추어 사람, , 동물 등을 그리게 됨

 

표상 재 기술

 

· 표상된 정보들을 되풀이해 다시 표상하여 변화시키는 과정

- 한 영역에 대한 암묵적인 지식이 표상 재 기술을 통해서 재 표상되고 분석되어 여러 수준으로 추상화되고 말로 설명할 수 있는 명시적 지식으로 변화

 

내적 표상의 4개 수준

 

암묵

· 외적 정보를 순서를 가진 절차 형식으로 부호화

· 새로운 표상들은 각각 분리되어 저장

· 표상들 간 연결이 순차적 형식을 취함

· 명시 수준들은 암묵 표상을 재 기술하여 얻어짐

명시1

· 암묵 수준의 표상보다 융통성이 있음

· 생각은 가능하나 의식적으로 접근하거나 언어적으로 보고할 수 있지 않음

명시2

· 표상들에 의식적인 접근이 가능

명시3

· 언어적 보고 가능

 

· 알고 있다고 착각하는 어렴풋한 지식인 암묵 지식이 재 기술을 통해 여러 수준의 명시적 지식을 거쳐 완전한 지식으로 변화

 

실행기능

 

· 고차원적인 사고기능이며 공간 및 시간의 조직, 선택적 억제, 목표 달성 계획, 인지적 유연성과 관련된 독특한 인지능력

- 주의집중, 계획세우기, 책략 수립, 충동 조절과 자제 능력, 시간 관리 등

· 실행기능이 증진된다면 표상 변화에의 경직성을 극복하여 표상의 재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실행기능 과제

 

· 낮과 밤 과제

- 낮은 해, 밤은 달을 아는지 확인

- 달과 별이 그려진 검정 카드는 낮으로 대답하기

- 노란 해가 그려진 흰 카드를 보여주는 밥이라고 대답하기

 

· 양과 사자 과제

- 유아에게 선택적으로 명령한 행동을 통제하도록 요구하는 과제

- 10가지 행동 모방하기

(혀 내밀기, 귀 만지기, 입 만지기, 눈 만지기, 박수 치기, 발 구르기, 머리 만지기, 배 만지기, 눈 만지기, 손 흔들기)

- 착한 양과 나쁜 사자 소개

- 착한 양이 말하는 것은 따라하고 나쁜 사자가 말하는 것은 따라하지 않기

- 착한 양이 말하는 것은 작은 목소리로 나쁜 사자가 말하는 것은 크게

 

· 카드 분류하기

- 처음에는 한 범주(모양)로 분류, 다음에는 다른 범주()으로 분류하도록 요구

- , 두 번째 분류에서는 첫 번째 분류를 억제하도록 요구

- 예를 들어, 빨간 차, 파란 차, 빨간 배, 파란 배가 있다면 처음에는 차끼리 분류하기, 두 번째로 색끼리 분류하기

 

· 속삭이기 과제

- 자빌작으로 목소리 낮추기를 요구하는 과제

- 유아는 자신의 이름을 속삭임, 캐릭터 10개의 이름을 속삭이기 (6개는 익숙한, 4개는 익숙하지 않은 캐릭터)

- 익숙하지 않은 캐릭터의 이름을 속삭이다가 익숙한 캐릭터가 나온다면 목소리가 커질 것임

 

그림 그리기 과제

 

· 사람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사람, 머리가 두 개인 사람

· ,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집, 날개가 달린 집

 

언어화 훈련

 

· 행동을 하기 전 계획하고, 행동에 대한 이유와 행동결과를 이야기 해보도록 하여 자신의 표상에 말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함

· 언어화 훈련을 위한 그림 과제

- 몸의 한 부분을 다르게 그리기(, 네모 머리)

- 몸의 한 부분을 많이 표현하기(, 여러 개의 손가락)

- 몸의 어느 부분을 없애기(, 팔 없는 사람)

- 몸의 한 부분이 엉뚱한 곳에 붙어있게 그리기(, 머리에 다리가 붙어 있는 사람)

- 동물의 몸 한 부분을 첨가하기(, 날개가 있는 사람)

· 언어화 질문과 지시내용

상황

번호

질문내용

그림 과제를 말해 주면서

1

무슨 그림을 그리는 거니

2

어떤 그림을 그릴거니

3

무얼 먼저 그릴거니

그림을 그리는 중간에

4

어떤 것은 그리고 있니

5

무엇을 생각하며 그리고 있니

그림을 그리고 난 뒤에

6

어떤 그림을 그린거니

7

이 그림에 대해 이야기 해 줄래

 

그림 표상 분류 기준

 

· 9. 참조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이현진 외(2016). 의사소통 조망수용: 자기중심적 편향성과 실행기능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9(4), 81-100.

