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지치료30

의사소통 조망수용 - 자기중심적 편향성과 실행기능의 역할 안현의, & 김민아. (2021). 의사소통 조망수용: 자기중심적 편향성과 실행기능의 역할. 언어치료연구, 30(4), 269–289.​다른 사람의 입장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을까? – 조망수용과 실행기능의 관계​이 논문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에서 핵심이 되는 능력인 조망수용(perspective-taking)을 중심으로, 그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인 자기중심적 편향성과 실행기능 간의 관계를 실험적으로 검토한 연구이다. 조망수용이란 의사소통 상대의 지식, 관점, 생각을 고려하여 메시지를 이해하거나 표현하는 능력이다. 연구자들은 조망수용 능력이 단순한 공감이나 사회성의 문제를 넘어, 인지적 통제 능력(실행기능)과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이론과 실험을 통해 밝혀내고자 했다.​1. 조망수용(Perspecti.. 2025. 7. 20.
초등과학영재 - 공간능력 향상 전경필 외(2016). 초등과학영재의 공간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초등교육, 27(4), 165-190. ① 공간능력 (Spatial Ability) · 인간의 지적능력 중 언어능력과 함께 가장 핵심적인 구성요소 · 다른 영역의 학문을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되는 능력 ·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에 기여 - 유용한 도구, 사고의 보조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문제를 형성하는 방법, 문제 해결을 위한 수단 등 · 공간능력이 높을수록 수학, 과학, 언어 능력이 높다는 연구결과 ② 공간능력의 하위 요소 공간변환 · 2차원을 3차원, 3차원을 2차원으로 변환하여 인식할 수 있는 능력 심적회전 · 2차원, 3차원의 대상물을 머릿속으로 옮기고 비틀고 회전할 수 있는 능력 공간관계 · 공간에서 두.. 2018. 6. 20.
유아 - 그림, 실행기능 박희숙 (2015). 유아의 그림 표상 재 기술에 미치는 실행기능의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4(2), 183-205. ① 그림 · 그림의 내용을 어떻게 바꾸는지 분석하면 머릿속 표상의 유연성을 제약하는 측면을 알 수 있음 · 그림은 선천적으로 영역 특수하게 발달 · 발달 초기 그림은 암묵적으로 표상, 점차 그림에 익숙해지며 의도적으로 조작하게 됨 · 만 5세 정가 되면 그림의 요소를 갖추어 사람, 집, 동물 등을 그리게 됨 ② 표상 재 기술 · 표상된 정보들을 되풀이해 다시 표상하여 변화시키는 과정 - 한 영역에 대한 암묵적인 지식이 표상 재 기술을 통해서 재 표상되고 분석되어 여러 수준으로 추상화되고 말로 설명할 수 있는 명시적 지식으로 변화 ③ 내적 표상의 4개 수준 암묵 · 외적 정보를 순서를 .. 2018. 5. 7.
언어발달지체 - 그림책, 개별시도교수, DTT, 자발적 발화 이정해 외(2016). 그림책 활용 개별시도교수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자발적 발화에 미치는 효과. 행동분석·지원연구, 3(2), 1-16. ① 의사소통 · 공동체를 이루어 나가지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기능 · 화자(생각, 전달) + 청자, 언어적 요소 + 비언어적 요소 ·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구어’ ② 언어발달 표현 8개월~1세 · 첫말 18개월 · 단어 결함 2세 · 두 단어의 문장 형태 3세 · 세 단어 혹은 그 이상의 단어 · 주어 + 목적어 + 서술어 4~5세 · 문장과 문장 연결 (복문) - 연결어미, 접속사 ③ 언어발달지체 유아 · 정상적인 언어기능의 획득 어려움 - 언어의 의미 이해와 표현에 어려움 - 사용 어휘 수, 새로운 어휘 학습 및 어휘의 연상에 따른 문장 조합하여 말하기 어려움 .. 2017. 11. 24.
아스퍼거, 자폐성 장애 - 협동놀이, 사회적 상호작용 김보람 (2016). 비장애 형제와 함께하는 협동놀이가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행동분석·지원연구, 3(1), 41-67. ① 상호작용 · 상호작용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다른 아동의 생각이나 느낌을 이해 · 상대방의 다양한 요구를 고려하는 경험을 통해 자기 중심화에서 벗어남 · 세련된 사회적 기술의 부족은 많은 갈등과 불안을 경험하게 됨 ② 놀이-중심 중재 · 인간관계 중심 중재 · ASD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지원하게 위한 중재 전략 중 하나 (simpson, 2005) ③ 협동놀이 · 아동의 상호작용과 협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공동 목표를 성취하거나 특정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활동으로 구성된 집단놀이 · 짝이나 팀으로 놀 수 있고 규칙인 있는 구조화된 놀이 · 상.. 2017. 11. 22.
발달장애 - 언어행동, 언어행동분석, 언어작동 남상석 외(2016). 언어행동개요: 원리, 연구동향과 적용. 행동분석·지원연구, 3(2), 43-64. ① 언어(Skinner, 1957) · 언어는 학습된 행동 · 응용행동분석의 기초를 형성하는 동일한 기초 행동원리가 언어행동에도 적용 · 사람들은 비언어적 행동들(집기, 기기, 내밀기 등)을 배우는 동일한 방법으로 말을 많이 구사하는 역량을 습득 ② 언어행동 · 인간행동은 언어행동과 연관성이 있음 - 언어습득, 사회적 상호작용, 이해하기, 사고하기, 감지하기, 종교 등 · 언어를 분석하는 과정 - “말”은 제한적이고, “언어”는 일반화된 용어이기 때문에 “언어행동”이라는 용어를 선택 - 수화, 그림교환(PECS), 글, 제스처, 상호작용 반응이 일어나는 모든 의사소통의 다양한 유형을 포함할 수 있음 .. 2017. 11.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