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예다나 외(2017). 읽기 학습장애 위험학생 진단도구개발 연구: 교육과정중심사정을 기반으로 한 어휘검사. 학습장애연구, 14(1), 1-28.

 

읽기

 

· 학교 학습에 기본이 되며 학업성취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학습 수단

· 읽기를 위한 능력

- 음소인식, 해독, 유창성, 어휘, 읽기이해 전략

 

어휘

 

· 의사소통의 기본이자 단어에 대한 지식을 포괄하는 용어

· 읽기를 위한 학습, 학습을 위한 읽기 모두에 포함

· 학업 성취도와 높은 상관관계

· 구어 어휘/읽기 어휘, 양적 어휘지식/질적 어휘지식으로 구분

· 단어인지(음운론적 문제), 읽기유창성(빠르게 읽기), 읽기이해 모두를 예측하는 예측변인

 

어휘 평가도구

 

· 그림어휘력검사, 한국 표준수용어휘력 검사, BASA-읽기,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어휘력 획득 전략

· 단어 이해가 아닌 해독과 유창성에 관련된 검사들임

 

검사 방법을 응용한 어휘 지도

 

· 교육과정중심 어휘평가 검사

 

받아쓰기

단어를 읽어준 뒤 단어가 포함된 문장을 읽어주고 다시 단어를 읽어주고 학생들은 단어를 받아쓰기

 

ex. 마을, 토끼는 깡충깡충 뛰어 마을로 내려갔어요. 마을

철자 및 단어지각

목표단어와 유사한 형태이나 철자가 틀리거나 발음이 비슷한 세 가지 단어가 괄호 안에 주어짐

 

ex. 박물관, 방물관, 박물간

정의

초등학생용 국어사전에서 제시된 문장의 정의를 제시

세 개의 단어 중 정의에 해당하는 단어 골라쓰기

철자가 틀린 경우 맞는 것으로 간주

문장완성

문장에서 목표 단어를 괄호로 대신하기

문맥에 맞는 단어 선택하기

철자가 틀린 경우 맞는 것으로 간주

 

ex. 바람이 ( ) 불어 나뭇잎이 흔들립니다.

낱말이해

(유의어/반의어)

문장에서 목표 단어에 밑줄 긋기

보기에서 비슷한 말과 반대말을 골라 쓰기

 

· 기초학력검사(KISE-BAAT)

- 읽기 선수 기능, 음독능력, 독해능력

- 독해능력(낱말 이해, 문장이해-문장 완성, 어휘선택, 문장배열, 짧은 글 이해)

 

낱말이해

반대말, 비슷한말, 유추, 존대어, 낱말의 상하관계 유추, 수량단위, 존대어 등

문장완성

그림을 보고 알맞은 낱말을 넣어 문장을 완성

어휘선택

시제일치, 호응관계, 접속사, 의미를 파악하고 적절한 어휘 선택하기

어휘배열

문장을 구성하여 배열하는 것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http://suwon-i.co.kr

 

 

http://suwon-i.co.kr

 

http://suwon-i.co.kr

심소예 외(2015). 신체활동과 인지활동이 경증치매환자의 뇌활성도와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4), 453-469.

 

치매

 

· 기억력의 뚜렷한 손상, 다발성 인지손상(실어증, 실행증, 실인증, 실행기능)

· 인지손상의 정도가 작업적 또는 사회적 기능의 손상을 초래, 이전보다 높은 기능 저하

· 집중력의 저하

- 많은 양의 정보나 자극이 감각 기억에 들어오더라도 소실, 기억력의 저하로 연결

- 문제해결능력과 추론 능력을 유지하는데 영향, 정신적 혼란을 야기, 현실소재 인식을 비롯한 성격변화 및 사고에도 영향

· 수단적 일상생활 활동이 먼저 영향을 받은 뒤,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에도 영향을 미침

· 뇌파의 감소

기억

· 전전두 피질 영역

주의집중

· 후두-측두 영역, 후두-두정 영역, 전전두 피질영역

운동학습

· 전두엽, 측두엽

정신활동 수행

· SMR, 베타파

- 치매노인은 위 2가지 파가 감소되어 있음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증진을 위한 선행연구

 

· 회상치료 프로그램, 시간차 회상훈련과 오류배제훈련, 전산화 인지재활, 현실감각훈련, 신경가소성 이론, 가상현실훈련, 신체훈련, 저항훈련

 

인지기능의 회복기전

 

신체활동

· 신경세포를 성숙시키는 외 성장 인자가 운동유발전자의 기능을 조절하고 신경가소성을 향상시켜 인지기능이 향상된다는 것

· 신체활동을 통해 뇌 혈류를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결과가 인지기능의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도 있음

