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근(2003). 지능검사와 신경심리검사는 무엇이 다른가.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2(1), 141-158.

 

지능검사와 신경심리검사

 

· 인지검사라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유사한 검사

· 측정의 목적(왜 측정하는가?), 측정의 방법(어떻게 측정하는가?), 측정의 영역(무엇을 측정하는가?) 중 목적이나 방법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축정의 영역에서는 명확한 차이를 보임

지능검사

· 주의, 언어, 시공간기능 측정

신경심리검사

· 주의, 언어, 시공간기능, 기억, 관리기능(집행, 실행기능) 측정

 

검사의 배경

 

지능검사

· 교육심리학, 응용심리학

신경심리검사

· 신경심리학, 기초심리학

 

검사의 사용

 

지능검사

· 웩슬러 검사가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됨

신경심리검사

· 압도적으로 쓰이는 배터리가 없고 여러 방식이 공존

· 기성배터리가 아닌 검사자 스스로 소검사들을 모아서 구성한 사적 배터리를 사용

 

측정의 목적

지능검사

· 인지기능의 측정

신경심리검사

· 인지기능의 측정 + 뇌기능의 측정(현재의 임상적 현실과는 부합X)

- 뇌손상의 유무, 정도, 위치를 진단

- 기질적과 기능적 이상을 변별

- -행동의 관계를 규명

· 뇌영상의 등장으로 뇌기능을 측정하는 도구로서의 효용성을 상실

- CT, MRI, PET

· 신경심리검사가 CT, MRI에 비하여 뇌이상에 보다 민감성을 보이는 경우도 있음

- Alzheimer 환자의 경우 신경심리검사에서는 기억감퇴 등의 인지적 변화가 명확히 관찰되지만 CT, MRI에서는 뇌이상을 입증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빈번함

· 뇌손상의 유무, 영역,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신경심리검사는 X

· 인지기능손상의 유무, 영역,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신경심리검사는 O

 

측정의 방법

 

· 최근 지능검사배터리의 일부인 소검사들과 그 외의 인지소검사들을 구태여 구분하지 않고 있음

· 지능검사배터리에 속하는 소검사도 신경심리소검사라는 입장이 점차 입지를 넓혀가고 있음

- 굳이 차이를 찾는다면 방법적인 측면 보다는 표준화에서 찾을 수 있음

- 지능검사 소검사들은 규준이 잘 갖춰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그 외의 인지소검사들은 규준이 아예 없거나 부실한 경우가 많음

 

측정의 영역

 

· 주의, 언어, 시공간기능, 기억, 관리기능

 

 

· 지능검사와 신경심리검사의 가장 현저한 차이점을 후자가 전자에 비하여 보다 종합적인 인지검사라는 점

· 지능검사에는 기억, 관리기능이 측정되지 않음

 

관리기능(집행기능, 실행기능)0

 

· 인지기능 중 최상위의 고위영역을 지칭

· 인지적 유연성, 창의성, 계획력, 추상적 사고, 통찰력, 논리적 사고, 판단력, 충동 억제력 등

· 관리기능의 손상은 임상적으로 전두엽이나 그와 밀접히 관련된 구조가 파괴된 환자에서 가장 현저함 (전두엽검사 = 관리기능검사)

· 관리기능의 측정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이유

- 관리기능은 상위기능이라는 속성상 손상 시 환자의 적응행동에 매우 광범위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 관리기능의 손상은 신경학적 질환은 물론 주요 정신병(정신분열증, 우울증)이나 주요 발달장애(ADHD, Autism)등 광범위한 질환에서 관찰됨

· 확산적 사고나 유동적 지능의 검사들이 관리기능검사로 활용되고 있음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