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나는 아프기 싫다.30

고지혈증 치료 약물 1. 스타틴 (Statins)▪️ 작용기전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로,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간세포의 LDL 수용체 발현 증가 → 혈중 LDL 콜레스테롤 제거 증가▪️ 효과LDL-C: 20–60% 감소TG: 소폭 감소HDL: 소폭 증가심혈관 사건 감소에 가장 강력한 근거 보유▪️ 대표 약제Atorvastatin (리피토), Rosuvastatin (크레스토), Simvastatin 등▪️ 부작용근육통, 근병증, CK 상승간 효소 상승 (AST/ALT)고용량 장기복용 시 당뇨 위험 약간 증가▪️ 적응증고LDL, 죽상경화성 심혈관질환 예방 (1차/2차), 당뇨 동반 이상지질혈증2. 피브레이트 (Fibrates)▪️ 작용기전PPAR-α 활성화를 통해 지질 대사 효소 활성 조절VLDL 생산 억제 및 LPL .. 2025. 6. 15.
고지질혈증 (Lipid Disorders) - 유전성 지질 이상증 병태생리 (Pathophysiology)유전성 지질 이상증은 단일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복합 유전자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지질 대사 경로에 장애가 생깁니다.대표적 유형: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FH): LDL 수용체(LDLR), ApoB, PCSK9 유전자 이상 → LDL 제거 감소 → 고LDL가족성 복합 지질이상증 (FCHL): TG 및 LDL 증가, HDL 감소가족성 고중성지방혈증 (FHTG): 간의 VLDL 과다생산가족성 저HDL혈증: ApoA1, ABCA1 등 관련 유전자 이상진단 (Diagnosis)지질 프로파일 검사: 공복 상태에서 LDL, HDL, TG 측정가족력 확인: 조기 심혈관질환, 고지질혈증 이력유전자 검사: FH, ApoE 이상 등 특정 돌연변이 진단임상 지표:황색종, 각막 윤상.. 2025. 6. 15.
고지질혈증 (Lipid Disorders) - 중성지방 (Triglycerides) 1. 병태생리 (Pathophysiology)중성지방은 간과 장에서 생성되는 에너지 저장 형태로, VLDL(초저밀도 지단백)에 탑재되어 혈액으로 운반됩니다.고중성지방혈증은 일반적으로 인슐린 저항성, 비만, 제2형 당뇨병, 음주, 고탄수화물 식이와 관련되며,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이며,췌장염의 위험(특히 TG > 11.3 mmol/L 또는 1000 mg/dL 이상)과도 관련 있습니다.2. 진단 (Diagnosis)공복 혈액 검사로 TG 측정정상: 경도 상승: 1.7–2.2 mmol/L (150–199 mg/dL)중등도: 2.3–5.6 mmol/L (200–499 mg/dL)고도: ≥5.6 mmol/L (≥500 mg/dL)비공복 TG 수치는 최근 대사 건강의 지표로도 사용됨 3. 치료 전략 (Treatment.. 2025. 6. 14.
고지질혈증 (Lipid Disorders) -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HDL-C) 1. 병태생리 (Pathophysiology)HDL의 주요 기능: 말초 조직에서 간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역콜레스테롤 운반(reverse cholesterol transport) 기능 수행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 산화된 LDL의 제거와 혈관 내피 보호 기능HDL 기능 이상이 중요한 병태 기전: 단순 HDL 수치보다 기능적 결함(예: 항염 효과 저하)이 죽상경화와 더 밀접한 관련2. 진단 (Diagnosis)공복 혈액 검사로 HDL-C 측정남성: 비정상 HDL-C는 대사증후군 진단 요소 중 하나HDL 기능 평가: 임상에서는 제한적, 연구목적으로 항산화 능력 측정 등 수행 3. 치료 전략 (Treatment)1) 약물 치료HDL 수치를 올리는 약물 자체는 심혈관 사건을 줄이지 못함니코틴산: HDL 증가하.. 2025. 6. 13.
고지질혈증 (Lipid Disorders) -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LDL-C) 혈장 지질 농도의 감소는 죽상경화성 심혈관 질환 사건의 발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는 LDL-C(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1.3 mmol/L(50 mg/dL)까지 낮췄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스타틴의 놀라운 성공은 약간의 당뇨병 위험 증가 외에는 해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낮은 LDL-C 수치조차도 야생 동물이나 신생아에서 보이는 생리적 수치의 두 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죽상경화증 예방을 위해 LDL-C를 어느 수준까지 낮춰야 하는지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매우 낮은 콜레스테롤 수치에서도 출혈성 뇌졸중의 위험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대규모 임상 시험에서 중성지방(TG) 감소가 죽상경화성 심혈관 질환 사건에 미치는 영향을 공식적으로 평가한 바는 없지만, 피.. 2025. 6. 12.
기타 특이형 당뇨병 (Other Specific Types) 병태생리 (Pathophysiology)1. 유전적 결함에 의한 당뇨병MODY (Maturity-Onset Diabetes of the Young): 단일유전자 이상(예: HNF1A, GCK 등)으로 인한 베타세포 기능 장애미토콘드리아 DNA 돌연변이 관련 당뇨병: 청각장애 동반 가능2. 췌장질환에 의한 당뇨병만성 췌장염, 췌장 수술 후 등으로 인한 인슐린 분비 감소3. 내분비 질환 관련 당뇨병쿠싱증후군, 말단비대증, 갑상선 기능항진증 등에서 호르몬 과잉으로 인한 인슐린 저항성4. 약물 또는 화학물질 유발 당뇨병글루코코르티코이드, 항정신병약, 항레트로바이러스제, 면역억제제(예: 타크로리무스)진단 (Diagnosis)병력상 당뇨병의 전형적인 패턴과 맞지 않음 → 의심 필요가족력, 발병 연령, 관련 증상 및.. 2025. 6.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