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uwon-i.co.kr

김경양 (2016). Eye tracking 기법을 적용한 AAC 중재가 지체중복 장애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9(4), 181-211.

 

AAC

 

· 구어에 어려움이 있어 의사소통이 제한된 경우에 이를 보완하고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

· 의사소통능력, 수업참여 행동, 문제 행동 감소 등에 효과

· AAC 사용자의 의사소통 또는 차례 주고받기와 대화 및 상호 교환 능력을 증진하는 것이 중요

 

의사소통 발달 단계

 

· 각각의 단계는 의사소통 수단과 의도성을 축으로 구분

전의도적 단계

· 비상징적 방법과 반사적 행동(: 배고프면 울기)를 사용하고 의도성을 갖기 이전 단계

초기 의도적 단계

· 비상징적 방법(: 원하는 물건을 손으로 가리키기)로 소통하고 의도성을 갖는 단계

의도적 단계

· 상징적 방법(: 목이 마르면 물을 달라고 함)으로 의사를 표현하고 의도성을 갖고 언어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단계

 

· 차례 주고 받기(Turn-talking)에서의 차이가 있음

- 순서에 따라 대화상대방과 동일한 주제와 맥락 내에서 순서를 지켜가며 의사소통을 차례로 주고 받는 것을 의미

전의도적 단계

· 주고 받기가 나타나기 이전

초기 의도적 단계

· 단일 교환 가능하며 학생은 의사소통 시도에 반응

- 예를 들어 성인이 무엇을 마시고 싶은지 물었을 때 마시는 상징을 건냄

의도적 단계

· 상호관계가 확립되어 2번 이상의 의사소통 교환에 참여

· 점차 복잡한 대화 수준의 교환으로 발전

· 단일 상징(: 1가지 상징)을 사용하는 것에서 간단한 상징을 조합(: 2가지 상징을 조함)하거나 복잡한 상징(: 3가지 이상의 상징을 조합)을 조합하는 수준으로 의사소통 능력이 증진

 

AAC 사용자의 효율적인 사용 속도

 

· 검색시간과 키를 누르는 시간이 빨라야 함

· AAC 사용자의 차례주고받기와 속도가 느린 이유는 AAC 기기에서 원하는 요소(: 어휘, 상징)을 선택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

· AAC4가지 구성요소(상징, 기기, 전략, 기법) 중 전략과 기법에서 고려가 필요

 

 

Eye Tracking 기법

 

· AAC 사용자의 직접 선택방법의 하나

· Eye tracking이란 눈의 초점이 정확히 어디에 있는지 기기가 알 수 있는 감각 공학

· 눈을 추적하여 사용하는 Eye tracking 기법은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며 사람의 관심과 행동을 돕는 방식

· 컴퓨터 화면에서 눈이 어디를 포인팅하는지 정확히 알아서 손이 없이도 컴퓨터와 주변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

· http://www.tobii.com/group/about/this-is-eye-tracking

· http://news.donga.com/3/all/20141220/68648844/1

· http://www.tobiidynavox.com/software/sensory-eyefx/

· eye tracker는 카메라, 프로젝터, 알고리즘으로 구성된

- 먼저 프로젝터가 적외선 불빛을 안구에 비추며 패턴을 만들고, 이때 카메라가 사용자의 안구 패턴과 특징을 프레임 내에서 높은 비율을 측정한

- 이후 이미지 알고리즘이 사용자 안구의 특징과 반사 패턴을 찾아서 컴퓨터 화면에서 사용자의 적합한 자세와 위치, 패턴을 조정

 

효과

 

· 의사소통 능력의 증진, 자기결정 증가

· 차례 주고받기 횟수 증진, AAC 기기를 사용하는 속도 향상, 과제 완성도(독립성) 증진

 

참조

 

· 정보통신 기기 지원사업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한경근, 박찬우(2016). 의사소통장애 아동을 위한 AAC 중재에 시각장면 디스플레이(Visual Scene Display)적용을 위한 탐색.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9(4), 213-234.

