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규, 양문봉(2015). 개별시도교수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초등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의 단기목표 성취에 미치는 효과. 행동분석·지원연구, 2(1), 39-62

 

자폐적 성향의 연속선

 

· 자폐스펙트럼장애(ASD) 개념을 보편적으로 사용

· 특성, 유형, 정도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

 

개별시도교수 (DTT)

 

· 응용행동분석을 기반으로 한 교수전략

· 특정 행동과 기술을 습득시키거나 행동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복잡한 목표기술을 작은 하위기술로 나누어 각각의 하위기술을 반복적으로 연습시키는 방법

· 자극에 반응하도록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응용행동분석적 교수법

- 주의집중, 자극제시, 학생반응, 피드백, 시도 간 간격

장점

· 아동이 자극에 반응하는 것을 배울 수 있음

· 여러 사람들이 일관되게 아동에게 적용할 수 있음

· 아동이 변별 자극을 확실하게 알 수 있음

· 과제분석으로써 중요하고 복잡한 기술이 학습될 수 있음

단점

· 일반화 문제와 자극의 의존성 문제

· IQ50 이하의 아동들에게 효과를 나타내지 못함

 

교수/교육과정

 

· 교수목표 성취를 위해 효과적이며 체계적인 교수전략을 적용해야 하며, 실제 교수성과를 가져다주는 교수 실행에 관심을 두어야 함

·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거나 학생에게 알맞은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해야 함

 

검사도구

 

· 아동기자폐증평정척도, 사회성숙도검사, 아동지적역량펑정 및 학습선호방식검사

 

부록

 

· STO 프로그램의 특성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홍준표 (2014). 응용행동분석의 특성과 발전배경. 행동분석·지원연구, 1(1), 1-19.

 

과학

 

· 과학이란 연구대상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연구방법에 의해 결정

- 불임부부의 경우

- 과학: 의사의 도움으로 시험관 아기를 얻음

- 미신: 하루방의 콧잔등을 갈아 마시고 아들을 낳음

· 응용행동분석이 다른 이론이나 접근방법과 차별화되는 특징

- 철저한 과학적 방법을 활용

 

응용행동분석의 기본철학

 

결정론

(Determinism)

· 모든 현상은 인과관계의 고리에서 발생한다는 가정

· 규칙성이나 질서가 없다면 한치 앞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과학이란 성립될 수 없음

· 과학은 관련변수들 간의 인과관계 또는 기능적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 목표

· 인간의 행동은 일정한 법칙에 따라 결정된다고 가정

· 조건과 행동의 관련성이 밝혀진다면 행동이 발생할거라 예측할 수 있고 관련변수(조건)을 조절함으로써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경험주의

(Empiricism)

· 객관적 관찰의 반복적 시행을 통하여 현상을 파악

· 관심영역의 현상에 대한 철저한 기술과 정확한 계량화에 기초한 객관적 관찰이 반복시행을 중요시 함

· 연구대상의 행동을 이해, 예측, 개선

- 행동의 명확한 정의가 요구, 표적행동을 체계적으로 관찰 기록

· 반복적 경험은 응용행동분석의 기본적 실천방안

절약의 법칙

(Parsimony)

· 관찰된 현상에 대하여 복잡하고 추상적인 설명을 시도하기 전에 가장 단순한 설명이 선행되어야 함

· 단순한 설명이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니지만, 사실을 왜곡하고 허위에 빠지는 것을 예방

- 불이 꺼졌을 때 (전구나 두꺼비집을 확인 vs 정전이라 판단하고 한전에 연락)

- 아기가 울음 (부모의 관심을 얻기 위해 vs 애착형성에 문제

· 단순한 것이 치료적 노력과 경비를 절약할 수 있음

철학적 의혹

(Philosophic doubt)

· 현재 사실로 인정되고 있는 것에 대하여 항상 의혹을 가져야 함

· 과학적 지식이란 항상 잠정적인 것, 새로운 사실의 발견으로 언제든지 대치될 수 있음

· 자기만족으로 변화에 대한 저항을 가진다면 학문의 발전은 기대할 수 없음

 

응용행동분석의 특성

 

응용연구

(applied research)

· 응용이란 피험자 또는 사회에 중요성을 가진 행동을 연구대상으로 한다는 것

- 효율적 학습행동, 대인관계 행동, 언어습득과 활용, 생산선 향상, 부부관계 행동, 자녀양육기술, 소비자 행동, 에너지의 절약, 의상의 선택, 자조행동, 안전운전, 체중조절, 여가와 운동기술 등

· 실험행동분석 vs 응용행동분석

- 실험: 중요한 행동의 원리 탐구, 엄격히 통제된 실험상황, 어떤 행동이 자극에 의해 증가될 것인지 아닌지를 밝히는 것이 중요

- 응용: 실생활에서 사회적 중요성을 가진 행동을 연구, 덜 통제된 실험 상황, 어떤 행동을 변화시킬 것인지 그 행동자체가 중요

행동적 연구

(behavioral research)

·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구체적 행동이 연구대상

· 관찰이 불가능하거나 행동이 아닌 문제들은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행동의 문제로 목표를 재설정하여 연구

· 행동적 연구가 되기 위한 기준

-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행동은 개선이 요구되는 행동

- 측정 가능한 행동

- 누구의 행동변화를 측정한 것인지 자문

분석적 연구

(analytic research)

· 행동과 환경자극 간의 기능적 관계(인과관계)를 확인

- 문제의 원인을 찾기 위해 실제 환경에서 행동의 기능성 평가

- 실험변수(원인요인)을 조작함으로써 표적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통제

기술적 진술

(technological description)

· 연구에서 사용되는 절차와 방법은 철저히 확인되고 정확하게 진술되어야 함

· 진술된 절차와 방법을 읽고 다른 연구자가 그대로 반복할 수 있도록 세부적으로 자세히 설명되어야 함

· 특정 행동과 관련하여 예상되는 모든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세부적으로 자세히 설명해야 함 (예상되지 않은, 돌발적인 상황에 대한 기술도 포함되어야 함)

개념적 체계화

(conceptually systematic)

· 행동수정에 사용된 절차와 방법이 어떤 기본원리, 또는 몇 가지 원리의 병합에서 추출된 것인지를 설명

- 예를 들어 일시퇴출(time-out)은 단순한 벌이라기보다는 정적강화와 소거의 원리로부터 추출된 개념으로 체계화

· 연구보고서를 작성할 때, 사용된 기법을 기본원리와 관련하여 자세히 설명

효과성

(effective)

· 치료기법이 효과적이라고 평가되기 위해서는 표적행동의 변화가 실용적 수준에 도달해야 함

· 응용연구에서 이론적 효과의 검증은 의미가 없고, 실제로 내담자의 행동이 사회적으로 의미 있게 변화되는 것이 핵심적 기준

- 이론연구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검증되면 효과적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응용연구에서는 임상적 및 사회적 유의성이 입증되어야만 효과적이라고 평가될 수 있음