 

인간

 

· 인간은 사회적 동물

- 인간의 삶에서 타인과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함축

· 인간의 의사소통

- 자신의 생각, 의도를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능력

-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

- 상대방의 지식, 사고, 감정 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 (조망수용)

 

의사소통 조망수용의 발달

 

· 발달적 관점에서 의사소통 조망수용에 대한 주요 쟁점은 자기중심성

 

Piaget

· 타인의 조망을 수용하는 능력은 타고 나는 것이 아니라 발달과 더불어 갖게 되는 기술

· 반박

- 어린 아동들이 반드시 자기중심적 의사소통만을 하는 것이 아님

- 성인도 의사소통에서 자기중심적 편향성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않음

Keysar

· 성인도 의사소통에서 자기중심적 조망수용을 함

- 아동과 성인 모두 자기중심적 편향성을 디폴트로 가지고 있음

- 적절하지 않은 상황에서 성인은 아동보다 효율적, 빨리 타인의 조망을 취함

Epley

· 의사소통 조망수용의 이중처리과정

- 자동적 처리과정과 통제적 처리과정

· 자동적 처리과정

- 자기중심적 처리과정 (디폴트)

· 통제적 처리과정

- 상대방의 조망으로 전환되는 것

Tanenhaus

· 조망수용 초반에 자기중심적 편향성을 보인다는 연구에 대하여 반박

·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두 가지 정보

- 공통기반 정보, 특혜기반 정보

· 공통기반 정보

- 청자와 화자가 모두 알고 있는 정보

· 특혜기반 정보

- 청자나 화자 중 어느 한 명만이 알고 있는 정보

· 상대방의 조망을 수용할 수 있다면 상대방이 어떤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여부를 분별하여 보다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 것

 

의사소통 조망수용과 실행기능 간의 관계

 

· 의사소통 조망수용에서 나타나는 개인차를 다른 인지능력과 관련해서 설명

-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우세한 자기중심적 조망을 억누르고 상대방의 조망을 수용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 능력은 실행기능에 포함

- 실행기능은 사고나 행동을 의식적으로 통제하는 고등한 인지 기술

 

억제통제

· 간섭을 일으키고 산만한 자극이나 부적절한 행동을 억제하고, 또는 덜 우세한 반응을 활성화하기 위해 우세한 반응을 억제하는 능력

작업기억

· 단기기억에 유지되고 있는 정보에 대해 정신적 조작을 가할 수 있는 능력

주의전환

· 특정 반응이나 특성에 대한 주의를 다른 반응이나 특성으로 전환하는 능력

 

· 억제통제가 조망수용을 유의하게 예측

 

의사소통 조망수용과 문화

 

· WuKeysar (2007)

 

동아시아 문화

서구문화

· 집단주의 강조

-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의무를 중시

- 자신을 정의할 때에도 사회적 역할을 강조

· 개인주의적 사고 지향

-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자신 고유의 성격, 능력, 성취들을 주로 언급

· 집단주의 문화권에서 자란 학생들이 개인주의 문화권에서 자란 학생보다 다른 사람의 조망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였고, 타인의 조망을 자신의 조망과 혼동하는 일이 적었다고 보고

· 동양권 아동이 서구권 아동보다 억제발달이 먼저 발달

 

실험 과제

 

· 의사소통 조망수용 과제

- 특혜기반 정보조건 + 공통기반 정보조건

· 실행기능 과제

 

아동용

성인용

억제통제

· 깃발 과제

- 색깔에 반대되는 행동

- 행동에 반대되는 행동

- 색과 행동 모두 반대되는 행동

· 스트룹 과제

- 숫자와 숫자의 개수가 일치하는 조건

- 숫자와 숫자의 개수가 불일치하는 조건

- ‘$’가 제시되는 조건

작업기억

· 거꾸로 말하기 과제

- 단어 거꾸로 말하기

- 숫자 거꾸로 말하기

· n-back 과제

- 화면에 나타난 철자가 직전에 나타났던 철자와 같은지 다른지 구분

- 역의 과정이 증가될수록 기억에 담고 있어야 하는 부담이 커지는 과제

주의전환

· 카드분류 과제

- 모양이 같은 것

- 색깔이 같은 것

- 검은 테두리 유무

· 숫자-철자 분류 과제

- 화면에 숫자와 철자가 제시되면 그것들을 둘러싸고 있는 프레임의 색깔에 따라 반응을 달리하는 과제

- 빨간색은 철자에 반응하고 더 나아가 모음과 자음인지 구별

- 파란색은 숫자에 반응하고 더 나아가 홀수, 짝수인지 구별

 