 

언어

 

· 인간의 언어능력은 개인의 인지, 사회성, 운동, 감각과 서로 영향

· 언어는 사람들 간의 감정, 요구, 정보를 교환하는 사회적 행동이며 말과 언어, 비형식적 의사소통 체계를 포함하는 행위 전체

· 구어(, 언어) + 비구어(몸짓, 표정, 자세)

· 언어의 어려움은 교육과 사회참여에 어려움으로 연결

 

AAC (보완대체의사소통)

 

·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갖는 사람들에게 의사소통을 지원하고,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활용되는 상징, 전략, 도구, 기법에 관한 모든 방법

· 목적은 의사소통의 잠재적 가능성을 높여주고 언어발달을 촉진

· 타인과 상호작용, 교육접근성, 정서적 안정과 사회참여에 긍정적인 영향

·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의사소통 내용을 결정하는 개별화된 핵심어휘의 선정과 적절한 상징체계를 제시하는 것

- 핵심어휘는 AAC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고, 친숙한 것이어야 함

- 의사소통 및 문해력 수준, 인지능력, 연령, 흥미, 동기와 의사소통 목적에 따른 사회적 측면과 맥락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함

- 상징체계는 AAC 사용자의 인지, 신체, 의사소통 시 필요를 고려

· 상징의 분류와 배열

- 문법적 범주: 문법적 구조에 따라 사람, 행위, 수식어 등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메시지 구성

- 의미론적 범주: 계층적으로 상징을 분류

- 환경/활동 중심: 특정한 장소나 활동에 어울리는 어휘를 분류하여 구성

 

시각장면 디스플레이(Visual Scene Display)

 

· 상황, 장소, 개인적 경험, 특별한 일 등이 나타나는 시각장면에 인물, 사물, 행위 등에 핫스팟(활성화 영역)을 설정하여 이를 통해 저장된 메시지가 산출되는 디스플레이

· 개인적인 경험, 일상적인 장면을 나타내는 사진을 메인화면으로 구성

· 기존의 격자디스플레이와 달리 의사소통에 필요한 상징을 하나의 사각장면에 배치

- 사용자의 동기 자극, 상징의 직관성 향상, 다양한 주제의 대화 가능, 다루기 쉬움, 상징의 의미 이해력 향상

 

AAC Technologies 구성요소

 

· 언어개념의 상징, 레이아웃과 조직, 내비게이션, 선택기법, 메시지 산출

 

언어개념의 상징

· 의사소통에 활용되는 상징체계

- 기호, 문자, 그림, 사진

레이아웃과 조직

· AAC 사용자가 의사소통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상징을 볼 수 있도록 배열하는 것

·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결정짓는 요인

네비게이션

· 여러 개의 상징이 배열된 디스플레이에 AAC 사용자가 목표 상징을 찾는 것

선택기법

· AAC 사용자가 AAC 기기에서 원하는 상징을 찾고 이를 선택하는 방법

메시지 산출

· AAC 사용자가 대화상대자에게 전하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방법

- 음성출력(합성음성, 녹음음성), 시각적 출력(컴퓨터 화면 메시지, 인쇄출력, 도구적 상징)

 

AAC 중재 적용을 위한 VSD의 특성

 

· 학령이 이전의 영유아를 대상 (동기 고려)

- 자신이 경험한 일, 자신의 모습이 등장하는 사진, 익숙한 인물과 놀잇감, 일상생활 사진

· 디지털 사진, 그림으로 제시

· 단서 제공

- 기호, 문자, 그림, 음성, 영상, 애니메이션 등을 목표 상징과 동시에 제시

· 조작 메뉴(핫스팟, 메뉴바)제시

· 다양한 의사소통 주제를 포함

- 일상적인 대화, 활동 공유, 사회적 상호작용, 다양한 의사소통(정보교환, 사회적 친밀감 형성, 요수/필요 표현)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함미애 외(2016). AAC 활용 수업에 대한 중도중복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9(4), 63-93.

 

의사소통의 어려움

 

· 인지, 언어, 신체적인 제한으로 구어 및 수신호 체계를 통한 의사소통 기술을 발달시키기 어려움

· 구어를 통한 의사소통의 결함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미래 사회의 독립된 성인으로 살아가는 데 부정적인 영향

 

AAC (보완대체 의사소통)

 

· 구어로 의사소통하기 어려운 사람이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

·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작용 촉진이 목적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 실제의 개선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문서더미만을 만들어내는 전통적인 연구의 문제를 지적

· 실제 사회적 상황과 구성원들 간의 관계 개선을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

· 이론의 가치는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실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느냐에 달려 있음

 

실행연구의 과정

 

· 인식의 어려움(인지 문제), 문제 분석, 계획, 연습, 효과분석, 평가 및 피드백, 수정 계획, 재평가

 

AAC 활용 수업의 의미

 

· 교사의 기쁨과 보람 찾기 (의사소통의 희망)

