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쓰기장애3

학습장애(Specific Learning Disorder, SLD) 학습장애(Specific Learning Disorder, SLD)는 학습과 관련된 특정 영역에서 현저한 어려움을 보이는 신경발달장애의 일종이다. 이는 개인의 일반적인 지적 능력과는 무관하게 나타나며, 주로 읽기, 쓰기, 수학과 같은 학업 기술 습득에서의 결함으로 정의된다. 학습장애는 조기 발견과 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질 경우 극복 가능성이 높으며, 맞춤형 교육과 치료적 접근이 중요하다.  1. 진단 기준(1) DSM-5 진단 기준미국정신의학회(APA)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5)"에 따르면, 학습장애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핵심 학습 기술에서 지속적인 어려움단어를 정확하고 유창하게 읽는 능력 결함 (난독증, Dyslexia)철자법과 문법 사용의 어려움글을 구성하는 능력 부족 .. 2025. 2. 20.
학습장애 - 쓰기장애, 철자 교수, 겹받침 교수 김애화, 김의정(2015). 한글의 특성을 반영한 철자 교수가 쓰기장애학생의 겹받침 단어 철자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장애연구, 12(3), 43-67. ① 쓰기 · 듣기, 말하기, 읽기 능력을 종합적으로 필요로 하는 복잡한 영영 · 국내에서는 출현율이 읽기장애보다 높게 보고 ② 철자 발달 단계 낱자-소리 대응관계 문자-소리 규칙 · 단일 낱자-소리 대응관계 이상의 단위의 처리를 의미 · 낱자군과 그 낱자군의 소리 간의 관계를 알고, 이를 적용하여 철자함을 의미 · 예를 들어 cap / cape (silent e 패턴규칙) 형태처리 규칙 · 단어를 구성하는 형태소에 대한 인식을 의미 · 예를 들어 election / magician -> -tion / -cian - 발음이 같더라도 서로 다르게 철자될.. 2016. 3. 7.
학습장애 - 쓰기장애, 철자, 음운처리 중심 철자 교수 김애화 외(2013). 음운처리 중심 절차 교수가 쓰기장애 학생의 철자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애연구, 10(2), 51-72. ① 철자와 관련된 선행연구 · 철자 자체에 초점을 맞춘 철자 중재가 철자 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읽기+철자 중재가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 - 체계적인 철자교수의 필요성을 지지해주는 실증적 결과 · 철자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읽기와 철자 교수를 결합한 중재보다는 철자 자체에 초점을 맞춘 철자 중재가 더 효과적 · 작문과 철자 교수를 결합한 중재보다 철자 자체에 초점을 맞춘 철자 중재가 더 효과적임 · 효과성이 높은 체계적인 철자 교수의 특성은 학생들의 오류 유형에 맞는 명시적인 철자 교수 ② 철자 오류 유형 음운처리 오류 (단어의 소리에 대한 처리).. 2015. 10.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