논의

 

· 의사소통 조망수용

- 성인은 특혜기반 정보와 공통기반 정보를 구별하여 정확한 반응을 보였으나 아동은 그렇지 못함

· 의사소통 조망수용 초기 단계에서 자기중심적 책략을 사용하는 이유

- 자기중심적 책략이 자동적이고 최소한의 인지적 노력을 요구하기 때문

· 아동과 성인 모두 조망수용과 실행기능의 관련성이 확인됨

- but, 관련성은 실행기능의 하위능력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여줌

- 억제통제만이 자기중심적 조망에 근거한 수행을 예측

 

의사소통 조망수용에 대한 억제통제의 예측 가능성

 

· 이중처리 모델로 설명

- 억제처리과정에 들어설 때 디폴트로 작동하던 자기중심적 조망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

- 억제통제가 충분히 발달되지 않으면 자기중심적 조망에 근거한 반응을 억제하기 어려움

- 예를 들어 실험에서 작은 경찰차라는 말을 들으면 작은이라는 단어에 근거하여 가장 작은 경찰차에 자동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다가 이 경찰차가 상대에게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면 이 주의를 억제해야 함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위지희 (2017). ADHD 아동과 기분장애 아동의 실행능력 비교. 학습장애연구, 14(1), 149-164.

 

실행기능

 

· 전전두엽이 담당하는 고위인지 과정

· 인지, 정서, 행동기능을 조절하고 방향을 안내

· 행동의 개시, 계획세우기, 가설 형성, 인지적 융통성, 의사결정, 판단, 피드백을 이용하는 능력, 상황과 맥락에 적절하게 자신의 행동과 정서를 조절하는 자기-조절능력

· 여러 가지 복잡한 정보를 가용한 상태로 활성화시켜 유지하고 동시에 처리하는 작업기억, 오류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자기-교정 역할

· 일반 지능과는 달리 보다 고차원적인 사고와 행동을 조절하는 능력을 의미로 일반 지능과는 다른 개념

· 지능검사로는 측정 할 수 없고 대부분 신경심리검사를 통해서 측정이 가능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문제를 해결해가는 일련의 행동을 유지해 가능 능력

· 계획, 행동의 결정, 목표 설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속적인 행동의 관찰과 변화 등의 특수한 행동을 포함

· 억제가 실행기능의 핵심적인 요소

· 전두엽 손상 환자, ADHD, 자폐성 장애, 아스퍼거 장애, 뚜렛장애, 강박장애, 품행장애, 학습장애, 불안장애, 우울장애

 

억제

 

· 억제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

- 억제되지 못한 반응, 보속 반응, 빈약한 간섭 통제

- 언어적, 비언어적 작업 기억의 손상 및 미숙한 자기 통제 능력, 재구성 능력의 손상, 운동 통제 및 유창성의 저하 등을 보이게 됨

 

실행기능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 보이는 특징

 

· 학업적 성취에 대한 동기가 부족

· 충동적, 언쟁적, 융통성이 부족

· 적절한 선택과 판단의 어려움

 

실행능력 측정 검사

 

· WCST

· stroop test

· 아동용 Kims 전두엽 관리 기능검사(EIQ)

- 스트룹검사, 단어유창성, 도안유창성, 인출효율성

- 양적점수: 얼마나 오류가 없이 잘 반응하였는가

- 질적점수: 양적 점수를 활용하여 전두엽 기능 손상을 반영

- 일반지능(FIQ)와 관리지능(EIQ)의 차이가 많이 날수록 전두엽 관리 기능이 저조

 

결론

 

· ADHD 아동은 우울, 불안 등의 문제를 가진 아동에 비해 시행기능이 저조

· ADHD 아동은 기분장애 아동에 비해 외부 간섭 자극에 억제하는 능력이 부족

- 간섭 시행(불필요한 자극을 억제하는데 결함), 빠진 곳 찾기(사물의 본질과 비본질을 구분하는 능력, 부주의 문제를 측정)

