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의사소통장애2

특수교육대상자 특수교육대상자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15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특수교육대상자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적장애, 지체장애, 정서·행동장애, 자폐성장애, 의사소통장애, 학습장애, 건강장애, 발달지체 그리고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애 중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진단·평가된 사람을 의미합니다​.또한, 특수교육대상자는 교육장 또는 교육감이 선정하며, 이에 따른 교육 및 서비스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하에 제공됩니다​.1. 특수교육대상자 정의(법 제15조) 제15조(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 ① 교육장 또는 교육감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중 특수교육이 필요한 사람으로 진단‧평가된 사람을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한다. 개정 2021... 2025. 2. 18.
의사소통장애 - AAC, 시각장면 디스플레이(VSD) 한경근, 박찬우(2016). 의사소통장애 아동을 위한 AAC 중재에 시각장면 디스플레이(Visual Scene Display)적용을 위한 탐색.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9(4), 213-234. ① 언어 · 인간의 언어능력은 개인의 인지, 사회성, 운동, 감각과 서로 영향 · 언어는 사람들 간의 감정, 요구, 정보를 교환하는 사회적 행동이며 말과 언어, 비형식적 의사소통 체계를 포함하는 행위 전체 · 구어(말, 언어) + 비구어(몸짓, 표정, 자세) · 언어의 어려움은 교육과 사회참여에 어려움으로 연결 ② AAC (보완대체의사소통) ·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갖는 사람들에게 의사소통을 지원하고,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활용되는 상징, 전략, 도구, 기법에 관한 모든 방법 · 목적은 의사소통의 잠재적 가능성.. 2016. 12.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