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읽기장애3

음운해독부진아동 - 어휘,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음운기억, 발달성 난독증 김미배, 배소영(2014). 음운해독부진아동의 낱말읽기능력과 예측변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9), 329-343. ① 발달의 지표 · 학령전기까지 아동들은 자신의 신체, 운동, 인지, 사회성, 언어를 발달시킴 · 언어 - 얼마나 많은 어휘를 이해하고 표현하는가 - 얼마나 긴 문장을 점차 복잡하게 사용하는가 - 일상대화에서 기본적인 언어구조를 갖추어 사용할 수 있는가 · 언어의 어려움은 학령기에 읽기 및 쓰기에 어려움으로 연결 ② 읽기, 쓰기 · 읽기, 쓰기 능력은 학습을 위한 기초능력이며 특히 읽기는 아동의 능력, 전략, 지식이 융합되어 나타나는 능력으로 의사소통의 수단이자 학습의 도구가 되는 중요한 능력 읽기 · 아동의 읽기는 인쇄물에 노출된 후 시작되어 인생전반에 걸쳐 꾸준히 발달 · 읽기는.. 2015. 9. 4.
학습장애 - 음운인식, 음운인식 영역, 한글, 단어재인, 음운과정 김길순 (2008). 학습장애아를 위한 음운인식 지도 방안. 학습장애연구, 5(2), 85-105. ① 음운인식 · 말을 이루고 있는 개별 소리와 소리 구조에 주의하는 능력 · 어떤 사람의 말이 문장에서 단어로, 단어에서 음절로, 음절에서 두음과 운모로, 음절에서 가장 작은 단위인 음소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이들을 조작할 수 있는 능력 · 구어, 구어를 근간으로 하여 형성되는 문어의 학습에 선행되어야 할 기능 · 초기 읽기와 철자 학습에 기초적이고 핵심적인 기능 (읽기능력, 쓰기능력과 밀접한 관련) · 음운인식 능력의 획득을 통해 말소리 정보와 글자 정보를 연결하여 자소-음소 대응 규칙을 쉽게 이해하게 되며, 글자 정보를 말소리 정보로 쉽게 전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아동의 머리 속에 있는 의미 정보와 연.. 2015. 8. 25.
읽기장애 - 음운규칙, 체계적 교수, 명시적 교수, 음운변동, 단어인지 김애화 외(2015). 체계적·명시적 음운규칙 교수가 읽기장애학생의 음운변동이 적용되는 단어인지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애연구, 12(1), 201-222. ① 한글 · 한글은 음절과 음절의 경계에서 음운변동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낱자-소리 대응관계로만으로 올바르게 발음할 수 없는 단어(불규칙 단어)가 상당수 · 한글은 1음절 글자의 경우 낱자-소리 대응관계가 투명한 표음문자의(규칙 단어)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2음절 이상의 단어일 경우에는 그 단어의 본래 형태를 밝혀 적도록 표기하는 표의주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음 - 철자법으로 모아쓰는 음절 단위와 말소리가 발음되는 음절 단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상당수 ② 파닉스 (단어가 가진 소리, 발음을 배우는 것) · 불규칙 단어를 읽을 때 어려움을 겪.. 2015. 8.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