- 빠진 곳 찾기 검사는 ADHD를 감별해주는 중요한 지표

- 상황의 중요한 부분과 덜 중요한 부분을 변별하는 능력이 부족하고 부주의한 면이 많음

· ADHD 아동은 기분장애 아동에 비해 오류 억제 능력이 부족

- 외부 간섭 자극을 적절히 억제하지 못함

- 자기 본위적으로 상황을 지각하여 상황의 핵심을 잘 파악하지 못함

- 언어성 지능을 대표하는 상식 수준에 비해 단어 유창성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남

- 이는 일반 지능에 비해 실제 언어적 문제해결 상황에서 사고의 유연성 및 융통성을 발휘하는 어려움이 있는 것을 시사

· ADHD 아동이 일반 지능은 평균을 유지하고 있으나 이에 비해 관리지수가 평균이 미치지 못하는 아동이 많음

· 실행기능의 결함문제는 ADHD 아동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문제

- EIQ-FIQ의 차이 지표가 실행기능의 결함 문제를 진단할 수 있는 지표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김홍근(2003). 지능검사와 신경심리검사는 무엇이 다른가.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2(1), 141-158.

 

지능검사와 신경심리검사

 

· 인지검사라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유사한 검사

· 측정의 목적(왜 측정하는가?), 측정의 방법(어떻게 측정하는가?), 측정의 영역(무엇을 측정하는가?) 중 목적이나 방법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축정의 영역에서는 명확한 차이를 보임

지능검사

· 주의, 언어, 시공간기능 측정

신경심리검사

· 주의, 언어, 시공간기능, 기억, 관리기능(집행, 실행기능) 측정

 

검사의 배경

 

지능검사

· 교육심리학, 응용심리학

신경심리검사

· 신경심리학, 기초심리학

 

검사의 사용

 

지능검사

· 웩슬러 검사가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됨

신경심리검사

· 압도적으로 쓰이는 배터리가 없고 여러 방식이 공존

· 기성배터리가 아닌 검사자 스스로 소검사들을 모아서 구성한 사적 배터리를 사용

 

측정의 목적

지능검사

· 인지기능의 측정

신경심리검사

· 인지기능의 측정 + 뇌기능의 측정(현재의 임상적 현실과는 부합X)

- 뇌손상의 유무, 정도, 위치를 진단

- 기질적과 기능적 이상을 변별

- -행동의 관계를 규명

· 뇌영상의 등장으로 뇌기능을 측정하는 도구로서의 효용성을 상실

- CT, MRI, PET

· 신경심리검사가 CT, MRI에 비하여 뇌이상에 보다 민감성을 보이는 경우도 있음

- Alzheimer 환자의 경우 신경심리검사에서는 기억감퇴 등의 인지적 변화가 명확히 관찰되지만 CT, MRI에서는 뇌이상을 입증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빈번함

· 뇌손상의 유무, 영역,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신경심리검사는 X

· 인지기능손상의 유무, 영역,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신경심리검사는 O

 

측정의 방법

 

· 최근 지능검사배터리의 일부인 소검사들과 그 외의 인지소검사들을 구태여 구분하지 않고 있음

· 지능검사배터리에 속하는 소검사도 신경심리소검사라는 입장이 점차 입지를 넓혀가고 있음

- 굳이 차이를 찾는다면 방법적인 측면 보다는 표준화에서 찾을 수 있음

- 지능검사 소검사들은 규준이 잘 갖춰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그 외의 인지소검사들은 규준이 아예 없거나 부실한 경우가 많음

 

측정의 영역

 

· 주의, 언어, 시공간기능, 기억, 관리기능

 

 

· 지능검사와 신경심리검사의 가장 현저한 차이점을 후자가 전자에 비하여 보다 종합적인 인지검사라는 점

· 지능검사에는 기억, 관리기능이 측정되지 않음

 

관리기능(집행기능, 실행기능)0

 

· 인지기능 중 최상위의 고위영역을 지칭

· 인지적 유연성, 창의성, 계획력, 추상적 사고, 통찰력, 논리적 사고, 판단력, 충동 억제력 등

· 관리기능의 손상은 임상적으로 전두엽이나 그와 밀접히 관련된 구조가 파괴된 환자에서 가장 현저함 (전두엽검사 = 관리기능검사)

· 관리기능의 측정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이유

- 관리기능은 상위기능이라는 속성상 손상 시 환자의 적응행동에 매우 광범위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 관리기능의 손상은 신경학적 질환은 물론 주요 정신병(정신분열증, 우울증)이나 주요 발달장애(ADHD, Autism)등 광범위한 질환에서 관찰됨

· 확산적 사고나 유동적 지능의 검사들이 관리기능검사로 활용되고 있음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