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받침 연습1 학습장애 - 쓰기장애, 철자 교수, 겹받침 교수 김애화, 김의정(2015). 한글의 특성을 반영한 철자 교수가 쓰기장애학생의 겹받침 단어 철자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장애연구, 12(3), 43-67. ① 쓰기 · 듣기, 말하기, 읽기 능력을 종합적으로 필요로 하는 복잡한 영영 · 국내에서는 출현율이 읽기장애보다 높게 보고 ② 철자 발달 단계 낱자-소리 대응관계 문자-소리 규칙 · 단일 낱자-소리 대응관계 이상의 단위의 처리를 의미 · 낱자군과 그 낱자군의 소리 간의 관계를 알고, 이를 적용하여 철자함을 의미 · 예를 들어 cap / cape (silent e 패턴규칙) 형태처리 규칙 · 단어를 구성하는 형태소에 대한 인식을 의미 · 예를 들어 election / magician -> -tion / -cian - 발음이 같더라도 서로 다르게 철자될.. 2016. 3.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