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는 공부한다./논문 학술지

지적장애 - 시각적 사고 전략, 학업 성취도, 수업 참여도, 사고지도

by 40K40T 2017. 9. 19.
반응형

이현옥 외(2017). 시각적 사고 전략이 중학교 지적장애학생의 과학과 수업 차여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0(2), 21-37.

 

학습

 

- 고도의 지식사회에서는 전 생에 동안에 학습을 지속하도록 요구

- 텍스트 중심의 교육에서(과거) 비주얼 중심의 배움 시대(현대)

 

시각적 사고

 

- 사고 과정에 시각 자료를 활용하는 것

- 다른 사람과 함께 사고과정을 나루 때 의미가 있음

 

Piaget

 

- 인지발달 단계에서 초등학교 연령은 구체적 조작기, 중학교 연령은 형식적 조작기에 해당

- 중학교 지적장애학생들은 전조작기 / 구체적 조작기 초기 정도의 인지 수준을 보임

- 구체적 조작기 학생들은 언어적인 텍스트보다 시각화된 정보를 쉽게 이해

 

시각화 능력

 

- 정보를 처리하거나 사고하기 위한 기본 방식

- 모든 교과에 필요한 기초 능력

- 텍스트(좌뇌)와 시각(우뇌)를 적절히 사용하는 좋은 방법

- 시각화 전략은 효과적으로 지식을 전달하고 이해를 도울 수 있는 학습전략

 

Vygotsky

 

- 교사와 학생이 근접발달지역(ZPD)에서 상호작용이 일어날 때 학생의 인지 발달이 촉진된다고 하여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제시

-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하는 학습자는 상호작용 과정에서 자신의 사고과정 및 학습 내용을 그대로 반영하는 시각적 전략 도구를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상호작용

 

정보(지식)

 

- 새로운 정보는 기존의 스키마에 더하여 저장

- 정보가 분리되어 제시될 때 개념들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쉬움

- 뇌로 들어오는 90%의 정보가 시각적

- 인지적 성장과 학습의 이해에 시각적 도구의 활용이 효과적임을 시사

 

시각화된 도구

 

- 마인드맵, 개념도, 그래픽 조직자, 시각적 노트

- 연구에서 사용된 8가지 시각화 도구 사고 지도

- 써클 맵, 트리 맵, 버블 맵, 더블 버블 맵, 플로우 맵, 멀티 플로우 맵, 브레이스 맵, 브릿지 맵

 

수업 참여도에 미친 효과

 

- 학생 활동 중심의 시각적 사고 전략 자체가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여 학생의 수업 참여도를 향상시킨 것으로 보임 (단순화 시키고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 다학문적 팀접근은 참여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보임

- 개념을 일상생활과 연결시켜 간단한 그림으로 정보를 표현하도록 제공하고 활동을 유도하는 것이 수업 참여도를 촉진한 것으로 보임

 

학업 성취도에 미친 효과

 

- 시각적 사고 전략은 텍스트 중심으로 이론을 제시하는 수업보다 언어 능력을 덜 요구하기 때문

- 지적장애 학생의 학습 특성을 반영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