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읽기유창성2

학습장애 - 의미단위 띄어읽기 전략, 읽기이해, 학습부진, 읽기능력, 읽기유창성 임미라 외 (2017). 의미단위 띄어읽기 전략교수가 읽기이해 부진 학생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장애연구, 14(2), 71-94. ① 읽기 · 국어 및 다른 과목의 학습을 위한 주요 수단 · 생활 전반에도 영향 어려움을 겪는 경우 단어해독 · 인쇄물을 소리로 전화하는 과정 · 구두읽기를 위한 처리과정 난독증 언어학습장애 읽기이해 · 단어, 문장, 담화 등을 해석하는 과정 특정 이해 결함 (읽기이해 부진 학생) ② 마태효과(Mattew effects) · 읽기를 잘하는 학생은 더욱 잘할 수 있음 · 읽기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은 점점 더 읽기를 잘하지 못하게 됨 - 낮은 기대, 제한된 연습, 낮은 동기로 연결 ③ 읽기 유창성과 읽기이해 · 유창해야 자신의 에너지를 읽기이해에 쏟을 수 있음 - 빠르고.. 2017. 10. 29.
읽기이해부진아동 - 의미단위 띄어 읽기 전략,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김소진, 강옥력(2014). 의미단위 띄어 읽기 전략 교수가 읽기이해부진아동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애연구, 11(1), 243-259. ① 읽기 · 모든 교과학습의 기본, 교과내용을 학습하기 위한 주요 수단 ② 읽기의 결함 · 교과학습에 부정적 영향(학습 부진) · 정보를 얻는데 제한으로 성공적인 사회생황을 하는데 어려움 · 자아개념에 부정적 영향 ③ 읽기기술 · 단어재인에서 어려움 : 난독증 · 읽기이해에서 어려움 : 이해부진 · 두 가지 모두 어려움 : 혼합형 읽기장애 ④ 한글 · 읽기의 핵심적인 능력은 읽기 이해 · 한글은 표음문자, 공간적으로 분리 - 다른 나라의 문자언어를 배우는 학생들보다 단어재인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이 적음 - 동음이의어나 다의어가 많아 읽기 이해에 .. 2015. 8.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