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용(2015). 장애 학생의 자해행동에 대한 국내 실험연구 분석. 행동분석·지원연구, 2(1), 63-86.

 

자해행동

 

· 개인이 자신의 몸에 물리적 손상을 가져오는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 자신을 때리기, 신체 부위를 물거나 빨기, 여러 신체 부위를 꼬집거나 긁거나 찌르기, 반복적으로 음식을 토하거나 되새김질하기, 먹을 수 없는 물질 먹기 등

· 장애 학생 본인의 신체 및 생명을 위협

· 타인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줌

 

관련 연구

 

초기

· 학생들의 조작적 학습(자극-반응) 이론에 입각하여 자해행동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서 행동 수정의 전략 중 하나인 혐오자극을 활용 (예를 들어, 전기자극치료)

최근

· 응용행동분석(ABA)

- 자해행동을 발생시키는 이유(기능)을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중재를 계획 및 실시

· 긍정적 행동지원(PBS), 약물치료접근, 유전자--행동 간 관계 확인을 통한 접근

 

자해행동을 보이는 대상

 

· 지적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발달지체, 학습장애 듵

 

증거기반의 실제

 

· 아동낙오방지법(NCLB)의 영향

· 과학적으로 효과가 입증된 연구

- 교육활동과 프로그램에 관련된 신뢰도가 높고 타당한 지식을 획득하기 위하여 엄격하고, 체계적이며, 객관적인 절차를 적용한 연구 (=증거기반 실제)

· 증거기반 실제에서 문헌분석이 활용되는 이유

- 많은 증거 수준 중 가장 높은 증거가 문헌을 수집하고 분석한 메타분석으로부터 확보되기 때문

- 연구된 문헌의 중재 효과를 살펴보면서 가장 효과적이지 않은 것은 배제하고 효과적인 중재 기법을 선택하는 일반적 결론을 얻을 수 있음

 

논의 및 제언

 

· 자해행동은 조기에 나타나는 행동특성이면서 성인이 되어서도 나타나는 문제행동

- 조기 중재가 선행되어야 함

· 중증학생

- 의사소통 의도일 수 있음

· 중재

- 긍정적 행동 지원, 의사소통 훈련, 응용행동 분석

- 모두 기능분석(평가)에 기초하여 학생의 행동 목적(의미)가 무엇인지 분석하고 접근

- 효과가 있다면 장기적인 유지 기간을 두어 확인하는 것이 필요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