· 눈으로 확인될 수 있는 큰 변화가 요구

- 행동의 변화가 얼마나 커야 하느냐 하는 것은 관련 당사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하고 그 효과는 일관성이 있어야 함

 

일반화 효과

(generalization)

· 행동의 변화가 장시간 지속되거나 치료기법이 적용되지 않은 다른 환경에서 나타남

- 치료적 처치가 종료된 후에도 변화된 행동이 지속, 치료적 효과가 임상적 상황을 넘어 치료를 받지 않은 상황에서도 발생

· 직접 치료를 받지 않은 다른 행동에도 전이되어 나타나는 것

- 치료의 효과가 치료의 대상이 아니었던 다른 유사한 행동에도 영향을 줌

 

응용행동분석의 정의

 

· 응용행동분석이란, 행동의 원리로부터 도출된 절차를 체계적으로 활용하고 사회적으로 중요한 행동을 유의한 정도로 개선하고, 사용된 절차가 행동의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과학

 

응용행동분석의 발전배경

 

· 인간의 모든 행동은 그것이 정상이든 이상이든 개체와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학습된다는 기본원리에서 출발

· 고전적 조건형성의 연구 작동조건형성의 연구 실천적 문제에 봉착 실용성 확대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김애화 외(2013). 음운처리 중심 절차 교수가 쓰기장애 학생의 철자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애연구, 10(2), 51-72.

 

철자와 관련된 선행연구

 

· 철자 자체에 초점을 맞춘 철자 중재가 철자 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읽기+철자 중재가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

- 체계적인 철자교수의 필요성을 지지해주는 실증적 결과

· 철자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읽기와 철자 교수를 결합한 중재보다는 철자 자체에 초점을 맞춘 철자 중재가 더 효과적

· 작문과 철자 교수를 결합한 중재보다 철자 자체에 초점을 맞춘 철자 중재가 더 효과적임

· 효과성이 높은 체계적인 철자 교수의 특성은 학생들의 오류 유형에 맞는 명시적인 철자 교수

 

철자 오류 유형

 

음운처리 오류

(단어의 소리에 대한 처리)

 

· 낱자-소리 대응관계를 제대로 적용하지 않은 오류

------------------------------------------------------------

· 한글의 경우, 소리 나는 대로 표기되는 단어를 철자로 쓸 때, 소리가 다른 단어로 잘못 쓰는 오류를 의미

- ‘예쁜여쁜으로 표기

 

표기처리 오류

(글자의 시각적 형태에 대한 처리)

 

· 낱자의 소리만으로는 올바른 표기를 할 수 없고 낱자 및 글자의 시각적 형태에 대한 인식(, 표기처리) 능력이 요구되는 단어를 철자로 쓸 때, 해당 단어의 올바른 시각적 형태를 잘못 표기하여 나타나는 오류

------------------------------------------------------------

· 한글의 경우, 받침 있는 단어의 받침을 같은 발음이 나는 다른 받침으로 대치하는 오류

- ‘믿음밑음으로 표기; ‘넓게넒게로 표기

· 음운변동이 적용되는 단어를 철자 할 때, 단어의 전체 또는 부분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경우

- ‘편리하다대신 펼리하다로 표기; ‘만약대신 만냑으로 표기

 

형태처리 오류

(형태소에 대한 처리)

 

· 단어를 구성하는 형태소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나타나는 오류

------------------------------------------------------------

· 한글의 경우, 어간과 어미의 경계를 구분하지 못하는 오류가 대표적

- ‘많고많코로 표기

· 시제 선어말 어미를 변환하는 오류

- ‘생각났다생각난다로 표기)

· 어미를 변환하는 오류

- ‘좋은좋을로 표기

 

 

오류 유형에 맞는 명시적인 철자 교수법

 

· 학생들이 보인 철자 오류가 음운처리 오류인지, 표기처리 오류인지, 형태처리 오류인지를 파악하여, 오류 유형에 따라 음운 처리 중심 교수법, 표기처리 중심 교수법, 형태처리 중심 교수법 등을 알맞게 제공하는 것

 

음운처리 중심 교수법

 

· 가장 기초가 되는 철자 교수법으로, 철자 발달의 초기에서 중요한 교수법

· 철자 발달의 초기 단계에서 소리 나는 대로 표기되는 단어의 철자에 어려움을 갖는 학생들에게는 음운처리 중심 교수법을 제공하여야 함

· 음운처리중심 교수법은 한글맞춤법의 기본이 되는 소리대로 적었을 때 올바르게 표기되는 단어의 철자 교수에 초점

· 음운처리 중심 교수법은 낱자와 소리의 대응관계(letter-sound correspondence)와 낱자 소리의 합성(blending)을 명시적으로 가르침으로써, 소리에 대응되는 낱자()를 올바르게 표기할 때 단어를 제대로 철자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교수법

 

오류 유형에 맞는 명시적인 철자 교수법 이외에 효과적인 철자 교수법

 

· 단어 철자의 반복 연습

· 자신이 쓴 철자를 스스로 점검 및 교정

· 이미 학습한 단어의 누적 연습

· 단어의 의미에 대한 교수

 

어휘

 

· 어휘는 철자 성취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

· 어휘 난이도는 학생들의 철자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 철자 교수를 실시함에 있어 단어의 철자 뿐 아니라 단어의 의미에 대한 교수를 함께 실시할 필요성을 시사

 

두 가지 유형의 철자 검사

 

첫째

· 14개 기본 자음(, , , , , , , , , , , , , )6개 기본모음(, , , , , )으로 이루어진 2음절 의미 단어(, (, 바다, 시소), 3음절 의미 단어(, 주사기, 드리다), 4음절 의미 단어(, 허수아비, 부러지다)로 검사지를 구성

둘째

· 된소리 자음(, , , , ) 그리고 (또는) 15개 모음(, , , , , , , , , , , , , , )이 포함된 2음절 의미 단어(, 돼지, 두께), 3음절 의미 단어(, 삐치다, 어깨뼈), 4음절 의미 단어(, 하얘지다, 데워지다)로 검사지를 구성

 

두 가지 원칙에 근거한 중재의 교수 내용

 

점진적 교수 내용의 소개

· 교수 내용을 점진적으로 소개함으로써 학생들이 보다 용이하게 교수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함

- 1회기에 모음 를 먼저 가르친 후, 2, 3회기에 된소리 자음을 모음 와 결합하는 교수를 실시

누적적 교수 내용의 연습

· 앞 회기에서 학습한 된소리 자음과 모음을 다음 회기에 누적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학생들이 이미 학습한 내용을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구성