- 진단의 어려움, 개별화 교육 실행의 어려움, 교육과정 운영 방향에 대한 불확신, 불규칙한 출석률, 학부모의 낮은 교유적 기대

·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가능성 열어주기

-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 능동적 참여, 인내를 가지고 접근

· 좋은 수업 만들기: 무의미에서 의미로

 

AAC 활용 수업의 어려움

 

· 부족과 부실

· 학생 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장벽

- 개별화 교육, 교육과정 수정의 어려움

· 만능이 되어야 하는 교사

 

AAC 활용 수업을 위한 지원 요구사항

 

· 충분히 쓸 수 있는 ACC 도구 지원

· 함께 협력하는 분위기 만들기

· 쉽게 가르치는 교사 지원하기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심소예 외(2015). 신체활동과 인지활동이 경증치매환자의 뇌활성도와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4), 453-469.

 

치매

 

· 기억력의 뚜렷한 손상, 다발성 인지손상(실어증, 실행증, 실인증, 실행기능)

· 인지손상의 정도가 작업적 또는 사회적 기능의 손상을 초래, 이전보다 높은 기능 저하

· 집중력의 저하

- 많은 양의 정보나 자극이 감각 기억에 들어오더라도 소실, 기억력의 저하로 연결

- 문제해결능력과 추론 능력을 유지하는데 영향, 정신적 혼란을 야기, 현실소재 인식을 비롯한 성격변화 및 사고에도 영향

· 수단적 일상생활 활동이 먼저 영향을 받은 뒤,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에도 영향을 미침

· 뇌파의 감소

기억

· 전전두 피질 영역

주의집중

· 후두-측두 영역, 후두-두정 영역, 전전두 피질영역

운동학습

· 전두엽, 측두엽

정신활동 수행

· SMR, 베타파

- 치매노인은 위 2가지 파가 감소되어 있음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증진을 위한 선행연구

 

· 회상치료 프로그램, 시간차 회상훈련과 오류배제훈련, 전산화 인지재활, 현실감각훈련, 신경가소성 이론, 가상현실훈련, 신체훈련, 저항훈련

 

인지기능의 회복기전

 

신체활동

· 신경세포를 성숙시키는 외 성장 인자가 운동유발전자의 기능을 조절하고 신경가소성을 향상시켜 인지기능이 향상된다는 것

· 신체활동을 통해 뇌 혈류를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결과가 인지기능의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도 있음

인지활동

· 기억에 관련된 활동은 기억에 관여하는 대뇌피질의 활성화를 통해 재조직화하여 인지기능이 향상된다는 것

 

중재프로그램 (표 참조)

 

· 신체활동 프로그램, 인지활동 프로그램

 

측정도구

 

· 하세가와 치매척도(HDS-K)

- 간이 정신상태검사(치매선별검사, MMSE-K)에 비해 교육수준과 연령의 영향을 적게 받음

- 무학, 문맹에게 적용가능

· 뇌파검사(EEG)

· 작업수행 측정을 위한 캐나다 작업수행측정(COPM)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이대식 (2015).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의 특징과 발전 방향. 학습장애연구, 12(3), 101-132.

 

학습종합클리닉센터

 

· 기초학력미달 학생 중 학교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정서 및 행동상의 도움이 필요한 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학교 밖 지원 체제를 구축하는 것

· 교육청이나 교육지원청에 교수학습, 심리상담, 특수교육, 학습치료, 사회복지 등 전문가로 구성된 지원팀을 구성, 찾아가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 지원팀의 지원인력은 정서 및 심리 검사 시행 및 활용 지원, 심층 상담, 학습코칭, 병원, 의원 등 지역기관 연계 등의 역할을 수행

 

경계선상학교 지원(기초튼튼행복학교)

 

· 창의경영학교에 지정될 확률이 높은 학교에 학습부진 예방에 필요한 학습보조인력, 인성과 학력이 결합된 프로그램 등을 지원하는 사업

· 창의경영학교란 국사수준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기초학력미달 비율이 초등학교 5%, 중고등학교는 20% 이상이 될 확률이 높은 학교

 

두드림학교 지원사업

 

· 정서행동장애, 학습부진, 학습장애, 다문화, 탈북, 돌봄결여 등 복합적 요인으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부진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단위학교 통합적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

· 단위학교별로 다중지원팀(두드림팀)을 구성하여 학습부진 수준 및 원인진단, 맞춤형 학습지도, 학습상담, 학습코칭, 외부치료, 돌봄 연계 등 맞춤형 지원 등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

· 핵심은 맞춤형 진단 후, 그 결과에 따라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것

· 학교 내 유관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효율적인 지원 체제를 구축하고자 함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 구축 사업