인지활동

· 기억에 관련된 활동은 기억에 관여하는 대뇌피질의 활성화를 통해 재조직화하여 인지기능이 향상된다는 것

 

중재프로그램 (표 참조)

 

· 신체활동 프로그램, 인지활동 프로그램

 

측정도구

 

· 하세가와 치매척도(HDS-K)

- 간이 정신상태검사(치매선별검사, MMSE-K)에 비해 교육수준과 연령의 영향을 적게 받음

- 무학, 문맹에게 적용가능

· 뇌파검사(EEG)

· 작업수행 측정을 위한 캐나다 작업수행측정(COPM)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이애진, 양민화(2015). 학습부진 아동의 기초학습능력과 초기 또래관계의 관계 특성: 사회망분석을 활용하여. 학습장애연구, 12(3), 157-171.

 

관계

 

· 아동은 또래, 부모, 교사 등 아동에게 사회적으로 중요한 타자와의 관계를 맺으면서 그 중요한 타자가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됨

· 다른 사람들이 보이는 자신에 대한 기준과 견해를 내면화하는 과정은 7~8세부터 관찰되며, 중요한 타자의 기준을 무조건 받아들였던 유아기와는 차별되게 현실적인 자기평가를 바탕으로 타인의 기준을 해석하여 내면화시킴

- 이 시기는 가정을 벗어나 학교라는 새로운 사회에 첫 발을 내딛고, 또래라는 새로운 중요한 타자와의 관계를 확장애 나가는 시기

- 학령기에 맺는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는 학생의 자아개념, 학교적응, 학업성취, 학교만족도 등 다양한 요인들에 영향을 미침

 

초등 저학년 시기

 

· 또래관계보다는 교사와의 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침

· 또래관계는 교사 다음으로, 또는 교사만큼 중요한 타자

· 또래관계는 학업성취에 영향, 반대로 학업 성취가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도 있음

 

학습능력

 

· 학습능력이 부족하거나 학령 수준보다 낮은 수행 능력을 가지고 학교에 입학한 아동들은 학업성취에서 좌절을 경험하며, 부적절하거나 방해적인 사회적 행동을 보이고, 이로 인해 또래에게 거절당하게 된다는 것

· 학습실패라는 낙인으로 인해 또래관계에서 거부당하는 경향이 있음

 

사회망분석

 

· 집단 구성원간의 사회적 관계와 상호작용, 구성원의 집단 내 위치 등을 분석하는 기법으로, 집단 내 구성원 간에 나타나는 관계의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음

· 집단 내에서 각 위치를 연결해주는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각 관계의 방향성과 연결정도를 네트워크 도식과 연결 중심성 등 여러 가지 지표로 제시해주기 때문에 학습부진 아동들이 또래와 맺고 있는 관계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수단

· 교우관계는 일방적인 과계가 아닌 집단 내에서 두 명 이상의 아동들이 서로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는 관계

- 집단의 모든 구성원들의 관계를 고려하여 구조적 측면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

 

사회망분석에서 행위자의 연결 중심성 지표

 

· 연결중심성은 한 명의 행위자가 얼마나 많은 다른 행위자들과 연결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중심에 위치할수록 필요한 정보와 자원을 획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

내향 연결 중심성

· 다른 행위자에 의해 선택받는 횟수

· 내향 연결 중심도가 높다.

- 다른 사람들이 관계를 맺고 싶은 대상으로 인식될 만큼 매력이 있거나 인기가 있다는 것

· 내향 연결 중심도가 낮다.

- 접근하려는 사람들이 적다는 것으로 고립될 가능성이 높음

외향 연결 중심성

· 다른 행위자를 선택하는 횟수

· 외향 연결 중심도가 높다.

-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이나 의사소통을하고자 활발하게 활동

- 네트워크상에서 핵심적인 인물이 될 수 있음을 의미

· 외향 연결 중심도가 낮다.

- 네트워크상에서 주변부에 놓이게 되며, 관계 형성에 수동적인 모습을 보임

 

학습장애, 학습부진

 

· 또래와 긍정적인 친구관계를 맺기 어려워함

- 사회성이 낮음,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는데(문제해결력이 낮음) 어려움

- 친구들로부터 비인기학생으로 평가, 친구의 수가 적음, 소외감을 느낌

- 또래관계의 실패로 인해 우울이나 불안 등의 부정적 심리상태를 보임

- 또래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

· 학년이 올라갈수록 또래관계에서 어려움을 더 심각하게 경험

- 초등 고학년, 중학교 시기에 접어들면서 심각한 소외감과 적응문제, 우울증을 겪게 됨

 

검사도구 및 자료분석

 