- 1회기에 학습한 모음 는 다음 회기들에 누적적으로 포함되며, 이와 비슷하게 6회기에 소개된 모음 도 다음 회기들에 누적적으로 포함되도록 구성

- 모음 을 포함한 의미 단어의 빈도가 높았기 때문에 여러 회기에 걸쳐 교수

 

중재 (그림 참조)

 

· 음운처리 중심 철자 교수의 개념적 체계

· 음운처리 중심 철자 교수의 절차

 

결과

 

· 쓰기장애 학생들의 철자 성취도를 향상시키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며, 학습한 단어의 철자 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누적 연습이 보다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을 있음

· 교수에의 시사점

- 사전평가를 통해 대상학생이 보이는 철자 오류 유형을 파악한 후, 학생의 오류 유형에 맞는 철자 교수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

- 대상학생이 음운처리 오류를 보일 경우, 낱자-소리 대응관계와 낱자 소리의 합성을 명시적으로 가르치는 음운처리 중심 철자 교수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

- 철자 교수 실시, 목표 단어의 철자 뿐 아니라 단어의 의미를 명시적으로 가르치고, 문장 내에서 단어의 쓰임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음

- 가리고-기억하여 쓰고-비교하기와 같은 활동을 통해 학생이 자신의 철자를 스스로 점검하고, 필요시 오류 교정을 하고, 반복 연습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음

- 이미 학습한 단어들을 누적하여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음

김애화 (2012). 음운 인식 특성 연구: 음운 인식 단위, 과제 유형, 음절 및 음소 위치 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9(2), 93-111.

 

음운 인식

 

· 음운 인식은 다양한 언어권에서 초기 읽기 능력을 예측하는 주요한 변인으로써 평가되고 있음

· 음운 인식을 어떻게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검사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명확한 합의가 이루어지지는 않은 상황

· 음운 인식의 발달 단계 및 발갈 시기는 여러 언어권에서 비슷하게 나타는 것으로 보고

- 음절 인식, 초성-각운 또는 음절체-종성에 대한 인식은 문자 획득 이전에부터 먼저 발달하며, 음소에 대한 인식은 문자 교육에 영향을 받으면서 지속적으로 발달한다고 보고

· 음운 인식의 발달 단계는 여러 언어권에서 비슷하게 나타나는 반면, 어떠한 음운 인식 단위가 초기 읽기 및 철자 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언어권마다 다소 차이를 보임

- 영어권에서 발표된 연구들에 따르면, 음운 인식 중 음소 인식이 초기 읽기 및 철자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이를 반영하여 영어권에서 사용하는 음운 인식 검사(, DIBELS)들은 음소 인식을 측정하는 소검사(, 음소 분리, 음소합성, 음소분절, 음절 탈락, 음절 대치 등)를 집중적으로 포함

 

음운 인식 검사

 

· 음운 인식 검사의 차이는 음운 인식 단위와 음운 인식 과제 유형 중 어떠한 것을 포함하는가에 따라 나타남

- 음운 인식 단위란 음운 인식 수준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음절 인식, 초성-각운인식 혹은 음절체-종성인식, 음소 인식 등

- 음운 인식 과제 유형에는 변별, 합성, 분리, 수세기, 분절, 탈락, 대치 등

 

한글

 

· 명확한 음절 경계를 지닌 언어의 경우에는 음소 인식 뿐 아니라 음절 인식이 읽기 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 한글의 경우 음소 인식 뿐 아니라 음절 인식과 음절체-종성 인식이 초기 읽기 능력을 더 많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남

 

음운 인식 단위, 과제 유형, 음절 및 음소 위치를 고려한 음운 인식 하위 검사

 

 

 

과제 유형

음절 및 음소 위치

10개 하위 검사

음운

인식

단위

음절인식

분리, 탈락, 대치

첫 음절, 가운데 음절, 끝 음절

음절 분리

음절 탈락

음절 대치

음소인식

분리, 탈락, 대치

첫 음소, 가운데 음소, 끝 음소

음소 분리

음소 탈락

음소 대치

초성-각운 인식

합성, 분절

해당 사항 없음

초성-각운 합성

초성-각운 분절

음절체-종성 인식

합성, 분절

해당 사항 없음

음절체-종성 합성

음절체-종성 분절

 

10개 하위 검사

 

음절 분리

 

· 음절 분리는 단어 내 특정 음절을 분리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2~3음절 단어, 교사의 지시에 따라 첫 음절, 가운데 음절, 끝 음절을 분리

 

) 선생님을 따라하세요. /고추/. (아동이 /고추/라고 말한다.) /고추/에서 첫소리가 무엇이죠? [: ]

 

음절 탈락

 

· 음절 탈락은 단어 내 특정 음절을 탈락시킬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2~3음절 단어, 교사의 지시에 따라 첫 음절, 가운데 음절, 끝 음절을 탈락

 

) 선생님을 따라하세요. /비누/. (학생이 비누라고 따라한다) 이번에는 //를 빼고 말해보세요. [: ])

 

음절 대치

 

· 음절 대치는 단어 내 특정 음절을 다른 음절로 대치시킬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2~3음절 단어, 교사의 지시에 따라 첫 음절, 가운데 음절, 끝 음절을 대치

 

) 선생님을 따라하세요. /무지개/. (아동이 무지개라고 따라한다) 이번에는 ////로 바꾸어 말해보세요. [: 무니개]

 

음소 분리

 

· 음소 분리는 1음절 단어 내 특정 음소를 분리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자음-모음(Consonant-Vowel[CV])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와 자음-모음-자음(CVC)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

· 첫 음소, 가운데 음소, 끝 음소 분리

· 자음이 첫 음소에 위치할 때는 무표 모음인 를 붙여 발음(, /, /)하였고, 종성에 위치할 때는 무표 모음을 앞에 두고 받침소리로 넣어 발음(, /, /)

· 교사의 지시에 따라 첫 음소, 가운데 음소, 또는 끝 음소를 분리

 

) 선생님을 따라 하세요. //. (아동이 라고 말한다.) //에서 첫소리가 무엇이죠? [: ]

 

음소 탈락

 

· 음소 탈락은 1음절 단어 내 특정 음소를 탈락시킬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자음-모음(Consonant-Vowel[CV])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와 자음-모음-자음 (CVC)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

· 첫 음소와 끝 음소 탈락

· 교사의 지시에 따라 첫 음소 또는 끝 음소를 탈락

 

) 선생님을 따라하세요. //. (아동이 이라고 따라한다) 이번에는 //을 빼고 말해보세요. [: ]

 

음소 대치

 

· 음소 대치는 1음절 단어 내 특정 음소를 다른 음소로 대치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자음-모음(Consonant-Vowel[CV])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와 자음-모음-자음(CVC)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

