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폐성 장애4

자폐성 장애 - 기능적 행동평가, 공격행동, 다요소 중재, DSM5, 기능평가 박혜향 외(2017). 기능적 행동평가에 근거한 다요소 중재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공격행동 및 대체행동에 미치는 영향. 행동분석·지원연구, 4(1), 27-47. ① 자폐성장애(DSM5) · 다양한 맥락에서 사회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결함이 있으며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관심, 또는 활동패턴을 보임 - 사회적·정서적 상호성에서의 결함 -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해 사용되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서의 결함 - 관계의 형성, 유지, 이해에서의 결함 - 즉, ASD의 주요 진단기준은 사회성 기술의 질적 결함 ② ASD의 사회성 중재 연구 · 인간관계 중심 중재, 인지적 중심 중재, 치료 중심 중재, 교육훈련 중심 중재, 비디오 모델링 등 - 다양한 중재 실시 이유는 ASD의 이질적인 특성에 .. 2018. 1. 16.
자폐성 장애 -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 PECS, 긍정적 행동지원 한은선 외(2016).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행동분석·지원연구, 3(2), 17-41. ① 자폐성 장애 · 사회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적인 결함 · 소통의 어려움은 문제행동으로 표출 ②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 (PECS) · 의사표현기회를 확대시킬 수 있음 · 교사와 학생 간 신뢰가 쌓여 수업참여도 높아짐 · 선호물 파악 중요 ③ 긍정적 행동지원 (PBS) · 문제행동의 기능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개인의 독특한 사회적, 환경적, 문화적 배경에 적합한 종합적인 중재를 고안하는 문제해결 접근방법 · 문제행동 - 배경/선행사건 중재, 대체기술교수, 후속결과 중재 ④ 기능평가 · 일화기록, ABC 분석 활용 ⑤ 검사도구 ·.. 2017. 12. 19.
아스퍼거, 자폐성 장애 - 협동놀이, 사회적 상호작용 김보람 (2016). 비장애 형제와 함께하는 협동놀이가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행동분석·지원연구, 3(1), 41-67. ① 상호작용 · 상호작용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다른 아동의 생각이나 느낌을 이해 · 상대방의 다양한 요구를 고려하는 경험을 통해 자기 중심화에서 벗어남 · 세련된 사회적 기술의 부족은 많은 갈등과 불안을 경험하게 됨 ② 놀이-중심 중재 · 인간관계 중심 중재 · ASD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지원하게 위한 중재 전략 중 하나 (simpson, 2005) ③ 협동놀이 · 아동의 상호작용과 협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공동 목표를 성취하거나 특정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활동으로 구성된 집단놀이 · 짝이나 팀으로 놀 수 있고 규칙인 있는 구조화된 놀이 · 상.. 2017. 11. 22.
자폐성 장애 - 마음읽기, 사회적 능력, 감정인식 김두희, 이지혜(2015). 마음읽기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아동의 정서이해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앤연구, 31(4), 1-27. ① 정서이해, 타인에 대한 마음읽기 ·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 · 자폐성장애 아동은 기본적인 자신의 감정 조절과 타인을 인식하는 능력에 있어 부족함 · 사회적 행동 능력이나 기본적인 인지적 기술을 학교나 지역사회에서 습득하기에는 한계점 ② 타인에 대한 이해, 의사소통 · 일반 아동은 3~4세가 되면 자연스럽게 타인에 관한 정서를 습득, 사회적 활동에 적합한 행동을 하게 됨 ③ DSM-5 · 사회적 능력(social competence) - 특정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를 지각하고 판단하여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 적응해 나가는 능력으로 인간의.. 2016. 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