· 검사도구

- 또래관계 탐색 설문지(또래지명법을 활용한), 한국형 철자발달검사(쓰기 능력 측정), BASA(읽기검사, 읽기이해)

· 자료분석

- 넷마이너 프로그램

 

결과

 

· 기초학습능력과 또래 네트워크의 중심성간의 상관관계

- 아동의 읽기, 쓰기 능력은 내향 연결 중심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으나 외향 연결 중심성과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음

- 내향 연결 중심성(다른 아동이 자신을 지명하는 정도)와 기초학습능력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음

- 외향 연결 중심성과 읽기, 쓰기 능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없었던 이유는 실제로 상관이 없기 때문일 수도 있고, 일반 아동과 학습부진 아동도 또래관계를 맺고자 하는 욕구가 비슷한 수준이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음

 

· 일반아동과 학습부진 아동의 또래관계 특성 비교 결과

- 학습부진 아동들은 일반 아동에 비하여 내향 중심성이 낮았으며, 외향 중심성에서는 두 그룹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학습부진 아동은 적극적으로 또래와의 관계를 맺고자 하는 욕구는 일반 아동과 비슷한 수준이나, 일반 아동에 비하여 다른 아동들이 접근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것이며 소외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

- 학습부진 아동 중에서 소외된 또래관계를 보이는 아동은 발견되지 않았는데, 다른 학습부진 아동들과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남

 

· 이 연구에서 특이한 점은 소외(아무도 지명하지 않고 자신도 젼혀 지명하지 않음)의 관계특성을 보인 3명의 아동이 모두 일반 아동이었다는 것이며 이들 아동들은 모두 읽기 및 쓰기 성적이 상위권에 속함

- 학습능력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학급 내의 교사 및 기타 사회적 역학관계가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시사해 줌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김민경, 박유정(2015). 국내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연구에 나타난 직접교수 중재의 특성 분석. 학습장애연구, 12(3), 173-195.

 

직접교수 (direct instruction, di)

 

· 교사에 의해 주도되는 체계적인 인지 전략에 바탕을 둔 수업

· 그 외 다양한 정의

- 교수의 질과는 상관없이 교사에 의해 주도되는 모든 수업 형태

- 교사 효과 연구에서 효과적인 교사들에 의해 사용되는 교수적 절차

- 교사가 학생들에게 인지 전략을 가르칠 때에 사용하는 교수적 절차

- DISTAR(Direct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Arithmetic and Reading)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교수적 절차

- 교사가 강의 중심의 수업을 제공하고 학생들은 수동적으로 앉아 있는 형태로 기술되는 부정적 의미의 교수적 절차

 

직접교수 (Direct Instruction, DI)

 

· 직접교수(di)의 한 형태로 언급한 DISTAR 프로그램에서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교수방법을 의미하며, 교사-아동 행동 중심의 스크립트 활용과 아동의 능력에 근거한 모둠형성 등의 특성을 지님

 

di & DI

 

di

DI

· 교사 주도의 수업으로 시작하여 학생의 독립적 과제 수행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공통적으로 지칭

· 수업의 형태

- 교사의 설명

- 교사의 주도하에 학생 수행

- 학생의 독립적 수행

· 교사는 소그룹 중심의 모델링, 비계, 피드백, 코칭 등을 제공

· 교사중심의 수업으로 시작하여 지원의 빈도와 강도를 줄여감

· 개발된 특정 교육과정 프로그램/패키지를 지칭

· 프로그램의 전영역과 과정은 스크립트의 형태로 제공

· 특징

- 명시적이고 단계적인 전략 사용

- 각 단계 또는 기술의 숙달에 근거한 수업 진행

- 학생의 오류에 따른 교사의 구체적인 수정 절차 제공

- 학생의 독립적 수행을 위한 교사 지도의 점차적 감소

- 다양한 예시를 통한 충분하고 체계적인 연습

- 새로 학습된 개념의 누적된 복습

- 과제 숙달 여부의 빈번한 평가

- 스크립트 프로그램 특성에 따른 높은 중재/실행충실도

- 고도의 엄격성과 교사 주도의 지시적 언어 등으로 인해 비판을 받음

· 반영될 수 있는 중재요소

- 개별적 연습의 제공, 교사의 시범, 반복적인 피드백의 제공, 학습과제를 나누기, 연습의 반복, 시각적인 자료의 제시, 소그룹학습, 교사의 질문, 새로운(참신한) 자료의 제시