· 첫 음소, 가운데 음소, 끝 음소 대치

· 교사의 지시에 따라 첫 음소, 가운데 음소, 또는 끝 음소를 다른 음소로 대치

 

) 선생님을 따라하세요. //(아동이 이라고 따라한다) 이번에는 ////으로 바꾸어 말해보세요. [: ]

 

초성 -

각운 합성

 

· 초성-각운 합성은 분절된 초성과 각운을 합성하여 1음절 단어로 발음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자음-모음-자음(CVC)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

· 초성(C)와 각운(VC)로 분절되어 제시되는 소리를 듣고 아동이 이 둘을 합쳐서 CVC 단어로 발음

 

) 선생님이 단어를 따로따로 나눠서 말할 거예요. 그러면, oo가 듣고, 합쳐서 말하는 거예요. /-/ [: ]

 

초성 -

각운 분절

 

· 초성-각운 분절은 자음-모음-자음(CVC)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를 초성(C)와 각운(VC)로 분절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자음-모음-자음(CVC)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

· 자음-모음-자음(CVC) 단어가 제시되면 아동이 초성(C)과 각운(VC)로 분절

 

) 선생님을 따라하세요. //. (아동이 //이라고 따라한다). 이번에는 oo//을 따로따로 나눠서 말해주세요. [: -]

 

음절체 -

종성 합성

 

· 음절체-종성 합성은 분절된 음절체와 종성을 합성하여 1음절 단어로 발음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자음-모음-자음(CVC)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

· 음절체(CV)와 종성(C)로 분절되어 제시되는 소리를 듣고 아동이 이 둘을 합쳐서 CVC 단어로 발음

 

) 선생님이 단어를 따로따로 나눠서 말할 거예요. 그러면, oo가 듣고, 합쳐서 말하는 거예요. /-/ [: ]

 

음절체 -

종성 분절

 

· 음절체-종성 분절은 자음-모음-자음(CVC)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를 음절체(CV)와 종성(C)으로 분절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자음-모음-자음(CVC)으로 이루어진 1음절 단어

· 자음-모음-자음(CVC) 단어가 제시되면 아동이 음절체(CV)와 종성(C)으로 분절

 

) 선생님을 따라하세요. //. (아동이 //이라고 따라한다). 이번에는 oo//을 따로따로 나눠서 말해주세요. [: -]

 

 

음절 인식에서 과제 유형과(음절 분리, 탈락, 대치)과 음절 위치(, 가운데, 끝 음절)에 따른 정답률의 차이

 

· 모든 음절 위치에서 음절 대치가 다른 과제들보다 정답률이 유의하게 낮음

· 모든 과제에서 가운데 음절이 다른 음절보다 정답률이 유의하게 낮음

· 첫 음절과 끝 음절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음

- 끝 음절이 첫 음절보다 다소 어려움

· 가운데 소리를 조작하는 과제가 첫 소리나 끝 소리를 조작하는 것보다 더 어려움

- 첫 소리는 초기 효과(primacy effect)로 인하여 그리고 끝 소리는 최근 효과(regency effect)로 인하여 더욱 쉽게 인식 및 조작될 수 있다고 해석

 

음소 인식에서 과제 유형과(음절 분리, 탈락, 대치)과 음절 위치(, 가운데, 끝 음절)에 따른 정답률의 차이

 

· 첫 음소에서만 음소 탈락과 음소 대치 간 유의한 차이

· 음소 분리에서만 첫 음소와 가운데 음소 사이에 유의한 차이

· 음소 대치가 다른 과제보다 낮은 정답률을 보임

· 음절 인식에서는 모든 과제에서 첫 음절과 끝 음절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

· 음소 인식에서는 음소 탈락에서 끝 음소 탈락이 첫 음소 탈락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정답률

· 한글에서는 가운데 음절 및 음소 조작이 가장 어렵고 그 다음으로 끝 음절 및 끝 음소 조작, 그리고 첫 음절 및 첫 음소 조작의 순의 난이도

 

과제 유형(합성, 분절)에 따른 초성-각운 인식과 음절체-종성 인식의 정답률 차이

 

· 모든 과제에서 초성-각운이 음절체-종성보다 정답률의 유의하게 낮음

· 초성-각운과 음절체-종성 모두 분절 과제 유형이 합성 과제 유형보다 정답률이 낮음

· 음절체-종성 인식 과제의 정답률이 초성-각운 인식 과제의 정답률보다 높음

- 영어권 및 유럽권의 선행 연구의 결과와는 상반된 것

- 한글의 CVC 1음절 단어의 구조를 초성-각운 구조로 나누기보다 음절체-종성 구조로 나누는 것이 심리적으로 더 가깝게 느낀다고 해석할 수 있음

 

결과 종합

 

· 음절 및 음소 인식에서 가운데 음절 및 음소 인식이 가장 어려움

· 음절 및 음소 대치 과제는 다른 과제(분리 및 탈락) 보다 어려움

· 한글의 CVC 음절 구조는 음절체-종성 구조로 나누어 인식하는 경향

 

김미배, 배소영(2014). 음운해독부진아동의 낱말읽기능력과 예측변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9), 329-343.

 

발달의 지표

 

· 학령전기까지 아동들은 자신의 신체, 운동, 인지, 사회성, 언어를 발달시킴

· 언어

- 얼마나 많은 어휘를 이해하고 표현하는가

- 얼마나 긴 문장을 점차 복잡하게 사용하는가

- 일상대화에서 기본적인 언어구조를 갖추어 사용할 수 있는가

· 언어의 어려움은 학령기에 읽기 및 쓰기에 어려움으로 연결

 

읽기, 쓰기

 

· 읽기, 쓰기 능력은 학습을 위한 기초능력이며 특히 읽기는 아동의 능력, 전략, 지식이 융합되어 나타나는 능력으로 의사소통의 수단이자 학습의 도구가 되는 중요한 능력

읽기

· 아동의 읽기는 인쇄물에 노출된 후 시작되어 인생전반에 걸쳐 꾸준히 발달

· 읽기는 학령전기부터 시작되며 글자에 노출되어 자주 접하는 낱말을 인식하여 읽어내고 언어의 규칙성을 발견하여 의미적, 음운론적 지식으로 새로운 글자를 점차 유창하게 읽어내며 이후 의미, 문법지식을 활용하여 읽은 내용을 이해하고 추론, 비판, 재구성, 판단하게 됨

· 글자를 읽어내는 읽기를 배우는 단계(learn to read)가 읽은 내용을 이해하는 학습을 위한 읽기단계(read to learn)보다 선행

읽기의 단순관점 모델

(Simple view of reading)

· 글자를 음운으로 해독하여 읽어내는 음운해독(decoding) 능력과 언어적 이해(linguistic comprehension) 능력이 필수적이며 이중에 하나라도 문제가 생겼을 때 읽기이해에 어려움이 생김

음운해독과정

(이중경로모형)

