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는 아프기 싫다.

고지질혈증 (Lipid Disorders) - 중성지방 (Triglycerides)

by 40K40T 2025. 6. 14.
반응형

1. 병태생리 (Pathophysiology)

  • 중성지방은 간과 장에서 생성되는 에너지 저장 형태로, VLDL(초저밀도 지단백)에 탑재되어 혈액으로 운반됩니다.
  • 고중성지방혈증은 일반적으로 인슐린 저항성, 비만, 제2형 당뇨병, 음주, 고탄수화물 식이와 관련되며,
    •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이며,
    • 췌장염의 위험(특히 TG > 11.3 mmol/L 또는 1000 mg/dL 이상)과도 관련 있습니다.

2. 진단 (Diagnosis)

  • 공복 혈액 검사로 TG 측정
    • 정상: <1.7 mmol/L (<150 mg/dL)
    • 경도 상승: 1.7–2.2 mmol/L (150–199 mg/dL)
    • 중등도: 2.3–5.6 mmol/L (200–499 mg/dL)
    • 고도: ≥5.6 mmol/L (≥500 mg/dL)
  • 비공복 TG 수치는 최근 대사 건강의 지표로도 사용됨

 

3. 치료 전략 (Treatment)

1) 약물 치료

  • 피브레이트(Fibrates): 중성지방을 가장 효과적으로 낮추는 약제, 고TG/저HDL 동반 시 유용
  • 오메가-3 지방산 (EPA, DHA): 고용량(≥2–4g/day)에서 TG 저하 효과
  • 니코틴산 (Niacin): 효과는 있으나 부작용(홍조, 간기능 이상 등)으로 사용 제한적
  • 스타틴: TG 감소 효과는 중등도이나 심혈관 보호를 위해 병용될 수 있음

2) 비약물 요법

  • 체중 감소: 체중 5–10% 감소만으로도 TG 수치 현저히 감소
  • 저탄수화물, 저당 식이: 특히 단순당 제한이 효과적
  • 음주 제한: 알코올은 간 TG 합성을 촉진
  • 운동: 유산소 운동이 TG 저하에 기여

4. 예방 전략 (Prevention)

  • 생활습관 개선이 가장 중요
  • 고위험군 스크리닝: 비만, 대사증후군, 당뇨병, 가족력 있는 사람은 정기적 검사
  • 약물은 보조 수단으로 사용하며, 특히 췌장염 위험 시 약물 치료 고려

5. 특수 고려

  • 가족성 고중성지방혈증 (FHTG): 유전적 요인에 의한 중증 TG 증가
  • 췌장염 위험: TG가 10–20 mmol/L 이상인 경우 비응급으로도 입원 치료 고려
  • 심혈관 사건과의 관계: TG 수치는 독립적 위험 요인이며, 특히 저HDL 및 고TG 조합이 중요

#중성지방

#트리글리세라이드

#지질검사

#고중성지방혈증

#중성지방낮추는법

#혈액검사수치

#심혈관질환위험

#오메가3

#중성지방식이요법

#중성지방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