·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전략

- 소리내며 생각하기 기법을 통해 문제 해결과 선택의 과정에 대해 시범보이기

- 학습과제를 세분화하여 제시하된 아동의 숙달에 따라 세분화된 과제를 통합해가는 형태로 제공하기

- 교사가 시범보이는 동안에 단어 카드(cue cards) 활용하기

- 교사와 아동이 상호작용하는 형태로 연습하기

- 완성된 과제를 아동이 시범보일 수 있는 기회 제공하기

· 실행 요소

- 숙달된 교사의 주도

- 소그룹 구성

- 스크립트 기반 수업 진행

- 지속적이고 빈번한 진전도 점검 및 학생 숙달 여부 확인 등

· 핵심적 요소가 되는 교사와 학생 행동에 기반을 둔 스크립트의 구성의 타당성 여부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

- DI 실행 전 교사훈련 여부, DI 실행 동안의 교사 실행 충실도에 대한 점검이 필요

 

직접교수의 실행 요소

 

· 명확한 학습목표 제시, 모델링, 안내된 연습, 개별연습의 기회 제공, 오류교정

 

학습목표 및 활동의 명확화

· 단기적 학습목표 및 단위 수업 시간에 하게 될 학습활동에 대해 명확하게 제시

· 직접교수를 규정하는 핵심적인 요수 중의 하나

· 도입단계에서 제공

- 학생들의 준비도를 높임, 사전지식을 활성화, 동기 유발, 흥미 고취

- 지난 학습의 내용을 요약, 정리해주며 기억을 활성화

- 전 차시 수업에 해당되는 기본 원리를 간단히 상기

- 수업과 관련된 규칙을 기억하는지 확인

교사의 시범

· 안내된 연습 및 학생의 독립연습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

- 일반적으로 교사의 시범 후 곧바로 교사와 함께 연습, 학생 스스로 연습하는 단계, 교정하는 단계를 거침

· 학생이 알고 있는 범위 내에서 충분한 예시를 제공

· 질문전략을 활용함으로써 질문을 통해 계속적인 점검 및 이해도를 체크

- 질문전략은 학생의 참여를 촉진, 학습동기를 고취를 위한 것

· 학생이 집중할 수 있도록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이 중요

안내된 연습 및 독립연습

· 안내된 연습

- 교사는 학생의 수행상황을 자세히 모니터링하여 피드백을 제공

- 교사와 학생은 함께 과제를 수행하면서 교사 시범에서 제시한 학습내용을 반복하거나, 아동의 수행 수준에 따라 추가적 설명을 제시

- 학생의 어려움을 나타내거나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 한 경우, 필요한 지점에서 학생의 연습을 멈추게 하고 교사가 질문을 하는 방법과 부분적인 활동이 완성된 후 질문을 통해 틀린 답을 수정하게 함

------------------------------------------------------------

· 독립연습

- 교사의 도움 없이 학생 스스로 학습 과제를 수행

- 교사는 함께 과제를 수행하지 않고 학생이 과제 수행에 어려움을 겪을 때에만 개입하여 추가 설명 제공

- 안내된 연습에서 학습한 내용을 반복적으로 연습함과 동시에 배운 내용을 응용하여 과제를 해결할 것을 독려

오류 수정

· 독립연습 이후 체계적으로 제공

· 교정하기는 중재활동의 맨 마지막에 배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정 활동 안에 교사의 시범-안내된 연습-독립적 연습-강화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것이 특징

- 학생들의 오류에 대해 교사의 주도로 수정 및 연습을 해보도록 하고 학생의 활동에 대해 강화

 

직접교수에 대한 오해

 

· 단순히 체계적 교수가 직접교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복잡한 기술을 여러 단계로 세분화하는 과제분석을 적용한 예를 지칭하는 것 또한 아님

· 직접교수는 광범위한 교사 자원의 계발뿐만 아니라 정교한 교육과정 디자인, 교실 조직과 관리, 학생진전도의 모니터링을 통합하는 교수의 복합적인 시스템

- 여기서 직접교수의 의미는 교사가 주도적으로 제공하는 효과적인 수업을 전반적으로 지칭하는 것

· 직접교수의 핵심은 준비되고 유능한 교사가 제공하는 수업의 특성이며, 이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을 시사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여승수(2015). 과학과 CBM의 측정학적 적합성: 진전도 모니터링의 활용과 과학교과 학습부진 학생 선별을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12(3), 19-42

 

학습부진 학생

 

· 학업의 문제는 일반적인 교육적 지원만으로는 쉽게 해결되기 어려움

- 특별한 중재전략을 추가로 지원할 필요가 있음

- 필요한 중재전략은 무엇인가?, 무엇을 추가적으로 학생에게 제공할 수 있는가?

