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초기아동기2

초기아동기 - 글씨쓰기, 철자, 단어쓰기, 문장쓰기 정동영 외(2017). 초기 아동기의 글씨쓰기와 철자 능력이 단어와 문장 쓰기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0(2), 39-57. ① 쓰기 · 자신의 생각을 글로 나타내어 다른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중요한 표현 수단/학습도구 · 글을 쓰기 위해서는 문자라는 상징기호를 빠르게 산출해내는 능력, 맞춤법에 맞게 글자를 풀어내는 능력, 필기구를 사용하는 운동능력 등 다양한 능력을 요구 ② 쓰기 요소 (표기, 글 생성) · 표기 - 언어적 표상을 문자 상징으로 바꾸는 것 - 글씨쓰기와 철자가 포함 · 글 생성 (작문, 쓰기 표현) -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것 - 자신의 생각을 단어, 문장, 글로 쓰는 것 포함 ③ 철자 · 전통적으로 받아쓰기와 같은 형태로 초등 저학년에서 집중적인 지도가 이루어.. 2017. 9. 29.
초기아동기 - 읽기이해, 글자판별, 단어재인, 읽기, 음운인식 정동영 외(2017). 초기 아동기의 읽기이해에서 글자판별과 단어재인의 역할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0(2), 243-260. ① 읽기 · 글을 읽고 의미를 이해하는 것으로 모든 학습의 토대 · 읽기 이해 - 단어 문장 및 텍스트의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 · 읽기 지도의 목표 - 높은 수준의 읽기 능력에 도달하여 글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이해하고 즐기게 하는 것 ② 읽기 관련 요인 · 낱자의 변별, 자소 및 음소의 대응 규칙에 대한 이해, 자모 체계의 원리 이해, 글자의 개념과 구조에 대한 이해, 단어의 개념 이해, 단어 재인 기술, 기억과 추리 기술, 독해 기술, 효율적 읽기를 위한 초인지적 기술 등 ③ 초기 아동기의 읽기 발달 · 글자판별 - 읽기 과정에서 최초의 단계 - 한 글자를 일련의 .. 2017. 9.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