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DHD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는 지속적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장애이다. 이 장애는 주로 아동기에 진단되지만,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다. ADHD는 학습, 사회적 상호작용, 직장 생활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기능적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으며, 개별적인 특성과 환경 요인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1. 진단 기준ADHD는 **미국정신의학회(APA)**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5)"과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질병분류(ICD-11)"에서 정의된다. (1) DSM-5 진단 기준 DSM-5에서는 ADHD를 다음 세 가지 하위 유형으로 구분한다.주의력 결핍 유형(Inattentive Type)세부적인 사항을 놓치거나 부주의한 실수를 자주 함주의.. 2025. 2. 14.
학습장애, ADHD - 쓰기, 자기조절, 전략개발 신재현 외(2017). 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 및 장애 위험군 학생을 위한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중재 문헌 분석. 학습장애연구, 14(1), 75-98. ① 쓰기 · 글씨쓰기, 철자쓰기 외에 작문 및 자지조절 기술 등이 요구되는 매우 복합적인 과정 · 쓰기과정 계획하기 · 쓰기를 위한 전반적인 준비과정 · 작문에 필요한 아이디어 구상, 조직, 목표 설정 옮기기 · 계획하기 단계에서 조직화환 아이디어를 문장으로 쓰기 검토하기 · 옮기기 단계에서 작성한 글을 평가 및 수정하는 과정 ②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 자기조절 전략과 쓰기 절차 교수를 결함한 명시적 쓰기 교수 방법 - 명시적 교수, 시범, 기억술, 비계 · 6단계 .. 2017. 10. 15.
ADHD, 기분장애 - 실행기능, 실행능력, 지능, 신경심리검사 위지희 (2017). ADHD 아동과 기분장애 아동의 실행능력 비교. 학습장애연구, 14(1), 149-164. ① 실행기능 · 전전두엽이 담당하는 고위인지 과정 · 인지, 정서, 행동기능을 조절하고 방향을 안내 · 행동의 개시, 계획세우기, 가설 형성, 인지적 융통성, 의사결정, 판단, 피드백을 이용하는 능력, 상황과 맥락에 적절하게 자신의 행동과 정서를 조절하는 자기-조절능력 · 여러 가지 복잡한 정보를 가용한 상태로 활성화시켜 유지하고 동시에 처리하는 작업기억, 오류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자기-교정 역할 · 일반 지능과는 달리 보다 고차원적인 사고와 행동을 조절하는 능력을 의미로 일반 지능과는 다른 개념 · 지능검사로는 측정 할 수 없고 대부분 신경심리검사를 통해서 측정이 가능 · 목표를 달성하기 위.. 2017. 10.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