 

· 기초학력미달 학생에 대한 지도를 지도교사 개인의 경험 및 역량에 의존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과학적이고 표준화된 온라인 교수-학습 지도 시스템을 통하여 교사의 업무경감과 기초학력미달 학생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이 목적

· 3~3학년 학생의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 과목을 대상으로 부진 원인 진단부터 보정·관리까지 통합 지원 지원 시스템을 구축한 사업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 사업

 

·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이 높은 학교를 지원하는 사업

 

기초학력향상연구회(동아리) 운영 사업

 

· 수업연구, 학생지원, 자료개발, 정책지원 등 다양한 형태의 기초학력 동아리 활성화로 현장 중심 기초학력 지원 정책 발굴 및 인식 제고가 목적

· 운영방식은 개별학교 중심, 거점학교 중심, 교육청 중심, 학교급간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

 

참조

 

· 인지진단모형(김희경 등, 2013; 송미영 등, 2011)

· 강점기반 학습도음 프로그램 개발(오상철 등, 2011)

· 교육과정중심측정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이애진, 양민화(2015). 학습부진 아동의 기초학습능력과 초기 또래관계의 관계 특성: 사회망분석을 활용하여. 학습장애연구, 12(3), 157-171.

 

관계

 

· 아동은 또래, 부모, 교사 등 아동에게 사회적으로 중요한 타자와의 관계를 맺으면서 그 중요한 타자가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됨

· 다른 사람들이 보이는 자신에 대한 기준과 견해를 내면화하는 과정은 7~8세부터 관찰되며, 중요한 타자의 기준을 무조건 받아들였던 유아기와는 차별되게 현실적인 자기평가를 바탕으로 타인의 기준을 해석하여 내면화시킴

- 이 시기는 가정을 벗어나 학교라는 새로운 사회에 첫 발을 내딛고, 또래라는 새로운 중요한 타자와의 관계를 확장애 나가는 시기

- 학령기에 맺는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는 학생의 자아개념, 학교적응, 학업성취, 학교만족도 등 다양한 요인들에 영향을 미침

 

초등 저학년 시기

 

· 또래관계보다는 교사와의 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침

· 또래관계는 교사 다음으로, 또는 교사만큼 중요한 타자

· 또래관계는 학업성취에 영향, 반대로 학업 성취가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도 있음

 

학습능력

 

· 학습능력이 부족하거나 학령 수준보다 낮은 수행 능력을 가지고 학교에 입학한 아동들은 학업성취에서 좌절을 경험하며, 부적절하거나 방해적인 사회적 행동을 보이고, 이로 인해 또래에게 거절당하게 된다는 것

· 학습실패라는 낙인으로 인해 또래관계에서 거부당하는 경향이 있음

 

사회망분석

 

· 집단 구성원간의 사회적 관계와 상호작용, 구성원의 집단 내 위치 등을 분석하는 기법으로, 집단 내 구성원 간에 나타나는 관계의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음

· 집단 내에서 각 위치를 연결해주는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각 관계의 방향성과 연결정도를 네트워크 도식과 연결 중심성 등 여러 가지 지표로 제시해주기 때문에 학습부진 아동들이 또래와 맺고 있는 관계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수단

· 교우관계는 일방적인 과계가 아닌 집단 내에서 두 명 이상의 아동들이 서로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는 관계

- 집단의 모든 구성원들의 관계를 고려하여 구조적 측면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

 

사회망분석에서 행위자의 연결 중심성 지표

 

· 연결중심성은 한 명의 행위자가 얼마나 많은 다른 행위자들과 연결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중심에 위치할수록 필요한 정보와 자원을 획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

내향 연결 중심성

· 다른 행위자에 의해 선택받는 횟수

· 내향 연결 중심도가 높다.

- 다른 사람들이 관계를 맺고 싶은 대상으로 인식될 만큼 매력이 있거나 인기가 있다는 것

· 내향 연결 중심도가 낮다.

- 접근하려는 사람들이 적다는 것으로 고립될 가능성이 높음

외향 연결 중심성

· 다른 행위자를 선택하는 횟수

· 외향 연결 중심도가 높다.

-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이나 의사소통을하고자 활발하게 활동

- 네트워크상에서 핵심적인 인물이 될 수 있음을 의미

· 외향 연결 중심도가 낮다.

