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실적 이해1 학습장애 - 교육과정중심측정, 읽기이해 김동일 외(2017). 학습장애위헙군 진단·평가를 위한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 읽기이해검사 타당화 연구. 학습장애연구, 14(2), 1-20. ① 읽기이해 · 읽기의 궁극적인 목표는 읽기이해 · 읽기이해는 읽기자료를 읽고 의미하는 바가 뭉서인지를 알아가는 과정 · 음운인식, 해독, 유창성, 어휘 및 읽기 이해는 성공적인 읽기를 위한 필요 요소 과거 현재 해독 해독이상의 고차원적인 읽기관련 영역 - 언어지식, 추론, 텍스트와 관련한 경험 ② 읽기이해 하위 요소 사실적 이해 · 구체적인 내용이나 글의 주제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인 회상 · 글에서 제시하고 있는 구체적인 정보를 인식하는 능력 · 구체적인 사실을 확인하거나 요약하는 것 · 축어적 재인 및 회상 · 재조직(요약하기, 정보종합하기) 추.. 2017. 10. 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