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대상자
특수교육대상자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15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특수교육대상자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적장애, 지체장애, 정서·행동장애, 자폐성장애, 의사소통장애, 학습장애, 건강장애, 발달지체 그리고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애 중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진단·평가된 사람을 의미합니다.또한, 특수교육대상자는 교육장 또는 교육감이 선정하며, 이에 따른 교육 및 서비스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하에 제공됩니다.1. 특수교육대상자 정의(법 제15조) 제15조(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 ① 교육장 또는 교육감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중 특수교육이 필요한 사람으로 진단‧평가된 사람을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한다. 개정 2021...
2025. 2. 18.
지적장애 - 언어중재, 의사소통, 이야기 이해, 멀티미디어 동화
곽은선 외(2017). 멀티미디어 동화를 활용한 언어중재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행동과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0(1), 101-127. ① 의사소통 ·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전달, 정보 공유, 긍정적 사회생활에 영향 ② 지적장애 · 언어자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 - 언어적 자극만으로 쉽게 이해하기 어려움 - 시각적 단서(그림, 사진, 비디오 등)를 활용한 교수법이 효과적 ③ 지적장애 언어발달 이상 현상 · 어법, 발화량, 발음, 어휘 선정의 어려움 · 어휘 수의 제한, 어휘를 활용한 문장 구성에서 어려움 · 상황을 이해하고 사건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 추론하는데 어려움 · 각각의 여러 가지 사건을 하나의 맥락으로 연결하고 조직화하여 이해하고 산출하는 능력 부족 ④ 생활연..
2017. 10.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