 

진전도 모니터링(progress monitoring) 전략

 

· 효과적인 중재전략을 선택, 효과성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대안적인 방법

· 진전도

- 기울기의 의미, 학업성취의 변화량을 시간의 변화량을 나눈 값

· 모니터링

- 일반적인 관찰보다는 좀 더 면밀하게 관찰한다는 의미

· 진전도를 모니터링한다.

- 시간의 경과에 따른 학생들의 변화를 좀 더 세밀하게 관찰하는 행동으로 해석

· 지속적인 변화를 관찰, 교육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자료 획득

· 진전도 상승

- 교수전략은 효과가 있음

· 진전도 감소 및 변화가 없음

- 적합한 교수전략이 제공되고 있지 못함, 중재전략을 수정하거나 교체

 

교육과정중심측정 (CBM)

 

· 진전도 모니터링을 위한 목적으로 가장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검사방법

· 열심히 지도하는 것만이 최선일 수 없으며 적합한 교수전략으로 지도했을 때에만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장점

간편하고 효율적

· 1~5분 정도의 검사시간, 간단한 실시방법 및 채점방법, 어려움 없이 현장에서 적용가능

· 많은 시간을 검사보다 교육에 할애할 수 있음

동형 검사지

· 난이도가 동일한 다수의 동형 검사지를 제공

- 다수의 반복측정이 가능, 반복측정으로 인하여 진전도 산출 가능, 진전도의 결과는 학생의 변화로 해석

 

예측 타당도

· LD 위험군 집단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예측 타당도를 갖춤

적합성

· 측정학적 적합성이 검증됨 (신뢰도, 타당도

 

 

김애화 외(2013). 음운처리 중심 절차 교수가 쓰기장애 학생의 철자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애연구, 10(2), 51-72.

 

철자와 관련된 선행연구

 

· 철자 자체에 초점을 맞춘 철자 중재가 철자 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읽기+철자 중재가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

- 체계적인 철자교수의 필요성을 지지해주는 실증적 결과

· 철자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읽기와 철자 교수를 결합한 중재보다는 철자 자체에 초점을 맞춘 철자 중재가 더 효과적

· 작문과 철자 교수를 결합한 중재보다 철자 자체에 초점을 맞춘 철자 중재가 더 효과적임

· 효과성이 높은 체계적인 철자 교수의 특성은 학생들의 오류 유형에 맞는 명시적인 철자 교수

 

철자 오류 유형

 

음운처리 오류

(단어의 소리에 대한 처리)

 

· 낱자-소리 대응관계를 제대로 적용하지 않은 오류

------------------------------------------------------------

· 한글의 경우, 소리 나는 대로 표기되는 단어를 철자로 쓸 때, 소리가 다른 단어로 잘못 쓰는 오류를 의미

- ‘예쁜여쁜으로 표기

 

표기처리 오류

(글자의 시각적 형태에 대한 처리)

 

· 낱자의 소리만으로는 올바른 표기를 할 수 없고 낱자 및 글자의 시각적 형태에 대한 인식(, 표기처리) 능력이 요구되는 단어를 철자로 쓸 때, 해당 단어의 올바른 시각적 형태를 잘못 표기하여 나타나는 오류

------------------------------------------------------------

· 한글의 경우, 받침 있는 단어의 받침을 같은 발음이 나는 다른 받침으로 대치하는 오류

- ‘믿음밑음으로 표기; ‘넓게넒게로 표기

· 음운변동이 적용되는 단어를 철자 할 때, 단어의 전체 또는 부분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경우

- ‘편리하다대신 펼리하다로 표기; ‘만약대신 만냑으로 표기

 

형태처리 오류

(형태소에 대한 처리)

 

· 단어를 구성하는 형태소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나타나는 오류

------------------------------------------------------------

· 한글의 경우, 어간과 어미의 경계를 구분하지 못하는 오류가 대표적

- ‘많고많코로 표기

· 시제 선어말 어미를 변환하는 오류

- ‘생각났다생각난다로 표기)

· 어미를 변환하는 오류

- ‘좋은좋을로 표기

 

 

오류 유형에 맞는 명시적인 철자 교수법

 

· 학생들이 보인 철자 오류가 음운처리 오류인지, 표기처리 오류인지, 형태처리 오류인지를 파악하여, 오류 유형에 따라 음운 처리 중심 교수법, 표기처리 중심 교수법, 형태처리 중심 교수법 등을 알맞게 제공하는 것

 

음운처리 중심 교수법

 