- 네트워크상에서 주변부에 놓이게 되며, 관계 형성에 수동적인 모습을 보임

 

학습장애, 학습부진

 

· 또래와 긍정적인 친구관계를 맺기 어려워함

- 사회성이 낮음,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는데(문제해결력이 낮음) 어려움

- 친구들로부터 비인기학생으로 평가, 친구의 수가 적음, 소외감을 느낌

- 또래관계의 실패로 인해 우울이나 불안 등의 부정적 심리상태를 보임

- 또래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

· 학년이 올라갈수록 또래관계에서 어려움을 더 심각하게 경험

- 초등 고학년, 중학교 시기에 접어들면서 심각한 소외감과 적응문제, 우울증을 겪게 됨

 

검사도구 및 자료분석

 

· 검사도구

- 또래관계 탐색 설문지(또래지명법을 활용한), 한국형 철자발달검사(쓰기 능력 측정), BASA(읽기검사, 읽기이해)

· 자료분석

- 넷마이너 프로그램

 

결과

 

· 기초학습능력과 또래 네트워크의 중심성간의 상관관계

- 아동의 읽기, 쓰기 능력은 내향 연결 중심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으나 외향 연결 중심성과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음

- 내향 연결 중심성(다른 아동이 자신을 지명하는 정도)와 기초학습능력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음

- 외향 연결 중심성과 읽기, 쓰기 능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없었던 이유는 실제로 상관이 없기 때문일 수도 있고, 일반 아동과 학습부진 아동도 또래관계를 맺고자 하는 욕구가 비슷한 수준이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음

 

· 일반아동과 학습부진 아동의 또래관계 특성 비교 결과

- 학습부진 아동들은 일반 아동에 비하여 내향 중심성이 낮았으며, 외향 중심성에서는 두 그룹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학습부진 아동은 적극적으로 또래와의 관계를 맺고자 하는 욕구는 일반 아동과 비슷한 수준이나, 일반 아동에 비하여 다른 아동들이 접근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것이며 소외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

- 학습부진 아동 중에서 소외된 또래관계를 보이는 아동은 발견되지 않았는데, 다른 학습부진 아동들과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남

 

· 이 연구에서 특이한 점은 소외(아무도 지명하지 않고 자신도 젼혀 지명하지 않음)의 관계특성을 보인 3명의 아동이 모두 일반 아동이었다는 것이며 이들 아동들은 모두 읽기 및 쓰기 성적이 상위권에 속함

- 학습능력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학급 내의 교사 및 기타 사회적 역학관계가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시사해 줌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김민경, 박유정(2015). 국내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연구에 나타난 직접교수 중재의 특성 분석. 학습장애연구, 12(3), 173-195.

 

직접교수 (direct instruction, di)

 

· 교사에 의해 주도되는 체계적인 인지 전략에 바탕을 둔 수업

· 그 외 다양한 정의

- 교수의 질과는 상관없이 교사에 의해 주도되는 모든 수업 형태

- 교사 효과 연구에서 효과적인 교사들에 의해 사용되는 교수적 절차

- 교사가 학생들에게 인지 전략을 가르칠 때에 사용하는 교수적 절차

- DISTAR(Direct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Arithmetic and Reading)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교수적 절차

- 교사가 강의 중심의 수업을 제공하고 학생들은 수동적으로 앉아 있는 형태로 기술되는 부정적 의미의 교수적 절차

 

직접교수 (Direct Instruction, DI)

 

· 직접교수(di)의 한 형태로 언급한 DISTAR 프로그램에서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교수방법을 의미하며, 교사-아동 행동 중심의 스크립트 활용과 아동의 능력에 근거한 모둠형성 등의 특성을 지님

 

di & DI

 

di

DI

· 교사 주도의 수업으로 시작하여 학생의 독립적 과제 수행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공통적으로 지칭

· 수업의 형태

- 교사의 설명

- 교사의 주도하에 학생 수행

- 학생의 독립적 수행

· 교사는 소그룹 중심의 모델링, 비계, 피드백, 코칭 등을 제공

· 교사중심의 수업으로 시작하여 지원의 빈도와 강도를 줄여감

· 개발된 특정 교육과정 프로그램/패키지를 지칭

· 프로그램의 전영역과 과정은 스크립트의 형태로 제공

· 특징

- 명시적이고 단계적인 전략 사용

- 각 단계 또는 기술의 숙달에 근거한 수업 진행

- 학생의 오류에 따른 교사의 구체적인 수정 절차 제공

- 학생의 독립적 수행을 위한 교사 지도의 점차적 감소

- 다양한 예시를 통한 충분하고 체계적인 연습

- 새로 학습된 개념의 누적된 복습

- 과제 숙달 여부의 빈번한 평가

- 스크립트 프로그램 특성에 따른 높은 중재/실행충실도

- 고도의 엄격성과 교사 주도의 지시적 언어 등으로 인해 비판을 받음

· 반영될 수 있는 중재요소

- 개별적 연습의 제공, 교사의 시범, 반복적인 피드백의 제공, 학습과제를 나누기, 연습의 반복, 시각적인 자료의 제시, 소그룹학습, 교사의 질문, 새로운(참신한) 자료의 제시

