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는 공부한다./논문 학술지

Vygotskij ‘손상학 보완개념’에서 바라보는 장애의 발달 과정

by 40K40T 2025. 6. 18.
반응형

장혜진. (2017). Vygotskij “손상학 보완개념”에서 바라보는 장애의 발달 과정. 특수아동교육연구, 19(4), 83–106.

비고츠키의 '손상학 보완개념'으로 본 장애의 의미와 발달

이 논문은 러시아 심리학자 비고츠키(Vygotskij)의 '손상학(Defectology)'과 '보완개념(compensation)'에 대한 해석을 통해 장애 아동의 발달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지를 조명한 연구이다. 비고츠키는 단순히 장애의 결함이나 부족함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손상과 환경적 상호작용, 사회문화적 보완 가능성에 주목했다. 이 논문은 기존의 결핍 중심 장애 이해에서 벗어나, 발달 가능성과 교육적 개입의 의미를 강조한다.

서론: 이론적 배경과 비고츠키의 손상학

1. 비고츠키 이론의 핵심

  • 비고츠키는 장애를 고정된 의학적 결함으로 보지 않고, 심리적 구조의 재구성과 기능적 대체의 가능성을 지닌 역동적인 과정으로 이해하였다.
  • 그는 손상을 단순한 결핍(defect)으로 보지 않고, 그 손상이 개인의 전체 발달에 어떤 방식으로 작용하는지를 맥락 속에서 분석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2. 손상과 발달의 관계

  • 장애(손상)는 단일한 문제가 아니라, 개인과 환경 간 상호작용의 과정에서 새로운 발달 경로를 창출하게 되는 요인이다.
  • 따라서 동일한 손상을 지닌 아동이라도 사회적 환경, 교육적 지원, 언어적 자극에 따라 전혀 다른 발달 양상을 보일 수 있음을 강조했다.

3. 보완(compensation)의 개념

  • 비고츠키가 말하는 보완은 단순히 결핍을 메우는 것이 아니라, 손상된 기능을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새로운 심리구조의 형성을 뜻한다.
  • 예: 시각장애 아동이 손상된 시각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청각과 촉각을 더욱 정교하게 발달시키는 것.
  • 보완은 교육과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계획적이고 목적 있는 개입을 통해 유도되어야 한다.

4. 손상학(defectology)의 교육적 의미

  • 손상학은 단순한 치료나 돌봄을 넘어, 장애아동의 사회적 통합, 기능 회복, 잠재력 개발을 목표로 하는 교육학이다.
  • 이는 '장애=발달불가능'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거부하고, 장애도 발달 가능성 안에서 교육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철학을 내포한다.

본문 요약

  1. 손상학과 특수교육의 연결

  • 비고츠키는 특수교육을 장애 아동이 사회에 참여하고 의미 있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발달의 지원체계로 간주했다.
  • 교육은 손상의 보완을 위한 도구이자, 새로운 심리기능의 조직을 촉진하는 사회적 과정이다.

2. 사회문화적 환경의 역할

  • 장애 아동의 발달은 개인 내적 조건만이 아니라 언어, 상호작용, 문화적 맥락에 따라 구성된다.
  • 언어는 특히 중요한 도구로, 사고와 자아 형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3. 교육적 개입의 방향

  • 단순히 '결핍된 기능 채우기'를 넘어서, 새로운 발달 경로를 설계하고 촉진하는 접근이 요구된다.
  • 보편교육 안에서 특수교육의 의미를 재정립해야 하며, 이는 통합교육의 철학과도 맞닿는다.

결론 및 시사점

장애는 고정된 결함이 아니라 사회적·심리적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상태이다.

손상학적 관점은 가능성 중심의 교육, 보완과 대체를 통한 성장, 장애 아동의 잠재력 발견을 지향한다.

이는 오늘날 통합교육, 포용교육, 개별화 교육계획(IEP) 등 다양한 실천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 #비고츠키이론
  • #손상학개념
  • #장애의발달과정
  • #보완개념교육
  • #사회문화적발달
  • #특수교육철학
  • #통합교육이론
  • #장애아동교육
  • #기능보완중재
  • #VygotskijDefectology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