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과학영재 - 공간능력 향상
전경필 외(2016). 초등과학영재의 공간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초등교육, 27(4), 165-190. ① 공간능력 (Spatial Ability) · 인간의 지적능력 중 언어능력과 함께 가장 핵심적인 구성요소 · 다른 영역의 학문을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되는 능력 ·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에 기여 - 유용한 도구, 사고의 보조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문제를 형성하는 방법, 문제 해결을 위한 수단 등 · 공간능력이 높을수록 수학, 과학, 언어 능력이 높다는 연구결과 ② 공간능력의 하위 요소 공간변환 · 2차원을 3차원, 3차원을 2차원으로 변환하여 인식할 수 있는 능력 심적회전 · 2차원, 3차원의 대상물을 머릿속으로 옮기고 비틀고 회전할 수 있는 능력 공간관계 · 공간에서 두..
2018. 6. 20.
발달장애 - 언어행동, 언어행동분석, 언어작동
남상석 외(2016). 언어행동개요: 원리, 연구동향과 적용. 행동분석·지원연구, 3(2), 43-64. ① 언어(Skinner, 1957) · 언어는 학습된 행동 · 응용행동분석의 기초를 형성하는 동일한 기초 행동원리가 언어행동에도 적용 · 사람들은 비언어적 행동들(집기, 기기, 내밀기 등)을 배우는 동일한 방법으로 말을 많이 구사하는 역량을 습득 ② 언어행동 · 인간행동은 언어행동과 연관성이 있음 - 언어습득, 사회적 상호작용, 이해하기, 사고하기, 감지하기, 종교 등 · 언어를 분석하는 과정 - “말”은 제한적이고, “언어”는 일반화된 용어이기 때문에 “언어행동”이라는 용어를 선택 - 수화, 그림교환(PECS), 글, 제스처, 상호작용 반응이 일어나는 모든 의사소통의 다양한 유형을 포함할 수 있음 ..
2017.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