· 가장 기초가 되는 철자 교수법으로, 철자 발달의 초기에서 중요한 교수법

· 철자 발달의 초기 단계에서 소리 나는 대로 표기되는 단어의 철자에 어려움을 갖는 학생들에게는 음운처리 중심 교수법을 제공하여야 함

· 음운처리중심 교수법은 한글맞춤법의 기본이 되는 소리대로 적었을 때 올바르게 표기되는 단어의 철자 교수에 초점

· 음운처리 중심 교수법은 낱자와 소리의 대응관계(letter-sound correspondence)와 낱자 소리의 합성(blending)을 명시적으로 가르침으로써, 소리에 대응되는 낱자()를 올바르게 표기할 때 단어를 제대로 철자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교수법

 

오류 유형에 맞는 명시적인 철자 교수법 이외에 효과적인 철자 교수법

 

· 단어 철자의 반복 연습

· 자신이 쓴 철자를 스스로 점검 및 교정

· 이미 학습한 단어의 누적 연습

· 단어의 의미에 대한 교수

 

어휘

 

· 어휘는 철자 성취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

· 어휘 난이도는 학생들의 철자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 철자 교수를 실시함에 있어 단어의 철자 뿐 아니라 단어의 의미에 대한 교수를 함께 실시할 필요성을 시사

 

두 가지 유형의 철자 검사

 

첫째

· 14개 기본 자음(, , , , , , , , , , , , , )6개 기본모음(, , , , , )으로 이루어진 2음절 의미 단어(, (, 바다, 시소), 3음절 의미 단어(, 주사기, 드리다), 4음절 의미 단어(, 허수아비, 부러지다)로 검사지를 구성

둘째

· 된소리 자음(, , , , ) 그리고 (또는) 15개 모음(, , , , , , , , , , , , , , )이 포함된 2음절 의미 단어(, 돼지, 두께), 3음절 의미 단어(, 삐치다, 어깨뼈), 4음절 의미 단어(, 하얘지다, 데워지다)로 검사지를 구성

 

두 가지 원칙에 근거한 중재의 교수 내용

 

점진적 교수 내용의 소개

· 교수 내용을 점진적으로 소개함으로써 학생들이 보다 용이하게 교수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함

- 1회기에 모음 를 먼저 가르친 후, 2, 3회기에 된소리 자음을 모음 와 결합하는 교수를 실시

누적적 교수 내용의 연습

· 앞 회기에서 학습한 된소리 자음과 모음을 다음 회기에 누적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학생들이 이미 학습한 내용을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구성

- 1회기에 학습한 모음 는 다음 회기들에 누적적으로 포함되며, 이와 비슷하게 6회기에 소개된 모음 도 다음 회기들에 누적적으로 포함되도록 구성

- 모음 을 포함한 의미 단어의 빈도가 높았기 때문에 여러 회기에 걸쳐 교수

 

중재 (그림 참조)

 

· 음운처리 중심 철자 교수의 개념적 체계

· 음운처리 중심 철자 교수의 절차

 

결과

 

· 쓰기장애 학생들의 철자 성취도를 향상시키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며, 학습한 단어의 철자 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누적 연습이 보다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을 있음

· 교수에의 시사점

- 사전평가를 통해 대상학생이 보이는 철자 오류 유형을 파악한 후, 학생의 오류 유형에 맞는 철자 교수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

- 대상학생이 음운처리 오류를 보일 경우, 낱자-소리 대응관계와 낱자 소리의 합성을 명시적으로 가르치는 음운처리 중심 철자 교수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

- 철자 교수 실시, 목표 단어의 철자 뿐 아니라 단어의 의미를 명시적으로 가르치고, 문장 내에서 단어의 쓰임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음

- 가리고-기억하여 쓰고-비교하기와 같은 활동을 통해 학생이 자신의 철자를 스스로 점검하고, 필요시 오류 교정을 하고, 반복 연습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음

- 이미 학습한 단어들을 누적하여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음

김애화 (2012). 음운 인식 특성 연구: 음운 인식 단위, 과제 유형, 음절 및 음소 위치 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9(2), 93-111.

 

음운 인식

 

· 음운 인식은 다양한 언어권에서 초기 읽기 능력을 예측하는 주요한 변인으로써 평가되고 있음

· 음운 인식을 어떻게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검사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명확한 합의가 이루어지지는 않은 상황

· 음운 인식의 발달 단계 및 발갈 시기는 여러 언어권에서 비슷하게 나타는 것으로 보고

- 음절 인식, 초성-각운 또는 음절체-종성에 대한 인식은 문자 획득 이전에부터 먼저 발달하며, 음소에 대한 인식은 문자 교육에 영향을 받으면서 지속적으로 발달한다고 보고

· 음운 인식의 발달 단계는 여러 언어권에서 비슷하게 나타나는 반면, 어떠한 음운 인식 단위가 초기 읽기 및 철자 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언어권마다 다소 차이를 보임

