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지학습치료21

초등과학영재 - 공간능력 향상 전경필 외(2016). 초등과학영재의 공간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초등교육, 27(4), 165-190. ① 공간능력 (Spatial Ability) · 인간의 지적능력 중 언어능력과 함께 가장 핵심적인 구성요소 · 다른 영역의 학문을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되는 능력 ·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에 기여 - 유용한 도구, 사고의 보조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문제를 형성하는 방법, 문제 해결을 위한 수단 등 · 공간능력이 높을수록 수학, 과학, 언어 능력이 높다는 연구결과 ② 공간능력의 하위 요소 공간변환 · 2차원을 3차원, 3차원을 2차원으로 변환하여 인식할 수 있는 능력 심적회전 · 2차원, 3차원의 대상물을 머릿속으로 옮기고 비틀고 회전할 수 있는 능력 공간관계 · 공간에서 두.. 2018. 6. 20.
언어발달지체 - 그림책, 개별시도교수, DTT, 자발적 발화 이정해 외(2016). 그림책 활용 개별시도교수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자발적 발화에 미치는 효과. 행동분석·지원연구, 3(2), 1-16. ① 의사소통 · 공동체를 이루어 나가지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기능 · 화자(생각, 전달) + 청자, 언어적 요소 + 비언어적 요소 ·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구어’ ② 언어발달 표현 8개월~1세 · 첫말 18개월 · 단어 결함 2세 · 두 단어의 문장 형태 3세 · 세 단어 혹은 그 이상의 단어 · 주어 + 목적어 + 서술어 4~5세 · 문장과 문장 연결 (복문) - 연결어미, 접속사 ③ 언어발달지체 유아 · 정상적인 언어기능의 획득 어려움 - 언어의 의미 이해와 표현에 어려움 - 사용 어휘 수, 새로운 어휘 학습 및 어휘의 연상에 따른 문장 조합하여 말하기 어려움 .. 2017. 11. 24.
아스퍼거, 자폐성 장애 - 협동놀이, 사회적 상호작용 김보람 (2016). 비장애 형제와 함께하는 협동놀이가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행동분석·지원연구, 3(1), 41-67. ① 상호작용 · 상호작용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다른 아동의 생각이나 느낌을 이해 · 상대방의 다양한 요구를 고려하는 경험을 통해 자기 중심화에서 벗어남 · 세련된 사회적 기술의 부족은 많은 갈등과 불안을 경험하게 됨 ② 놀이-중심 중재 · 인간관계 중심 중재 · ASD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지원하게 위한 중재 전략 중 하나 (simpson, 2005) ③ 협동놀이 · 아동의 상호작용과 협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공동 목표를 성취하거나 특정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활동으로 구성된 집단놀이 · 짝이나 팀으로 놀 수 있고 규칙인 있는 구조화된 놀이 · 상.. 2017. 11. 22.
발달장애 - 언어행동, 언어행동분석, 언어작동 남상석 외(2016). 언어행동개요: 원리, 연구동향과 적용. 행동분석·지원연구, 3(2), 43-64. ① 언어(Skinner, 1957) · 언어는 학습된 행동 · 응용행동분석의 기초를 형성하는 동일한 기초 행동원리가 언어행동에도 적용 · 사람들은 비언어적 행동들(집기, 기기, 내밀기 등)을 배우는 동일한 방법으로 말을 많이 구사하는 역량을 습득 ② 언어행동 · 인간행동은 언어행동과 연관성이 있음 - 언어습득, 사회적 상호작용, 이해하기, 사고하기, 감지하기, 종교 등 · 언어를 분석하는 과정 - “말”은 제한적이고, “언어”는 일반화된 용어이기 때문에 “언어행동”이라는 용어를 선택 - 수화, 그림교환(PECS), 글, 제스처, 상호작용 반응이 일어나는 모든 의사소통의 다양한 유형을 포함할 수 있음 .. 2017. 11. 10.
발달장애 - 어휘, 교육용 어휘 권희연 외(2017).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용 어휘 개발 연구.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0(2), 89-122. ① 어휘 · 어휘의 발달은 언어 능력의 기본으로 언어의 의미론적 발달을 비롯하여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등 전반적인 언어 능력과 밀접한 관련 · 언어의 사용능력은 어휘의 정확한 이해와 사용하는 어휘의 양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언어 사용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어휘 지도가 중요 · 개념을 형성하는데 도움, 긴 설명 없이도 의사를 경제적으로 전달, 풍요롭고 질 높은 표현이 가능 17개월 · 평균 50개 어휘 표현 20~21개월 · 평균 100개 어휘 이해 만 3세 · 약 500개 어휘 이해 만 6세 · 약 6000개 어휘 이해 ② 발달장애아동의 어휘 능력 특성 · 일반 아동에 비해 어휘 .. 2017. 10. 10.
지적장애 - 언어중재, 의사소통, 이야기 이해, 멀티미디어 동화 곽은선 외(2017). 멀티미디어 동화를 활용한 언어중재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행동과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0(1), 101-127. ① 의사소통 ·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전달, 정보 공유, 긍정적 사회생활에 영향 ② 지적장애 · 언어자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 - 언어적 자극만으로 쉽게 이해하기 어려움 - 시각적 단서(그림, 사진, 비디오 등)를 활용한 교수법이 효과적 ③ 지적장애 언어발달 이상 현상 · 어법, 발화량, 발음, 어휘 선정의 어려움 · 어휘 수의 제한, 어휘를 활용한 문장 구성에서 어려움 · 상황을 이해하고 사건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 추론하는데 어려움 · 각각의 여러 가지 사건을 하나의 맥락으로 연결하고 조직화하여 이해하고 산출하는 능력 부족 ④ 생활연.. 2017. 10.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