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나는 아프기 싫다.30

임신성 당뇨병 (Gestational Diabetes) 병태생리 (Pathophysiology)임신 중 호르몬 변화(태반 락토겐, 코르티솔, 에스트로겐 등)는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킴초기 임신에서는 인슐린 감수성이 증가하지만, 2기~3기에는 인슐린 저항성이 두드러짐정상적인 임신에서는 췌장이 인슐린 분비를 보상적으로 증가시켜 혈당을 유지함임신성 당뇨병에서는 이 보상능력이 부족하거나 실패하여 고혈당 발생대부분 임신 후기에 진단되며, 출산 후에는 정상으로 회복되나, 장기적으로 제2형 당뇨병 위험 증가진단 기준 (Diagnosis)▶ 스크리닝 시기:24~28주 사이위험인자(비만, 당뇨병 가족력, 이전 임신성 당뇨 등) 있으면 초기에도 시행▶ 진단법:75g 경구 당부하검사(OGTT) (WHO, IADPSG 기준)공복혈당 ≥ 92 mg/dL1시간 후 ≥ 180 mg/d.. 2025. 6. 10.
제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병태생리 (Pathophysiology)제2형 당뇨병은 다음 두 가지 병태가 결합되어 발생합니다:인슐린 저항성 (Insulin Resistance)간, 근육, 지방 조직에서 인슐린의 작용이 감소함간에서는 포도당 생성이 억제되지 않아 공복 혈당 상승근육은 포도당 흡수가 줄고, 지방조직은 지질 분해가 증가함베타세포 기능 저하 (β-cell Dysfunction)초기에는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켜 보상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기능 저하만성 고혈당 상태는 베타세포 독성(glucotoxicity)을 일으켜 추가 악화인크레틴 기능 감소도 기여→ 이 두 과정은 복합적이고 진행성이며, 유전적 요인과 환경(비만, 활동 부족, 고열량 식사)이 관여 진단 (Diagnosis)공복혈당 ≥ 126 mg/dL2시간 경구당부하검사(O.. 2025. 6. 9.
제1형 당뇨병 (Type 1 Diabetes) 병태생리 (Pathophysiology)자가면역 반응으로 췌장의 **베타세포(β-cell)**가 점진적으로 파괴됨결과적으로 절대적인 인슐린 결핍 발생주로 HLA-DR3, DR4와 연관된 유전적 소인과 바이러스 감염(예: 콕사키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이 병태생리에 기여진단 시 자가항체(GAD65, IA-2, ZnT8 등)가 발견됨베타세포 파괴는 수년에 걸쳐 진행되며, 임상 증상은 80% 이상의 세포가 손실된 이후 나타남진단 (Diagnosis)공복혈당 ≥ 126 mg/dL, 2시간 경구당부하검사(OGTT) ≥ 200 mg/dL, 무작위 혈당 ≥ 200 mg/dL + 당뇨 증상HbA1c ≥ 6.5%자가항체 검사(GAD, IA-2 등)로 자가면역성 여부 확인C-펩타이드는 낮거나 불검출 → 인슐린 분비 결핍을 .. 2025. 6. 8.
당뇨병 diabetes mellitus 당뇨병은 만성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질환으로, 인슐린 분비의 결핍, 인슐린 작용의 저항, 또는 이 두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제1형 당뇨병제1형 당뇨병은 자가면역 반응에 의해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절대적인 인슐린 결핍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로 소아나 청소년에서 발병하지만, 성인기에도 발생할 수 있다. HLA 유전자(특히 HLA-DR3 및 DR4)의 조합이 위험을 높이며, 환경적 요인으로는 바이러스 감염(예: 콕사키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등이 있다. 자가항체(GAD, IA-2, ZnT8 등)가 진단 시점에서 발견되며, 발병 전 몇 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진단 후에는 평생 인슐린 치료가 필요하며, 인슐린 종류와 용량 조절을 위해 혈당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치료에는 다회 인.. 2025. 6. 7.
고립성 수축기 고혈압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원인 (Causes)나이 증가에 따른 대동맥과 큰 동맥의 경직이 주요 원인노화에 따라 동맥이 점점 탄력을 잃고, 이로 인해 수축기 혈압은 상승하고 이완기 혈압은 유지되거나 감소고령에서 가장 흔한 고혈압 유형심혈관계 순환기 물리학 변화: 대동맥의 순응도 감소, 펄스파 속도 증가당뇨병 등의 질환이 가속 인자로 작용진단 (Diagnosis)진단 기준:수축기 혈압 > 140 mmHg, 이완기 혈압 보통 고령 환자에서 진료실 혈압 측정으로 발견**24시간 활동혈압(ABPM)**이나 **가정혈압(HBPM)**으로 확인하는 것이 더 정밀유럽고혈압학회 기준을 따름치료 방법 (Treatment)치료 목표: 수축기 혈압을 낮추되 이완기 혈압이 너무 낮아지지 않도록 주의권장 약물:티아지드계 이뇨제칼슘채널차단제(CCB): 노.. 2025. 6. 6.
백의 고혈압 (White-coat Hypertension) 원인 (Causes)진료실에서만 혈압이 상승하고, 가정이나 24시간 활동혈압은 정상인 상태혈압 측정 시 의료진과의 상호작용, 긴장감, 스트레스 반응 등이 원인일반적으로 고혈압 경계 수치의 사람들에게 흔하며, 전체 인구의 약 15%, 고혈압 환자의 약 25%에서 나타날 수 있음진단 (Diagnosis)클리닉 수축기 혈압 ≥140 mmHg 또는 이완기 ≥90 mmHg이지만,ABPM(24시간 활동혈압) 또는 HBPM(가정혈압) 평균이 정상진단 기준:클리닉 혈압이 3회 이상 반복 측정 시 항상 높고ABPM/HBPM과 비교 시 20/10 mmHg 이상 차이 나는 경우심혈관 위험도는 정상혈압과 지속성 고혈압 사이 수준으로 간주됨치료 방법 (Treatment)즉각적인 약물 치료는 권장되지 않음대신, 지속적 관찰 및 .. 2025. 6.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