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공부한다./특수교육대상자5 정서행동장애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EBD) 정서 및 행동장애(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EBD)는 감정 조절의 어려움과 부적절한 행동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이다.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 학습, 그리고 일상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학교 환경과 가정에서의 적응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정서 및 행동장애는 단순한 일시적인 감정 변화가 아니라, 장기간 지속되고 개인의 전반적인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1. 진단 기준정서 및 행동장애는 **DSM-5(미국정신의학회)**와 **ICD-11(세계보건기구)**의 진단 기준을 기반으로 진단된다. 1) DSM-5 진단 기준 DSM-5에서는 정서 및 행동장애를 독립적인 장애 범주로 정의하지는 않지만, 다음과 같은 관련 장애군이 포함될 수 있.. 2025. 2. 22. 학습장애(Specific Learning Disorder, SLD) 학습장애(Specific Learning Disorder, SLD)는 학습과 관련된 특정 영역에서 현저한 어려움을 보이는 신경발달장애의 일종이다. 이는 개인의 일반적인 지적 능력과는 무관하게 나타나며, 주로 읽기, 쓰기, 수학과 같은 학업 기술 습득에서의 결함으로 정의된다. 학습장애는 조기 발견과 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질 경우 극복 가능성이 높으며, 맞춤형 교육과 치료적 접근이 중요하다. 1. 진단 기준(1) DSM-5 진단 기준미국정신의학회(APA)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5)"에 따르면, 학습장애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핵심 학습 기술에서 지속적인 어려움단어를 정확하고 유창하게 읽는 능력 결함 (난독증, Dyslexia)철자법과 문법 사용의 어려움글을 구성하는 능력 부족 .. 2025. 2. 2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는 지속적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장애이다. 이 장애는 주로 아동기에 진단되지만,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다. ADHD는 학습, 사회적 상호작용, 직장 생활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기능적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으며, 개별적인 특성과 환경 요인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1. 진단 기준ADHD는 **미국정신의학회(APA)**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5)"과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질병분류(ICD-11)"에서 정의된다. (1) DSM-5 진단 기준 DSM-5에서는 ADHD를 다음 세 가지 하위 유형으로 구분한다.주의력 결핍 유형(Inattentive Type)세부적인 사항을 놓치거나 부주의한 실수를 자주 함주의.. 2025. 2. 14.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자폐스펙트럼장애(ASD, Autism Spectrum Disorder)는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장애이다. 자폐성 장애는 개별적인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에 따라 ‘스펙트럼’이라는 개념이 사용된다. 즉, 자폐인의 특성과 기능 수준은 개인마다 다르며,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현된다. 1. 진단 기준자폐스펙트럼장애의 진단은 **미국정신의학회(APA)**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5)"과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질병분류(ICD-11)"를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1) DSM-5 진단 기준 DSM-5에서는 ASD의 진단을 위해 다음 두 가지 주요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사회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결.. 2025. 2. 10. 지적장애 (Intellectual Disability)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y, ID)는 발달기에 나타나는 지적 기능과 적응 행동의 유의미한 제한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이다. 이는 학습, 문제 해결, 추론 등의 인지적 능력과 실생활에서 요구되는 개념적, 사회적, 실제적 적응 능력의 결함을 포함한다. 지적장애는 18세 이전에 발현되며, 개인의 독립적인 생활과 사회적 참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 지적장애의 진단 기준미국 정신의학회(APA)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매뉴얼(DSM-5-TR)"과 미국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협회(AAIDD)의 기준을 중심으로 지적장애의 진단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1) 지적 기능의 결함표준화된 지능검사에서 평균 이하의 지능(IQ 70 이하)이 측정될 경우 해당한다.추론, 문제 해결, 계획 수.. 2025. 2.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