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는 수업자료를 만든다.

특수교육대상자에게 교수자료를 수정해야 하는 이유

by 40K40T 2025. 3. 24.
반응형

특수교육대상자에게 교수자료를 수정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과학적, 교육적, 법적 근거에 기반합니다.

 

1. 학습자의 개별적 특성과 필요 반영

특수교육대상자는 지적, 정서적, 신체적, 감각적 또는 의사소통 등 다양한 영역에서 특성을 보이므로, 일반적인 교수자료가 이들의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CEC(미국 특수교육협의회)**는 특수교육 교사가 교수자료 및 전략을 학생의 개별 특성에 맞게 선택하고 수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고 명시합니다​.
  • 학습자의 인지, 언어, 감각 처리 방식이 일반 학생과 다를 수 있으므로, 시각적 보조자료, 쉬운 언어, 반복 및 구조화된 지시 등이 필요합니다.

 

2. 포용적 교육 환경 조성

  • 교수자료를 수정함으로써 특수교육대상자가 통합학급 또는 일반 교육 환경에서 더 잘 참여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됩니다.
  • 이는 통합교육의 질적 실현을 위한 실천이며, 단순한 물리적 통합을 넘어 의미 있는 학습 참여를 보장합니다​.

 

3. 증거 기반 교수전략의 적용

  • 응용행동분석(ABA)에서는 학습자의 반응을 기반으로 강화, 점진적 접근(prompting), 자극변형(stimulus modification) 등을 적용해 교수자료를 수정함으로써 행동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 이는 교수자료가 학습자의 현재 기능 수준에 맞추어 과제를 더 접근 가능하게 조정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4. 법적·제도적 근거

  • 우리나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16조 및 관련 교육과정에서는 **개별화교육계획(IEP)**을 통해 학습자의 능력과 요구에 따라 적절한 교육 내용과 방법을 제공할 것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 이는 교수자료 또한 IEP에 맞추어 개별화·차별화된 자료로 수정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5. 학습효과 및 동기 향상

  •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자료를 제공할 때 인지적 과부하를 줄이고, 성공적인 경험을 통해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이는 결국 학습성과의 향상으로 이어지며, 장기적으로는 자립과 사회참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출처 목록:

 

1. 개별화 필요성과 교수전략 관련 출처

  •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CEC).
    • “Special Education Standard 3 & 4” – 개별 학습자 특성에 따라 전략 및 자료를 수정해야 함 명시.

 

2. 응용행동분석(ABA)의 실천적 근거

  • Cooper, J. O., Heron, T. E., & Heward, W. L. (2020). Applied Behavior Analysis, 3rd Edition, Global Edition.
    • 교수자료 수정은 자극변형(stimulus modification), 점진적 지도(prompting), 과제분석(task analysis) 등의 전략과 연결되어 있음.

 

3. 한국 특수교육법과 교육과정 방향

  •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편. 특수교육의 이해.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근거하여, IEP 및 교육과정 내 개별화 조정 필요성 강조.

 

4. 통합교육 실현 및 교육 참여

  • Batshaw, M., Roizen, N., & Pellegrino, L. (2019). Children with Disabilities, 8th Edition.
    • 교수자료 수정은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학생의 학습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언급됨.

 

5. 법적 권리와 IEP 기반 교수자료 조정

  • Siegel, L. M. (2023). The Complete IEP Guide: How to Advocate for Special Education Services for Your Child (11th Edition).
    • IEP에 따른 교수자료 수정의 법적 정당성과 구체적인 예시 제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