·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전략

- 소리내며 생각하기 기법을 통해 문제 해결과 선택의 과정에 대해 시범보이기

- 학습과제를 세분화하여 제시하된 아동의 숙달에 따라 세분화된 과제를 통합해가는 형태로 제공하기

- 교사가 시범보이는 동안에 단어 카드(cue cards) 활용하기

- 교사와 아동이 상호작용하는 형태로 연습하기

- 완성된 과제를 아동이 시범보일 수 있는 기회 제공하기

· 실행 요소

- 숙달된 교사의 주도

- 소그룹 구성

- 스크립트 기반 수업 진행

- 지속적이고 빈번한 진전도 점검 및 학생 숙달 여부 확인 등

· 핵심적 요소가 되는 교사와 학생 행동에 기반을 둔 스크립트의 구성의 타당성 여부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

- DI 실행 전 교사훈련 여부, DI 실행 동안의 교사 실행 충실도에 대한 점검이 필요

 

직접교수의 실행 요소

 

· 명확한 학습목표 제시, 모델링, 안내된 연습, 개별연습의 기회 제공, 오류교정

 

학습목표 및 활동의 명확화

· 단기적 학습목표 및 단위 수업 시간에 하게 될 학습활동에 대해 명확하게 제시

· 직접교수를 규정하는 핵심적인 요수 중의 하나

· 도입단계에서 제공

- 학생들의 준비도를 높임, 사전지식을 활성화, 동기 유발, 흥미 고취

- 지난 학습의 내용을 요약, 정리해주며 기억을 활성화

- 전 차시 수업에 해당되는 기본 원리를 간단히 상기

- 수업과 관련된 규칙을 기억하는지 확인

교사의 시범

· 안내된 연습 및 학생의 독립연습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

- 일반적으로 교사의 시범 후 곧바로 교사와 함께 연습, 학생 스스로 연습하는 단계, 교정하는 단계를 거침

· 학생이 알고 있는 범위 내에서 충분한 예시를 제공

· 질문전략을 활용함으로써 질문을 통해 계속적인 점검 및 이해도를 체크

- 질문전략은 학생의 참여를 촉진, 학습동기를 고취를 위한 것

· 학생이 집중할 수 있도록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이 중요

안내된 연습 및 독립연습

· 안내된 연습

- 교사는 학생의 수행상황을 자세히 모니터링하여 피드백을 제공

- 교사와 학생은 함께 과제를 수행하면서 교사 시범에서 제시한 학습내용을 반복하거나, 아동의 수행 수준에 따라 추가적 설명을 제시

- 학생의 어려움을 나타내거나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 한 경우, 필요한 지점에서 학생의 연습을 멈추게 하고 교사가 질문을 하는 방법과 부분적인 활동이 완성된 후 질문을 통해 틀린 답을 수정하게 함

------------------------------------------------------------

· 독립연습

- 교사의 도움 없이 학생 스스로 학습 과제를 수행

- 교사는 함께 과제를 수행하지 않고 학생이 과제 수행에 어려움을 겪을 때에만 개입하여 추가 설명 제공

- 안내된 연습에서 학습한 내용을 반복적으로 연습함과 동시에 배운 내용을 응용하여 과제를 해결할 것을 독려

오류 수정

· 독립연습 이후 체계적으로 제공

· 교정하기는 중재활동의 맨 마지막에 배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정 활동 안에 교사의 시범-안내된 연습-독립적 연습-강화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것이 특징

- 학생들의 오류에 대해 교사의 주도로 수정 및 연습을 해보도록 하고 학생의 활동에 대해 강화

 

직접교수에 대한 오해

 

· 단순히 체계적 교수가 직접교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복잡한 기술을 여러 단계로 세분화하는 과제분석을 적용한 예를 지칭하는 것 또한 아님

· 직접교수는 광범위한 교사 자원의 계발뿐만 아니라 정교한 교육과정 디자인, 교실 조직과 관리, 학생진전도의 모니터링을 통합하는 교수의 복합적인 시스템