· 음운해독은 인쇄된 글자를 언어로 전환하는 능력

· 음운해독능력은 낱말읽기를 통해 살펴볼 수 있음

· 이 모형에서는 어휘경로 음운경로의 상호적이며 독립적인 과정으로 설명

- 인쇄된 글자는 지각과정을 거쳐 자신의 심성어휘집에 도달

- 심성어휘집에서 의미를 찾아내 파악

· 인쇄된 낱말이 심성어휘집에 도착하기 위해, 심성어휘집에 도달한 후 소리내어 읽어내기 위해 낱말의 음운적 표상이 필요

- 친숙하지 않거나 무의미 낱말을 읽을 때 음운경로를 통해 해독

- 자소들이 모여 낱말을 구성하며 각 자소에 대응하는 음소들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함

- 음소지식에 제한이 있거나 자소에 음소를 빠르게 대응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경우 낱말읽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낱말읽기에 음운처리능력이 관련됨

심성어휘집

(mental lexicon)

· 자신의 심성어휘집에 있는 친숙한 낱말은 시각경로가 활성화되어 빠르게 해독

· 비친숙한 낱말, 무의미 낱말을 자소와 음소를 대응규칙에 따라 음운정보로 바꾼 뒤 해독하게 되어 속도가 느리며 정확도가 낮음

· 심성어휘집에 저장된 어휘의 양이 낱말을 읽어내는 데 영향을 줄 수 있음

낱말읽기능력을 예측하는 요인

· 음운인식

- 음운을 인식하고 조작하는 능력

· 음운기억

- 인쇄된 글자를 빠르게 음운으로 부호화하여 저장하고 재부호화하여 산출하는 능력

· 빠른 이름대기

쓰기

· 이 논문에서는 읽기에 초점을 두어 쓰기와 관련된 내용이 없음

 

검사도구

 

· 언어기반읽기검사(한국어읽기검사)

- 이 연구에서 낱말읽기능력, 음운인식능력, 빠른이름대기능력, 음운기억능력을 측정

· 수용표현어휘력검사(REVT)

- 이 연구에서 수용어휘력을 측정하기 위해 수용어휘력 검사만 실시

 

검사

 

음운해독검사

(2음절 낱말)

의미낱말

자소-음소 일치형

포도, 장소

자소-음소 불일치형

독서, 봄비

무의미낱말

자소-음소 일치형

가더, 다돈

자소-음소 불일치형

박산, 딥합

음운처리 평가 중

음운인식검사

합성과제(음소, 음절 수준)

+=방울

탈락과제(음소, 음절 수준)

나비-=

빠른 이름대기 검사

무작위로 1음절 글자, 숫자

50

음운기억검사

2~5음절로 된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

망씁, 발무린, 솔포코절, 직쏘분천다

 

결과

 

음운해독부진아동의 낱말읽기능력

· 음운해독부진아동은 무의미낱말보다 의미낱말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임

· 일반아동은 무의미낱말보다 의미낱말에서 높은 수행력을 보이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

읽기집단에 따른 낱말읽기 관련요인능력

· 수용어휘력,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음운기억 모두 음운해독부진아동집단이 일반아동집단보다 더 낮은 수행력을 보임

낱말읽기능력을 예측하는 변인

· 음운해독부진아동 집단에서는 낱말읽기와 모든 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

- 어휘,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음운기억이 함께 낱말읽기능력을 58.1% 예측

- 빠른 이름대기와 음운기억은 독립적으로도 낱말읽기능력을 유의하게 예측

· 일반아동 집단에서는 낱말읽기와 음운기억을 제외한 변인이 유의한 상관

- 어휘,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음운기억이 함께 낱말읽기능력을 30.4% 예측

- 각각의 변인이 독립적으로 낱말읽기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하지는 않음

 

정리

 

· 의미낱말 = 자소-음소 대응규칙 + 의미단서 활용 -> 쉬움

· 무의미낱말 = 자소-음소 대응규칙 활용 -> 어려움

· 낱말읽기로 살펴볼 수 있는 음운해독은 아동의 어휘지식, 음운처리능력과 관련이 높은 능력

· 글자의 해독

- 시각적으로 재인된 자소를 음소와 대응시키고 분석하여 자신의 어휘지식과 연결하며 다시 소리로 바꾸어 읽어내는 과정

- 어휘와 음운지식이 통합적으로 함께 활용되는 능력

- 음운해독의 삼각형 모델에서도 음운론적 능력, 의미론적 능력, 글자의 표상능력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낱말을 읽어낼 수 있다고 함

· 아동은 새로운 낱말을 보았을 때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에서 읽어내는 방법을 유추하여 새로운 낱말을 읽을 수 있으며 쓰여진 낱말은 여러 자소가 구성하고 있으며 자소에 대응하는 음소들이 있다는 것을 알고 읽어내야 함

· 음운해독은 지각된 정보에서 음운을 정확하게 빠르게 확인하는 능력이 요구됨

· 빠른 이름대기

- 얼마나 상징을 음운으로 빠르게 표상하여 인출하는가에 대한 능력

- 음운해독부진아동 집단에서 이 능력이 낱말읽기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남

· 음운기억능력

- 음운해독부진아동 집단에서 이 능력이 낱말읽기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남

- 자소에 음소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음운정보를 부호화하여 효율적으로 저장하여 조작하고 인출 할 수 있어야 함

- 음운정보를 저장하는 용량과 저장 및 인출과정에 어려움으로 음운해독문제를 보일 수 있음

- 음운기억은 초기 읽기학습자에게 중요한 역할

 

 

김길순 (2008). 학습장애아를 위한 음운인식 지도 방안. 학습장애연구, 5(2), 85-105.

 

음운인식

 

· 말을 이루고 있는 개별 소리와 소리 구조에 주의하는 능력

· 어떤 사람의 말이 문장에서 단어로, 단어에서 음절로, 음절에서 두음과 운모로, 음절에서 가장 작은 단위인 음소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이들을 조작할 수 있는 능력

· 구어, 구어를 근간으로 하여 형성되는 문어의 학습에 선행되어야 할 기능

· 초기 읽기와 철자 학습에 기초적이고 핵심적인 기능 (읽기능력, 쓰기능력과 밀접한 관련)

· 음운인식 능력의 획득을 통해 말소리 정보와 글자 정보를 연결하여 자소-음소 대응 규칙을 쉽게 이해하게 되며, 글자 정보를 말소리 정보로 쉽게 전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아동의 머리 속에 있는 의미 정보와 연결하여 단어재인을 하게 됨

·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나라 아동들에 비해 음운인식 능력의 발달이 약간 빠름

- 음절 인식은 약 4세경, 음소인식은 약 7세경에 획득

· 음운인식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영어권에서 이루어져서 한글에 바로 대입하기는 어려움

