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배, 배소영(2014). 음운해독부진아동의 낱말읽기능력과 예측변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9), 329-343.

 

발달의 지표

 

· 학령전기까지 아동들은 자신의 신체, 운동, 인지, 사회성, 언어를 발달시킴

· 언어

- 얼마나 많은 어휘를 이해하고 표현하는가

- 얼마나 긴 문장을 점차 복잡하게 사용하는가

- 일상대화에서 기본적인 언어구조를 갖추어 사용할 수 있는가

· 언어의 어려움은 학령기에 읽기 및 쓰기에 어려움으로 연결

 

읽기, 쓰기

 

· 읽기, 쓰기 능력은 학습을 위한 기초능력이며 특히 읽기는 아동의 능력, 전략, 지식이 융합되어 나타나는 능력으로 의사소통의 수단이자 학습의 도구가 되는 중요한 능력

읽기

· 아동의 읽기는 인쇄물에 노출된 후 시작되어 인생전반에 걸쳐 꾸준히 발달

· 읽기는 학령전기부터 시작되며 글자에 노출되어 자주 접하는 낱말을 인식하여 읽어내고 언어의 규칙성을 발견하여 의미적, 음운론적 지식으로 새로운 글자를 점차 유창하게 읽어내며 이후 의미, 문법지식을 활용하여 읽은 내용을 이해하고 추론, 비판, 재구성, 판단하게 됨

· 글자를 읽어내는 읽기를 배우는 단계(learn to read)가 읽은 내용을 이해하는 학습을 위한 읽기단계(read to learn)보다 선행

읽기의 단순관점 모델

(Simple view of reading)

· 글자를 음운으로 해독하여 읽어내는 음운해독(decoding) 능력과 언어적 이해(linguistic comprehension) 능력이 필수적이며 이중에 하나라도 문제가 생겼을 때 읽기이해에 어려움이 생김

음운해독과정

(이중경로모형)

· 음운해독은 인쇄된 글자를 언어로 전환하는 능력

· 음운해독능력은 낱말읽기를 통해 살펴볼 수 있음

· 이 모형에서는 어휘경로 음운경로의 상호적이며 독립적인 과정으로 설명

- 인쇄된 글자는 지각과정을 거쳐 자신의 심성어휘집에 도달

- 심성어휘집에서 의미를 찾아내 파악

· 인쇄된 낱말이 심성어휘집에 도착하기 위해, 심성어휘집에 도달한 후 소리내어 읽어내기 위해 낱말의 음운적 표상이 필요

- 친숙하지 않거나 무의미 낱말을 읽을 때 음운경로를 통해 해독

- 자소들이 모여 낱말을 구성하며 각 자소에 대응하는 음소들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함

- 음소지식에 제한이 있거나 자소에 음소를 빠르게 대응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경우 낱말읽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낱말읽기에 음운처리능력이 관련됨

심성어휘집

(mental lexicon)

· 자신의 심성어휘집에 있는 친숙한 낱말은 시각경로가 활성화되어 빠르게 해독

· 비친숙한 낱말, 무의미 낱말을 자소와 음소를 대응규칙에 따라 음운정보로 바꾼 뒤 해독하게 되어 속도가 느리며 정확도가 낮음

· 심성어휘집에 저장된 어휘의 양이 낱말을 읽어내는 데 영향을 줄 수 있음

낱말읽기능력을 예측하는 요인

· 음운인식

- 음운을 인식하고 조작하는 능력

· 음운기억

- 인쇄된 글자를 빠르게 음운으로 부호화하여 저장하고 재부호화하여 산출하는 능력

· 빠른 이름대기

쓰기

· 이 논문에서는 읽기에 초점을 두어 쓰기와 관련된 내용이 없음

 

검사도구

 

· 언어기반읽기검사(한국어읽기검사)

- 이 연구에서 낱말읽기능력, 음운인식능력, 빠른이름대기능력, 음운기억능력을 측정

· 수용표현어휘력검사(REVT)

- 이 연구에서 수용어휘력을 측정하기 위해 수용어휘력 검사만 실시

 

검사

 

음운해독검사

(2음절 낱말)

의미낱말

자소-음소 일치형

포도, 장소

자소-음소 불일치형

독서, 봄비

무의미낱말

자소-음소 일치형

가더, 다돈

자소-음소 불일치형

박산, 딥합

음운처리 평가 중

음운인식검사

합성과제(음소, 음절 수준)

+=방울

탈락과제(음소, 음절 수준)

나비-=

빠른 이름대기 검사

무작위로 1음절 글자, 숫자

50

음운기억검사

2~5음절로 된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

망씁, 발무린, 솔포코절, 직쏘분천다

 

결과

 

음운해독부진아동의 낱말읽기능력

· 음운해독부진아동은 무의미낱말보다 의미낱말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임

· 일반아동은 무의미낱말보다 의미낱말에서 높은 수행력을 보이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

읽기집단에 따른 낱말읽기 관련요인능력

· 수용어휘력,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음운기억 모두 음운해독부진아동집단이 일반아동집단보다 더 낮은 수행력을 보임

낱말읽기능력을 예측하는 변인

· 음운해독부진아동 집단에서는 낱말읽기와 모든 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

- 어휘,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음운기억이 함께 낱말읽기능력을 58.1% 예측

- 빠른 이름대기와 음운기억은 독립적으로도 낱말읽기능력을 유의하게 예측

· 일반아동 집단에서는 낱말읽기와 음운기억을 제외한 변인이 유의한 상관

- 어휘,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음운기억이 함께 낱말읽기능력을 30.4% 예측

- 각각의 변인이 독립적으로 낱말읽기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하지는 않음

 

정리

 

· 의미낱말 = 자소-음소 대응규칙 + 의미단서 활용 -> 쉬움

· 무의미낱말 = 자소-음소 대응규칙 활용 -> 어려움

· 낱말읽기로 살펴볼 수 있는 음운해독은 아동의 어휘지식, 음운처리능력과 관련이 높은 능력

· 글자의 해독

- 시각적으로 재인된 자소를 음소와 대응시키고 분석하여 자신의 어휘지식과 연결하며 다시 소리로 바꾸어 읽어내는 과정

- 어휘와 음운지식이 통합적으로 함께 활용되는 능력

- 음운해독의 삼각형 모델에서도 음운론적 능력, 의미론적 능력, 글자의 표상능력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낱말을 읽어낼 수 있다고 함

· 아동은 새로운 낱말을 보았을 때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에서 읽어내는 방법을 유추하여 새로운 낱말을 읽을 수 있으며 쓰여진 낱말은 여러 자소가 구성하고 있으며 자소에 대응하는 음소들이 있다는 것을 알고 읽어내야 함

· 음운해독은 지각된 정보에서 음운을 정확하게 빠르게 확인하는 능력이 요구됨

· 빠른 이름대기

- 얼마나 상징을 음운으로 빠르게 표상하여 인출하는가에 대한 능력

- 음운해독부진아동 집단에서 이 능력이 낱말읽기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남

· 음운기억능력

- 음운해독부진아동 집단에서 이 능력이 낱말읽기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남

- 자소에 음소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음운정보를 부호화하여 효율적으로 저장하여 조작하고 인출 할 수 있어야 함

- 음운정보를 저장하는 용량과 저장 및 인출과정에 어려움으로 음운해독문제를 보일 수 있음

- 음운기억은 초기 읽기학습자에게 중요한 역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