- 여기서 직접교수의 의미는 교사가 주도적으로 제공하는 효과적인 수업을 전반적으로 지칭하는 것

· 직접교수의 핵심은 준비되고 유능한 교사가 제공하는 수업의 특성이며, 이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을 시사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여승수(2015). 과학과 CBM의 측정학적 적합성: 진전도 모니터링의 활용과 과학교과 학습부진 학생 선별을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12(3), 19-42

 

학습부진 학생

 

· 학업의 문제는 일반적인 교육적 지원만으로는 쉽게 해결되기 어려움

- 특별한 중재전략을 추가로 지원할 필요가 있음

- 필요한 중재전략은 무엇인가?, 무엇을 추가적으로 학생에게 제공할 수 있는가?

 

진전도 모니터링(progress monitoring) 전략

 

· 효과적인 중재전략을 선택, 효과성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대안적인 방법

· 진전도

- 기울기의 의미, 학업성취의 변화량을 시간의 변화량을 나눈 값

· 모니터링

- 일반적인 관찰보다는 좀 더 면밀하게 관찰한다는 의미

· 진전도를 모니터링한다.

- 시간의 경과에 따른 학생들의 변화를 좀 더 세밀하게 관찰하는 행동으로 해석

· 지속적인 변화를 관찰, 교육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자료 획득

· 진전도 상승

- 교수전략은 효과가 있음

· 진전도 감소 및 변화가 없음

- 적합한 교수전략이 제공되고 있지 못함, 중재전략을 수정하거나 교체

 

교육과정중심측정 (CBM)

 

· 진전도 모니터링을 위한 목적으로 가장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검사방법

· 열심히 지도하는 것만이 최선일 수 없으며 적합한 교수전략으로 지도했을 때에만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장점

간편하고 효율적

· 1~5분 정도의 검사시간, 간단한 실시방법 및 채점방법, 어려움 없이 현장에서 적용가능

· 많은 시간을 검사보다 교육에 할애할 수 있음

동형 검사지

· 난이도가 동일한 다수의 동형 검사지를 제공

- 다수의 반복측정이 가능, 반복측정으로 인하여 진전도 산출 가능, 진전도의 결과는 학생의 변화로 해석

 

예측 타당도

· LD 위험군 집단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예측 타당도를 갖춤

적합성

· 측정학적 적합성이 검증됨 (신뢰도, 타당도

 

 

홍준표 (2014). 응용행동분석의 특성과 발전배경. 행동분석·지원연구, 1(1), 1-19.

 

과학

 

· 과학이란 연구대상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연구방법에 의해 결정

- 불임부부의 경우

- 과학: 의사의 도움으로 시험관 아기를 얻음

- 미신: 하루방의 콧잔등을 갈아 마시고 아들을 낳음

· 응용행동분석이 다른 이론이나 접근방법과 차별화되는 특징

- 철저한 과학적 방법을 활용

 

응용행동분석의 기본철학

 

결정론

(Determinism)

· 모든 현상은 인과관계의 고리에서 발생한다는 가정

· 규칙성이나 질서가 없다면 한치 앞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과학이란 성립될 수 없음

· 과학은 관련변수들 간의 인과관계 또는 기능적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 목표

· 인간의 행동은 일정한 법칙에 따라 결정된다고 가정

· 조건과 행동의 관련성이 밝혀진다면 행동이 발생할거라 예측할 수 있고 관련변수(조건)을 조절함으로써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경험주의

(Empiricism)

· 객관적 관찰의 반복적 시행을 통하여 현상을 파악

· 관심영역의 현상에 대한 철저한 기술과 정확한 계량화에 기초한 객관적 관찰이 반복시행을 중요시 함

· 연구대상의 행동을 이해, 예측, 개선

- 행동의 명확한 정의가 요구, 표적행동을 체계적으로 관찰 기록

· 반복적 경험은 응용행동분석의 기본적 실천방안

절약의 법칙

(Parsimony)

· 관찰된 현상에 대하여 복잡하고 추상적인 설명을 시도하기 전에 가장 단순한 설명이 선행되어야 함

· 단순한 설명이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니지만, 사실을 왜곡하고 허위에 빠지는 것을 예방

- 불이 꺼졌을 때 (전구나 두꺼비집을 확인 vs 정전이라 판단하고 한전에 연락)

- 아기가 울음 (부모의 관심을 얻기 위해 vs 애착형성에 문제

· 단순한 것이 치료적 노력과 경비를 절약할 수 있음

철학적 의혹

(Philosophic doubt)