 

한글의 특성

 

· 세계에서 유일하게 문자를 창제한 사람과 년도를 알 수 있는 언어

· 창제 당시 발성 기관의 모양과 소리의 특성을 살려 만든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문자 언어

- 읽고 쓰기를 배우기 쉽고 읽기와 쓰기 능력의 발달이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아동들에 비해 빠름

 

· 글자의 기본 단위가 음소로 이루어진 음소문자이면서 음절문자처럼 음절단위로 모아쓰기를 함

- 음절은 초성이나 종성이 없어도 성립될 수 있으나 음절핵인 모음이 없이는 성립될 수 없음

- 음절은 하나 이상의 음소가 모여 이루어지며 초성, 중성, 종성을 이루는 1~4개의 음소를 가로와 세로로 조합하여 음절 단위로 모아쓰게 되어 있음

- 한글의 음소는 자음소 19, 유음소 1, 활음소 2, 단모음소 10, 장모음소 10, 단이중모음소 10, 장이중모음소 11개가 있음

- 자음과 모음의 조합 방식으로 구분한 6가지 글자형

1: 자음 + 종모음

:

2: 자음 + 횡모음

:

3: 자음 + 횡모음 + 종모음

:

4: 자음 + 종모음 + 받침

:

5: 자음 + 횡모음 + 받침

:

6: 자음 + 횡모음 + 종모음 + 받침

:

 

· 한글은 소리와 글자의 대응관계가 분명하고 규칙적이며, 표음성이 매우 뛰어난 표음문자

- 한글은 14개의 자음자와 10개의 모음자로 구성된 매우 조직적인 문자

- 음운의 조음위치와 조음방식 등 변별적 자질과 이들의 차등관계 및 유무관계가 문자 자체에 반영된 자질문자

- 자소와 음소의 대응이 거의 1:1에 가까워서 자소-음소 대응규칙을 할면 모르는 단어도 쉽게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한글은 표기에 있어서는 단어의 뜻을 밝히기 위해 기본 형태소의 원형을 살려 표의문자처럼 표기

- 나타 낳다

- 표의문자처럼 기본 형태소의 원형을 살려서 표기하므로 음운을 발음하는 과정 즉, 음운과정에 음운의 변동이 일어나게 됨

음운과정

교체

주로 어간과 어미가 통합할 때 그 경계에 있는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변동하는 것

작지 작찌

탈락

형태소(기저형) 경계에서 형태소(기저형)를 구성하는 어떤 음운이 없어지는 것

놓아도 노아도

삽입

형태소 경계에서 형태소에 존재하지 않는 음운이 더 들어가는 것

+사니

축약

형태소 경계에 있는 두 음운이 합쳐져서 그 언어에 존재하는 어떤 하나의 음운으로 되는 것

좋고 조코

도치

하나의 형태소 내부에서 음운들의 순서가 뒤바뀌는 것

달이 다리

달나라 달라라

 

음운인식

 

음운

· 하나의 음운상의 차이 뿐이지만 전달되는 정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발이 아파요, 팔이 아파요 (, )

- 님과 남, 물과 불

· 음운은 말의 뜻을 구별하여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 음운은 음소와 동일시하여 쓰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음소와 운소를 모두 다루는 영역으로 좀 더 포괄적인 개념

음운인식

· 구어 단어가 일련의 개별 소리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능력

· 구어의 일부분인 단어, 음절, 두음-운모, 음소를 알고 조작하는 것

· 구어 단어에서 개별 소리들을 알아차리고 생각하고 다루는 능력

· 구어가 더 작은 요소로 나누어질 수 있고 음이 여러 방법으로 조작될 수 있음에 대한 이해

· 어떤 사람의 말에 있는 단어의 음운론적 구조에 대한 민감성 내지는 분명한 인식으로 단어 내에 있는 개별 음소들을 알아차리거나 그것에 대해 생각하거나 조작하는 능력

음운인식

관련용어

· 음운인식, 언어 인식, 청각적 분석, 음운 분절, 음소 분석

음운과정

· 문장과 단어에 대한 인식이 가장 쉬우며 먼저 획득되고 음소인식이 가장 어려우며 나중에 획득

 

음운인식의 4가지 하위 영역

 

단어, 음절, 두음-운모, 음소

단어인식은 어린 나이에 나타나며 구어가 일련의 단어들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아는 것

· 들은 문장에서 단어의 수를 세거나 두드리는 것은 단어 인식에 접근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

음절인식은 단어에서 가장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단위로 대부분의 아동들은 최소한의 지도로 단어 분절 능력을 습득

· 한글에서는 음소들을 음절 단위로 모아쓰기 때문에 다른 언어에 비해 음절에 대한 이해가 더 빠를 수 있음

· 단어에서 음절의 수를 세거나 두드리는 것은 음절인식에 사용되는 활동

두음-운모 인식은 음절 내 단계에서 나타나며 음절과 음소의 중간 수준으로 음절을 onsetrime으로 쪼개는 것을 포함

· 모든 음절이 모음을 포함하는 rime을 가지지만 모든 음절이 onset을 가지는 것은 아님

- , , , and, off, up

· onset(pinkp, 산에서 ), rime(cup에서 up, 감에서 암)

음소인식은 단어 내에서 개별 음소들과 그 순서를 정의하고 전체에서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됨

· 음소는 가장 작은 소리의 단위로 음소인식은 음소와 자소 간의 관계를 적용한다는 점에서 음운인식과 다소 차이가 있음

· 음소인식 기술은 같은 음소를 찾고 단어를 음소들로 분절하며 단어 내에서 음소의 순서대로 결합하는 능력 등이 포함

· 음소들은 순수한 방법으로 분절하기가 쉽지 않음

- 말의 연속적인 흐름 속에서 음소들이 인접한 음소들의 발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 음소인식은 음절이나 음절 내 분석보다 훨씬 어렵고 정교함

· 학생들에게 음절이나 단어에 있는 음소들을 말해보게 하는 것은 음소인식의 요소를 평가하고 가르치는 과제 중의 하나

 

음운인식 과제

 

전반적인 음운인식을 다룬 프로그램

GoldsworthyPieretti(2003)

Source book of phonological awareness activities: Children's core literature grades 3-5

단어와 음절, 음소 수준의 분절, 결합, 분리, 삭제 과제를 통해 음운인식에 대한 핵심 지식을 통합하는 활동들로 구성

Lencher(2001)

Sound wizard: Strategy-building games for phonological awareness

아동들이 운을 인식하고 산출하기와 음절을 분절하고 삭제, 결합하기, 음소 알기와 연결하기, 음소 결합, 소리-상징 대응하기, 음소 조작하기 등을 배우고 연습할 수 있는 18개의 전략에 기초한 게임카드를 활용하는 활동들이 포함

Academic Communication Associates(2000)