- 영어권에서 발표된 연구들에 따르면, 음운 인식 중 음소 인식이 초기 읽기 및 철자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이를 반영하여 영어권에서 사용하는 음운 인식 검사(, DIBELS)들은 음소 인식을 측정하는 소검사(, 음소 분리, 음소합성, 음소분절, 음절 탈락, 음절 대치 등)를 집중적으로 포함

 

음운 인식 검사

 

· 음운 인식 검사의 차이는 음운 인식 단위와 음운 인식 과제 유형 중 어떠한 것을 포함하는가에 따라 나타남

- 음운 인식 단위란 음운 인식 수준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음절 인식, 초성-각운인식 혹은 음절체-종성인식, 음소 인식 등

- 음운 인식 과제 유형에는 변별, 합성, 분리, 수세기, 분절, 탈락, 대치 등

 

한글

 

· 명확한 음절 경계를 지닌 언어의 경우에는 음소 인식 뿐 아니라 음절 인식이 읽기 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 한글의 경우 음소 인식 뿐 아니라 음절 인식과 음절체-종성 인식이 초기 읽기 능력을 더 많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남

 

음운 인식 단위, 과제 유형, 음절 및 음소 위치를 고려한 음운 인식 하위 검사

 

 

 

과제 유형

음절 및 음소 위치

10개 하위 검사

음운

인식

단위

음절인식

분리, 탈락, 대치

첫 음절, 가운데 음절, 끝 음절

음절 분리

음절 탈락

음절 대치

음소인식

분리, 탈락, 대치

첫 음소, 가운데 음소, 끝 음소

음소 분리

음소 탈락

음소 대치

초성-각운 인식

합성, 분절

해당 사항 없음

초성-각운 합성

초성-각운 분절

음절체-종성 인식

합성, 분절

해당 사항 없음

음절체-종성 합성

음절체-종성 분절

 

10개 하위 검사

 

음절 분리

 

· 음절 분리는 단어 내 특정 음절을 분리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2~3음절 단어, 교사의 지시에 따라 첫 음절, 가운데 음절, 끝 음절을 분리

 

) 선생님을 따라하세요. /고추/. (아동이 /고추/라고 말한다.) /고추/에서 첫소리가 무엇이죠? [: ]

 

음절 탈락

 

· 음절 탈락은 단어 내 특정 음절을 탈락시킬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2~3음절 단어, 교사의 지시에 따라 첫 음절, 가운데 음절, 끝 음절을 탈락

 

) 선생님을 따라하세요. /비누/. (학생이 비누라고 따라한다) 이번에는 //를 빼고 말해보세요. [: ])

 

음절 대치

 

· 음절 대치는 단어 내 특정 음절을 다른 음절로 대치시킬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2~3음절 단어, 교사의 지시에 따라 첫 음절, 가운데 음절, 끝 음절을 대치

 

) 선생님을 따라하세요. /무지개/. (아동이 무지개라고 따라한다) 이번에는 ////로 바꾸어 말해보세요. [: 무니개]

 

음소 분리

 

· 음소 분리는 1음절 단어 내 특정 음소를 분리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자음-모음(Consonant-Vowel[CV])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와 자음-모음-자음(CVC)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

· 첫 음소, 가운데 음소, 끝 음소 분리

· 자음이 첫 음소에 위치할 때는 무표 모음인 를 붙여 발음(, /, /)하였고, 종성에 위치할 때는 무표 모음을 앞에 두고 받침소리로 넣어 발음(, /, /)

· 교사의 지시에 따라 첫 음소, 가운데 음소, 또는 끝 음소를 분리

 

) 선생님을 따라 하세요. //. (아동이 라고 말한다.) //에서 첫소리가 무엇이죠? [: ]

 

음소 탈락

 

· 음소 탈락은 1음절 단어 내 특정 음소를 탈락시킬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자음-모음(Consonant-Vowel[CV])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와 자음-모음-자음 (CVC)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

· 첫 음소와 끝 음소 탈락

· 교사의 지시에 따라 첫 음소 또는 끝 음소를 탈락

 

) 선생님을 따라하세요. //. (아동이 이라고 따라한다) 이번에는 //을 빼고 말해보세요. [: ]

 

음소 대치

 

· 음소 대치는 1음절 단어 내 특정 음소를 다른 음소로 대치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자음-모음(Consonant-Vowel[CV])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와 자음-모음-자음(CVC)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

· 첫 음소, 가운데 음소, 끝 음소 대치

· 교사의 지시에 따라 첫 음소, 가운데 음소, 또는 끝 음소를 다른 음소로 대치

 

) 선생님을 따라하세요. //(아동이 이라고 따라한다) 이번에는 ////으로 바꾸어 말해보세요. [: ]

 

