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중심측정2 학습장애 - 교육과정중심측정, 읽기이해 김동일 외(2017). 학습장애위헙군 진단·평가를 위한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 읽기이해검사 타당화 연구. 학습장애연구, 14(2), 1-20. ① 읽기이해 · 읽기의 궁극적인 목표는 읽기이해 · 읽기이해는 읽기자료를 읽고 의미하는 바가 뭉서인지를 알아가는 과정 · 음운인식, 해독, 유창성, 어휘 및 읽기 이해는 성공적인 읽기를 위한 필요 요소 과거 현재 해독 해독이상의 고차원적인 읽기관련 영역 - 언어지식, 추론, 텍스트와 관련한 경험 ② 읽기이해 하위 요소 사실적 이해 · 구체적인 내용이나 글의 주제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인 회상 · 글에서 제시하고 있는 구체적인 정보를 인식하는 능력 · 구체적인 사실을 확인하거나 요약하는 것 · 축어적 재인 및 회상 · 재조직(요약하기, 정보종합하기) 추.. 2017. 10. 5. 학습부진 - 과학교과, CBM, 진전도 모니터링 여승수(2015). 과학과 CBM의 측정학적 적합성: 진전도 모니터링의 활용과 과학교과 학습부진 학생 선별을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12(3), 19-42 ① 학습부진 학생 · 학업의 문제는 일반적인 교육적 지원만으로는 쉽게 해결되기 어려움 - 특별한 중재전략을 추가로 지원할 필요가 있음 - 필요한 중재전략은 무엇인가?, 무엇을 추가적으로 학생에게 제공할 수 있는가? ② 진전도 모니터링(progress monitoring) 전략 · 효과적인 중재전략을 선택, 효과성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대안적인 방법 · 진전도 - 기울기의 의미, 학업성취의 변화량을 시간의 변화량을 나눈 값 · 모니터링 - 일반적인 관찰보다는 좀 더 면밀하게 관찰한다는 의미 · 진전도를 모니터링한다. - 시간의 경과에 따른 학생들의 .. 2016. 3.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