Phonological awareness in words and sentences(PAWS)

단어와 문장, 짧은 이야기에 들어있는 음소 패턴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는 활동들로 문장에 있는 운율 찾기, 단어에서 음절 찾기, 모음 교체하기, 단어에서 음소 찾기 등의 과제들과 같은 음소로 시작하거나 끝나는 단어 찾기, 복합어 만들기, 단어 내에서 음절 패턴 비교하기, 음소 바꾸어 새 단어 만들기, 결합하기 등으로 자음과 모음, 이중모음, 문장과 단어에서 결합하기 등이 포함

 

음소인식 활동 프로그램

McCormick (2002)

Phonemic awareness lessons for reading success

학급 전체나 소그룹, 부가적이고 더 집중적인 지도를 요하는 학생을 위한 음소인식 촉진 활동과 영어 자음소의 청각적, 시각적, 운동 근육의 특성에 초점을 맞춘 음소인식 촉진 활동들로 구성된 프로그램

Donnelly (1998)

Phonemic awareness in young children: A classroom curriculum

운율 찾기와 음절 세기, 첫소리가 같은 단어 연결하기, 음소 세기, 단어 길이 비교하기, 음소를 글자로 표현하기 등에 대한 평가가 포함된다. 음소를 듣거나 연속적인 음소를 듣는 활동과 이나 노래, 후렴구가 있는 시, 운율이 있는 이야기, 운율이 있는 단어, 운율 맞추기 등 운율 활동들이 포함

 

학습장애아를 위한 지도 방안

 

· 음운인식을 형성하는 초기에는 단음절 단어를 제시하여 쉽게 반응할 수 있도록 2개의 단어 중에서 선택을 하도록 구성하고, 점차 숙달이 되면 단어 내의 음절 수와 제시하는 단어 수를 늘여가는 것이 효과적

· 음운인식을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지도 방법을 제시

· 기억이나 이해를 돕기 위해 여러 가지 단서나 촉진 활동도 활용

 

한글의 특성을 고려한 음운인식 지도 방안

 

· 음절 수준의 다양한 음절 형태를 고루 다루어 아동들이 음절을 확실히 인지하고 1음절어의 음소수가 적은 단어부터 다루는 것이 효과적

· 음소 수준의 음운인식을 지도할 때에는 시각적인 단서를 이용하여 음소와 자소의 연결을 이해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

· 다양한 촉진 활동을 접목시켜 음운인식 과제가 재미있는 활동이 되도록 계획해야 함

김애화 외(2015). 체계적·명시적 음운규칙 교수가 읽기장애학생의 음운변동이 적용되는 단어인지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애연구, 12(1), 201-222.

 

한글

 

· 한글은 음절과 음절의 경계에서 음운변동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낱자-소리 대응관계로만으로 올바르게 발음할 수 없는 단어(불규칙 단어)가 상당수

· 한글은 1음절 글자의 경우 낱자-소리 대응관계가 투명한 표음문자의(규칙 단어)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2음절 이상의 단어일 경우에는 그 단어의 본래 형태를 밝혀 적도록 표기하는 표의주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음

- 철자법으로 모아쓰는 음절 단위와 말소리가 발음되는 음절 단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상당수

 

파닉스 (단어가 가진 소리, 발음을 배우는 것)

 

· 불규칙 단어를 읽을 때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효과적

· 체계적인 파닉스

- 파닉스 요소들을 계획적이고 순서적으로 소개하고 가르치고 연습시키는 교수

· 파닉스 요소

- 낱자-소리 대응관계의 규칙, 낱자-소리 대응관계를 통한 규칙 단어 읽기, 낱자군이나 음절패턴을 가르치는 것

· 낱자군이나 음절패턴에 대한 교수는 불규칙적인 단어를 가르칠 때 적용될 수 있음

 

한글에서 음운규칙이 적용되는 단어들을 음운규칙별로 체계적으로 가르치기

 

· 연음, 구개음화, 설측음화, 설측음의 비음화 등

· 가르치는 순서 (난이도를 고려 - 난이도를 고려할 때 빈도수를 고려해야 함)

- 연음, 탈락, 축약, 자음 동화(구개음화, 비음화, 설측음화 등)

 

체계적인 교수, 명시적 전략 교수

 

· 체계적인 교수

- 난이도에 맞춰 계획하고, 계획대로 교수를 진행함으로써 학생이 필요한 선수 지식과 기술을 터득한 후에 새로운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진행하는 교수

· 명시적 전략 교수

- 전략 및 개념 등에 대한 구체적이고 자세한 설명, 반복적이고 체계적인 연습 및 복습, 전략 사용에 대한 단서 제시 등을 포함하는 교수

· 체계적 + 명시적 + 반복적이고 체계적인 연습 및 복습의 기회 제공 + 전략 사용에 대한 단서 제시

 

읽기장애모델

 

· 불일치 모델, 저성취 모델, 중재반응 모델, 읽기성취와 읽기인지처리능력을 함께 보는 진단 모델

이재국 외(2015). 쓰기부진 초등생의 형태소 및 철자지식을 활용한 문장쓰기 중재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6), 139-156.

 

쓰기

 

· 쓰기의 궁극적 목표는 의미를 전달하는 것

· 글씨쓰기(handwriting), 철자쓰기(spelling), 작문(composition)

· 철자쓰기는 맞춤법에 맞추어 정확히 쓰는 것을 말하는데 작문쓰기 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

 

표기체계

 

· 철자 발달은 각 언어의 표기체계의 깊이의 영향을 받음

· 표기체계는 자소-음소의 대응 정도에 따라 표층표기체계와 심층표기체계로 나눔

 

한국어

 

· 한국어는 심층표기체계인 영어에 비해 자소-음소 대응도가 높으므로 상대적으로 표층표기체계 의존도가 높은 편임

· 자소를 수평으로 나열하는 영어와 달리 한국어는 초성-중성-종성의 음절 블록을 단위로 하여 표기되는 특징을 가짐

· 음운적 측면에서 한국어 표기 단위는 V, VC, CV, CVC의 네 가지 유형 중 한가지로 실현

· CVC 음절 유형에 포함되는 종성 낱글자는 한국어 철자 쓰기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

- 한국어 화자의 음운 표상은 음절에서 점차 음절체-종성 구조를 구분하는 것으로 발달

(음절체-종성 단위를 조절하는 능력은 이후 한국어 읽기 및 쓰기 발달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

- 한글은 종성의 위치에서 1~2개의 자소 표기를 허용하고 있으나, 실제로 실현되는 음소는 7(7종성 법칙)

 

형태소(실질, 형식) -> 어절 -> 문장

 

· 실질 형태소: 국물(궁물), 형식형태소: 밥도(밥또)

 

철자발달

 