초성 -

각운 합성

 

· 초성-각운 합성은 분절된 초성과 각운을 합성하여 1음절 단어로 발음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자음-모음-자음(CVC)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

· 초성(C)와 각운(VC)로 분절되어 제시되는 소리를 듣고 아동이 이 둘을 합쳐서 CVC 단어로 발음

 

) 선생님이 단어를 따로따로 나눠서 말할 거예요. 그러면, oo가 듣고, 합쳐서 말하는 거예요. /-/ [: ]

 

초성 -

각운 분절

 

· 초성-각운 분절은 자음-모음-자음(CVC)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를 초성(C)와 각운(VC)로 분절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자음-모음-자음(CVC)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

· 자음-모음-자음(CVC) 단어가 제시되면 아동이 초성(C)과 각운(VC)로 분절

 

) 선생님을 따라하세요. //. (아동이 //이라고 따라한다). 이번에는 oo//을 따로따로 나눠서 말해주세요. [: -]

 

음절체 -

종성 합성

 

· 음절체-종성 합성은 분절된 음절체와 종성을 합성하여 1음절 단어로 발음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자음-모음-자음(CVC)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

· 음절체(CV)와 종성(C)로 분절되어 제시되는 소리를 듣고 아동이 이 둘을 합쳐서 CVC 단어로 발음

 

) 선생님이 단어를 따로따로 나눠서 말할 거예요. 그러면, oo가 듣고, 합쳐서 말하는 거예요. /-/ [: ]

 

음절체 -

종성 분절

 

· 음절체-종성 분절은 자음-모음-자음(CVC)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를 음절체(CV)와 종성(C)으로 분절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자음-모음-자음(CVC)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

· 자음-모음-자음(CVC) 단어가 제시되면 아동이 음절체(CV)와 종성(C)으로 분절

 

) 선생님을 따라하세요. //. (아동이 //이라고 따라한다). 이번에는 oo//을 따로따로 나눠서 말해주세요. [: -]

 

 

음절 인식에서 과제 유형과(음절 분리, 탈락, 대치)과 음절 위치(, 가운데, 끝 음절)에 따른 정답률의 차이

 

· 모든 음절 위치에서 음절 대치가 다른 과제들보다 정답률이 유의하게 낮음

· 모든 과제에서 가운데 음절이 다른 음절보다 정답률이 유의하게 낮음

· 첫 음절과 끝 음절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음

- 끝 음절이 첫 음절보다 다소 어려움

· 가운데 소리를 조작하는 과제가 첫 소리나 끝 소리를 조작하는 것보다 더 어려움

- 첫 소리는 초기 효과(primacy effect)로 인하여 그리고 끝 소리는 최근 효과(regency effect)로 인하여 더욱 쉽게 인식 및 조작될 수 있다고 해석

 

음소 인식에서 과제 유형과(음절 분리, 탈락, 대치)과 음절 위치(, 가운데, 끝 음절)에 따른 정답률의 차이

 

· 첫 음소에서만 음소 탈락과 음소 대치 간 유의한 차이

· 음소 분리에서만 첫 음소와 가운데 음소 사이에 유의한 차이

· 음소 대치가 다른 과제보다 낮은 정답률을 보임

· 음절 인식에서는 모든 과제에서 첫 음절과 끝 음절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

· 음소 인식에서는 음소 탈락에서 끝 음소 탈락이 첫 음소 탈락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정답률

· 한글에서는 가운데 음절 및 음소 조작이 가장 어렵고 그 다음으로 끝 음절 및 끝 음소 조작, 그리고 첫 음절 및 첫 음소 조작의 순의 난이도

 

과제 유형(합성, 분절)에 따른 초성-각운 인식과 음절체-종성 인식의 정답률 차이

 

· 모든 과제에서 초성-각운이 음절체-종성보다 정답률의 유의하게 낮음

· 초성-각운과 음절체-종성 모두 분절 과제 유형이 합성 과제 유형보다 정답률이 낮음

· 음절체-종성 인식 과제의 정답률이 초성-각운 인식 과제의 정답률보다 높음

- 영어권 및 유럽권의 선행 연구의 결과와는 상반된 것

- 한글의 CVC 1음절 단어의 구조를 초성-각운 구조로 나누기보다 음절체-종성 구조로 나누는 것이 심리적으로 더 가깝게 느낀다고 해석할 수 있음

 

결과 종합

 

· 음절 및 음소 인식에서 가운데 음절 및 음소 인식이 가장 어려움

· 음절 및 음소 대치 과제는 다른 과제(분리 및 탈락) 보다 어려움

· 한글의 CVC 음절 구조는 음절체-종성 구조로 나누어 인식하는 경향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