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장애1 장애 - 발달과정, 비고츠키, 손상학, 뇌 허순자(2011). 비고츠기 “손상학 보완개념”에서 바라보는 장애의 발달 과정. 특수교육학연구, 45(4), 179-195. ① 비고츠키 · Vygotskij는 한 사람이 어떤 병력을 가지고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사람에게 이 병력이 나타나는지를 거론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함 - 결함(손상)이 인격발달의 전체적인 시스템 안에서 어떤 자리를 차지하는지를, 어떤 구조를 형성해 가는지를, 장애아가 어떻게 자신의 결함을 극복 내지 완화 하는지를 나타내 주기 때문 - 결함은 전 생애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며 병력의 과정은 인지가 성숙할 때까지 끝나지 않는다고 말함(아래 표 참조) 장기기관이 스스로 병력과 싸우는 것을 인지하는 것 두 종류의 증상들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 - 비장애아의 발달과.. 2014. 12.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