· 초기 철자발달은 음운처리, 표기처리, 형태처리를 기반으로 이루어 짐

음운처리

· 자소와 음소가 일치하는 낱말을 쓸 때 적용

· 음운처리 오류

- 소리나는 대로 표기되는 자소를 쓸 때 다른 음소의 자소로 잘못 적는 것

- 나무 -> 나부

표기처리

· 자소와 음소가 일치되지 않은 형태에 대한 지식을 갖추는 것

· 표기처리 오류

- 음운규칙이 적용되는 자소를 표기할 때 나타남

- 국자 -> 국짜

형태처리

· 문법형태소 인식이 부족으로 나타남

· 형태처리 오류

- 문법형태소를 표기할 때 나타남

- 지쳤다 -> 지친다

 

선행연구

 

· 목표가 되는 맞춤법을 명시적으로 알려주는 방식이 학습에 효과적

· 고쳐쓰기와 같은 초인지적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 유지에 긍정적

· IPAD와 같은 기기의 활용은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김소진, 강옥력(2014). 의미단위 띄어 읽기 전략 교수가 읽기이해부진아동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애연구, 11(1), 243-259.

 

읽기

 

· 모든 교과학습의 기본, 교과내용을 학습하기 위한 주요 수단

 

읽기의 결함

 

· 교과학습에 부정적 영향(학습 부진)

· 정보를 얻는데 제한으로 성공적인 사회생황을 하는데 어려움

· 자아개념에 부정적 영향

 

읽기기술

 

· 단어재인에서 어려움

: 난독증

· 읽기이해에서 어려움

: 이해부진

· 두 가지 모두 어려움

: 혼합형 읽기장애

 

한글

 

· 읽기의 핵심적인 능력은 읽기 이해

· 한글은 표음문자, 공간적으로 분리

- 다른 나라의 문자언어를 배우는 학생들보다 단어재인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이 적음

- 동음이의어나 다의어가 많아 읽기 이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의미단어 띄어 읽기

 

· 알맞게 띄고 쉬면서 자연스럽게 읽는 방법

- 숨이 가쁘지 않게 읽는 내용을 독자나 청자가 알 수 있도록 문장을 구나 절 또는 의미단위로 띄어 읽는 것

· 촉기 읽기단계에서 단어재인기술을 가르치고, 이를 획득한 학생들에게 의미단위 띄어 읽기를 익히게 함

 

읽기유창성 및 읽기이해에서 의미단위 띄어 읽기의 중요성

 

· 읽기유창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문장을 중요한 구나 절로 나누지 못하는 것에서 시작

· 읽기이해의 인지적 접근의 기본 단계 중 첫 걸음이 하나의 문장을 단어와 구로 나누어 의미를 해석하는데 있음

 

중재

 

· 핵심이 되는 단어를 충분히 이해한 뒤 교사의 충분한 시범 제공

- 알맞은 억양, 속도, 쉼 등

· 즉각적인 피드백 제공

· 띄어 읽기, 교사의 모델링, 반복 읽기

· 일상생활과 관련된 사전 지식을 활성화

· 사실적 이해 > 추론적 이해 > 비판적 이해 순으로 영향

 

한경근(2012). 특수교육 장면에서의 UDL 적용: 교수 방법적 실제. 2012 한국특수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27-48.

 

보편적 학습 설계

 

· 모든 학생들은 독특한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다는 굳건한 신념을 바탕으로 한 교육과정(학습목표, 자료, 교수학습방법, 평가) 접근

· 학생들의 다양성을 우선으로 삼아 학생들이 가지는 교육적 요구의 다양성에 맞추어 교육과정 설계를 융통성 있게 고안한 것

· 미국에서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이라는 통합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으로 여겨짐

· UDL의 핵심을 수업의 실제에 두어야 함

- 교과 학급상황에서 교과의 속성에 부합하는 최적의 수업 모형 및 전략이 적용되는 것

· 통합교육 장면에서만 국한된다는 점이 아님

- 기본교육과정에서의 UDL적용

 

통합교육 장면에서의 UDL 수업

 

· UDL의 이론적 바탕이 되는 다중지능이론은 학습자마다의 강점이 있다는 것을 주목하고 이를 교육 장면에 활용할 것을 주문

· UDL의 또 다른 배경은 신경과학 분야의 연구

- 세 가지의 광범위한 신경 네트워크가 존재

- Vygotsky의 학습에 있어서 3가지 전제 기술과 일치

- 학습할 정보의 인식, 그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전략의 적용, 학습 과제에의 참여

· RoseMeyer(2002)의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방법

인지적 네트워크

· 다양한 예의 제공, 중요한 특성들을 강조, 다양한 매체와 구성방식을 제공, 내용의 배경지식 지원

전략적 네트워크

· 수행의 모델 제공, 도움과 함께 실행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 수업 도중 관련 있는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 표현하는 방식을 위한 융통성 있는 기회를 제공

정의적 네트워크

· 내용과 도구의 선택권을 제공, 도전에 있어 조절 가능한 수준을 제공, 보상과 학습내용의 선택권을 제공

· RoseMeyer(2002)의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방법은 응용특수교육공학센터(CAST)에 의해 제안된 UDL의 원리인 다양한 정보제시수단, 다양한 표현수단, 다양한 참여수단의 제공으로 재정리

· Conn-Powers(2009)

CAST

세 가지 원리

· 공평한 교육과정

- 교육과정 적용이 불필요하게 장애학생을 분리시키지 않음

· 성공지향의 교육과정

- 교육활동 참여에 방해가 되는 불필요 요소들을 제거하여 참여 독려

· 학습을 위한 적절한 환경의 원리

 

UDL 6가지 원리의 적용

 

UDL의 특징

 

· 수업의 준비단계에서부터 교사가 계획

· 학생 중심의 지원을 포괄

· 사전 준비 내용과 좌정 중의 지운은 교과 수업 활동의 특징에 부합하는 것

· 세심하게 계획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지고 또한 즉각적인 지원이 포함

- (구체적인 지원 행위는 즉각적인 지원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교사의 전문적인 판단에 의존하게 되는 행동이지만)

· 처음부터 잘 고안된 수업이 핵심(Rose, Gravel, & Domings(2010))

- 잘 고안된 수업은 모든 학습자들이 성공할 수 있도록 적절한 도전감과 지원을 제공하는데 있어 충분한 옵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화되어 있는 수업

· UDL의 성패는 잘 짜여진 수업과 효과적으로 입증된 수업 전략의 적용에 있음

- 기기 중심의 테크놀로지에 의존하지 않아도 됨

- UDL은 사전 조치, 보조공학은 일종의 사후 조치

- UDL의 실행조건을 테크놀로지에 과도하게 의존하게 된다면 UDL이 아닌 보조공학의 적용으로 흐를 수 있음

 

학술지에 나와 있는 수업지도안 참조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