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순자(2011). 비고츠기 손상학 보완개념에서 바라보는 장애의 발달 과정. 특수교육학연구, 45(4), 179-195.

 

비고츠키

 

· Vygotskij는 한 사람이 어떤 병력을 가지고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사람에게 이 병력이 나타나는지를 거론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함

- 결함(손상)이 인격발달의 전체적인 시스템 안에서 어떤 자리를 차지하는지를, 어떤 구조를 형성해 가는지를, 장애아가 어떻게 자신의 결함을 극복 내지 완화 하는지를 나타내 주기 때문

- 결함은 전 생애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며 병력의 과정은 인지가 성숙할 때까지 끝나지 않는다고 말함(아래 표 참조)

장기기관이 스스로 병력과 싸우는 것을 인지하는 것

두 종류의 증상들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

- 비장애아의 발달과 뚜렷이 비교되어 질 수 있는 부분

- 이 시점에서부터 보완을 이야기할 수 있음

파손된 기능들의 증상

손상당한 장기기관들의 투쟁

 

· 환경이 인간발달의 원인이며 출처를 제공하고, 이 환경과의 조화 가운데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의 발달이 정상또는 비정상이라는 판단을 받을 지라도 그와 상관없이 모든 발달의 형태에는 개인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

 

 

· 신경시스템은 조화로운 전체라는 결과에 바탕을 두며, 뇌는 광범위한 기능적 기관을 형성할 수 있는 사회적인 기관

· 뇌는 원천적으로 시간적 공간적 순차적으로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쌓여진 고도의 복잡한 사회적 역사적 반응시스템

· 뇌의 발달은 외부세계와의 상호관계에 지대한 영향을 바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뇌의 사회성은 발달 전반에 변화 가능적 관점을 내포

- 사회적 상호작용은 신경 형성을 돕고 이를 통해 뇌를 다른 상태로 발달시킴

· 대니얼 골먼

- 실제로 수년간 매일 일정한 시간을 함께 보낸 사람에게 계속해서 상처를 받거나 그 때문에 화를 내거나 하는 것처럼 특정 감정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우리의 뇌는 바뀌게 됨

 

과정

 

· 장애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숙고함이 필요

- 장애의 원인이 무엇인지, 어디서 그 원인이 출발했는지

· 한 사람의 살아온 과정을 이해함 없이 그 사람을 이해하거나 알 수 없듯이 장애를 가진 사람의 삶을 이해함 없이 장애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올바른 재활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것은 가능하지 않음

· 장애의 근원을 한 사람의 삶의 전체성 내지 역사성을 배제한 체 생물학적인 요인에만 몰두하여 진단하고, 장애를 완화, 제거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인다면 전체가 아닌 부분에만 집중하는 꼴(빙산의 일각)

· 병리적인 관점은 장애를 가진 부모에게 아동의 장애가 이라는 관점아래 치료교정이 최우선적, 최상적 해결방안으로 이해되어지며 치료이후에는 완쾌될 수 있다는 착각을 가지게도 함

 

과보완

 

· 뇌에 잉여분이 존재함으로 손상으로 인한 상실에도 불구하고 잉여분의 활약으로 잠재된 능력이 표면으로 떠오를 수 있는데 이것은 발달의 잠재력이 현실화 되어질 수 있는 것

· ‘과보완은 비고츠키에 의하면 유기체 삶의 어떤 특별히 드물고 비범한 현상을 이르는 것이 아닌 살아있는 유기체의 근본법칙들과 연관이 있는 유기체 과정의 지극히 보편적이고 널리 알려진 특이성, 모든 보완은 과보완

· 각각의 기능은 독립성을 가지고 동시에 조화를 이루어 전체를 이룸

- 질적 다양성을 가진 한 기능의 발달저하가 모든 지적 기능들을 한꺼번에 똑같은 방법으로 모든 다른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음

· 보완은 발달과정 가운데 반드시 사회-심리적 역할에 영향을 받음

· 환경이 인간발달의 원인이자 출처

· ‘활동주체가 환경으로부터 얼마나 양질의 지원을 받느냐에 따라 활동주체의 보완활동의 폭과 너비가 결정

· 정신적인 미성숙은 문화적 소외의 결과물

· 재활 내지 발달의 기본요소(?) - 협동, 공동체성, 양질의 환경

 

결함과보완 발달의 연관성

 

· 심리학적 측면

- 과보완의 원천은 어린 시절의 부적응이 원인

- 주체심리학에서 결함은 마이너스, 결함, 약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플러스이자 힘의 원천

- 결함은 심리적으로 보완을 형성하고자하는 힘의 원천

- 중증의 장애일수록 보완의 잠재성이 더 큼

- 심리학적 관점에서는 보지 못하기 때문에 모든 것을 더 보길 원하고, 듣지 못하기 때문에 모든 것을 더 듣길 바라고, 말할 수 없기 때문에 말하기를 더 갈망한다는 결론을 내림

- 결함이 발달의 원동력이므로 교육의 나아갈 방향은 바로 이 잠재적인 힘을 최대한 활용하여 그 결함을 보완할 다른 기능들을 발달시키는데 주력해야 함

- 장애자체가 발달적인 과정이며, 장애는 바로 사회적 영향력에 의해 그 방향성이 결정

 

 보완-교육적 방향성

 

· 두 가지 장애의 증상

1차적 증상의 장애

신체적 결함과 직접적 연관

선천적인 생물학적 영향

2차적 증상의 장애

신체적 결함이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없음

사회적 영향

· Jantzen-공동체성(Kollektivitaet), 막스-협력(Kooperation), 사회적인 교환과 대화, 근접발달지대, 환상적인 신뢰감(hedonalgisches Differential), 사회적 동등성(soziale Gleichwertigkeit), 인정되어지고 이해되어지고 마음을 열 수 있는 사회적 환경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