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은, 김은경 (2010). Touchmath 원리와 직접교수를 적용한 수학지도가 자폐성 장애 학생의 덧셈·뺄셈 연산 수행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학연구, 45(2), 89-113

 

교과교육

 

· 교과교육이란 교육과정령에 의하여 특별히 지정된 교과를 지정된 시간 수만큼 이수하도록 하는 교육활동”, 교과로 지정한 것은 모든 교육 수혜자가 갖추어야 할 기본요건이 되는 내용을 의미

· 교과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배경

- 교육개혁운동: 미국(낙오학생방지법), 한국(교육과정 개정 작업)

- 통합교육 강화 경향: 일반교육과정의 틀 안에서의 참여가 증가

- 특수교육 책무성 증가: 교육의 성과 입증에 대한 요구(행동적 측면, 학업적 측면)

- 지역사회 및 삶의 양식 변화(정보통신기기의 활용, 여가의 활용, 직업생활의 영위 등)

· 일반 및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은 내용 구성의 기본 원리는 같지만 특수교육 요구학생의 특수성을 고려한 방법적인 측면(: 개별화 교육)에서는 차이가 있음

· 특수교과교육의 내용 또한 사회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기본 요건이라 할 수 있는 필수적 행동 및 생활양식이 되어야 한다는 것

· 기본적인 지식 및 기술 > 기초적인 지식과 기술

· 다양성이 보장된 기본적인 공통된 경험이 필요

 

개별화교육

 

· 특수 교과교육에서의 특수성과 관련된 방법적인 면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

· 학습자 특성이 독특하고 다양한 장애학생들을 위해서 각 장애특성 및 개개인의 학생특성에 맞는 교육방법, 교육내용, 교육자료를 활용하여 그들에게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

· 학교교육의 기회 부여에 만족하던 시대 교육 프로그램의 효율성, 교육성과의 타당성에 대해 논의하는 시기로 변화

· 교육의 질에 대한 책무성이 강조(책임감 있는 교육을 통해 교육적 기준을 성취할 수 있도록)

 

장애학생 교육의 목적

 

· 성인이 되어 사회로 전환해 나가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여러 가지 요소 중 하나가 기본적인 수학적 지식을 획득하는 것

- 수 개념 및 간단한 연산

 

수학교과

 

· 추상성, 계통성, 논리성, 실용성의 특징을 가짐

· 화폐, 시계읽기, 버스타기 등이 기초수학과 관련된 지식과 연관됨

 

 

자폐아동의 수학교과에서의 특징

 

· 자폐아동의 인지기능은 초기 연구 이후 시간이 지나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짐

· 추상성을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음

· 각각의 수를 기계적으로 습득하여 읽고 쓸 수는 있으나 그 숫자가 의미하고 있는 것을 이해하기 어려워하고, 연산영역에서도 기계적으로 덧셈과 뺄셈은 할 수 있을지 몰라도 연산의 원리를 이해하기 쉽지 않음

· 학습에서의 누적된 실패감, 자신감 상실은 수학교과를 회피하기 위해 문제행동을 일으킬 수 있으며, 자기자극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음

 

Touchmath

 

· 자폐성 장애 학생들의 시각적 특성을 강조한 수학 프로그램

· 추상적인 수에 대한 실제적 가치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음

· 기계적인 계산이 아닌 원리를 이해하며 익힐 수 있음

· Touchmath방법의 시각적 특성으로 인하여 학습할 때 안정감을 느낄 수 있음

· 구체물-반구체물-추상적 수준에서 진행

 

직접교수

 

· 장애학생들에게 해독, 읽기 이해, 수학의 기본 내용을 가르치는데 유용

· 직접교수는 구조화되어 있고 예측가능하며, 교사의 시범을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고, 학생의 반응에 대한 적절한 강화 및 지속적인 피드백이 주어지는 것

 

확인할 것

 

- 사전 훈련 단계 (구체적-반구체적-추상적)

- 5 (약속하기 유형 및 설명)

 

 

 

 

Special education, maguni40@hanmail.ne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