· 현재 사실로 인정되고 있는 것에 대하여 항상 의혹을 가져야 함

· 과학적 지식이란 항상 잠정적인 것, 새로운 사실의 발견으로 언제든지 대치될 수 있음

· 자기만족으로 변화에 대한 저항을 가진다면 학문의 발전은 기대할 수 없음

 

응용행동분석의 특성

 

응용연구

(applied research)

· 응용이란 피험자 또는 사회에 중요성을 가진 행동을 연구대상으로 한다는 것

- 효율적 학습행동, 대인관계 행동, 언어습득과 활용, 생산선 향상, 부부관계 행동, 자녀양육기술, 소비자 행동, 에너지의 절약, 의상의 선택, 자조행동, 안전운전, 체중조절, 여가와 운동기술 등

· 실험행동분석 vs 응용행동분석

- 실험: 중요한 행동의 원리 탐구, 엄격히 통제된 실험상황, 어떤 행동이 자극에 의해 증가될 것인지 아닌지를 밝히는 것이 중요

- 응용: 실생활에서 사회적 중요성을 가진 행동을 연구, 덜 통제된 실험 상황, 어떤 행동을 변화시킬 것인지 그 행동자체가 중요

행동적 연구

(behavioral research)

·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구체적 행동이 연구대상

· 관찰이 불가능하거나 행동이 아닌 문제들은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행동의 문제로 목표를 재설정하여 연구

· 행동적 연구가 되기 위한 기준

-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행동은 개선이 요구되는 행동

- 측정 가능한 행동

- 누구의 행동변화를 측정한 것인지 자문

분석적 연구

(analytic research)

· 행동과 환경자극 간의 기능적 관계(인과관계)를 확인

- 문제의 원인을 찾기 위해 실제 환경에서 행동의 기능성 평가

- 실험변수(원인요인)을 조작함으로써 표적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통제

기술적 진술

(technological description)

· 연구에서 사용되는 절차와 방법은 철저히 확인되고 정확하게 진술되어야 함

· 진술된 절차와 방법을 읽고 다른 연구자가 그대로 반복할 수 있도록 세부적으로 자세히 설명되어야 함

· 특정 행동과 관련하여 예상되는 모든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세부적으로 자세히 설명해야 함 (예상되지 않은, 돌발적인 상황에 대한 기술도 포함되어야 함)

개념적 체계화

(conceptually systematic)

· 행동수정에 사용된 절차와 방법이 어떤 기본원리, 또는 몇 가지 원리의 병합에서 추출된 것인지를 설명

- 예를 들어 일시퇴출(time-out)은 단순한 벌이라기보다는 정적강화와 소거의 원리로부터 추출된 개념으로 체계화

· 연구보고서를 작성할 때, 사용된 기법을 기본원리와 관련하여 자세히 설명

효과성

(effective)

· 치료기법이 효과적이라고 평가되기 위해서는 표적행동의 변화가 실용적 수준에 도달해야 함

· 응용연구에서 이론적 효과의 검증은 의미가 없고, 실제로 내담자의 행동이 사회적으로 의미 있게 변화되는 것이 핵심적 기준

- 이론연구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검증되면 효과적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응용연구에서는 임상적 및 사회적 유의성이 입증되어야만 효과적이라고 평가될 수 있음

· 눈으로 확인될 수 있는 큰 변화가 요구

- 행동의 변화가 얼마나 커야 하느냐 하는 것은 관련 당사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하고 그 효과는 일관성이 있어야 함

 

일반화 효과

(generalization)

· 행동의 변화가 장시간 지속되거나 치료기법이 적용되지 않은 다른 환경에서 나타남

- 치료적 처치가 종료된 후에도 변화된 행동이 지속, 치료적 효과가 임상적 상황을 넘어 치료를 받지 않은 상황에서도 발생

· 직접 치료를 받지 않은 다른 행동에도 전이되어 나타나는 것

- 치료의 효과가 치료의 대상이 아니었던 다른 유사한 행동에도 영향을 줌

 

응용행동분석의 정의

 

· 응용행동분석이란, 행동의 원리로부터 도출된 절차를 체계적으로 활용하고 사회적으로 중요한 행동을 유의한 정도로 개선하고, 사용된 절차가 행동의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과학

 

응용행동분석의 발전배경

 

· 인간의 모든 행동은 그것이 정상이든 이상이든 개체와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학습된다는 기본원리에서 출발

· 고전적 조건형성의 연구 작동조건형성의 연구 실천적 문제에 봉착 실용성 확대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