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도중복장애2 중도중복장애 - 학습권, 수업반성 이숙정 (2017). 중도·중복장애학생 학습권 보장을 위한 독일 특수교사의 수업 반성에 대한 연구.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0(1), 73-100. ① 중도·중복장애학생과의 수업 · 자신의 ‘전문성’에 대해 스스로 의구심 · 수업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근거’내지 자신의 교수 행위에 대한 ‘정당성’이 미약함을 지각 ② 기초 · 포르네펠트의 ‘기초적 관계’ · 프뢸리히의 ‘기초적 자극’ · 브아이팅거와 피셔의 ‘기초적 활성화’ ③ 현실 ·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수업의 내용구성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담당교사는 ‘우연성’과 ‘자의성’에 의존하며, 교사 자신의 전문성, 철학, 교육적 상황, 선호도에 따라 임의적으로 수업을 구성 · 교사들은 자신의 수업내용이나 방식이 중도·중복장애학생 개개.. 2017. 10. 8. 중도중복장애 - AAC 활용 수업 함미애 외(2016). AAC 활용 수업에 대한 중도중복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9(4), 63-93. ① 의사소통의 어려움 · 인지, 언어, 신체적인 제한으로 구어 및 수신호 체계를 통한 의사소통 기술을 발달시키기 어려움 · 구어를 통한 의사소통의 결함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미래 사회의 독립된 성인으로 살아가는 데 부정적인 영향 ② AAC (보완대체 의사소통) · 구어로 의사소통하기 어려운 사람이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 ·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작용 촉진이 목적 ③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 실제의 개선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문서더미만을 만들어내는 전통적인 연구의 문제를 지적 · 실제 사회적 상황과 구성원들 간의 관계.. 2016. 12.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