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완대체의사소통1 지체중복장애 - Eye tracking, AAC 김경양 (2016). Eye tracking 기법을 적용한 AAC 중재가 지체중복 장애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9(4), 181-211. ① AAC · 구어에 어려움이 있어 의사소통이 제한된 경우에 이를 보완하고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 · 의사소통능력, 수업참여 행동, 문제 행동 감소 등에 효과 · AAC 사용자의 의사소통 또는 차례 주고받기와 대화 및 상호 교환 능력을 증진하는 것이 중요 ② 의사소통 발달 단계 · 각각의 단계는 의사소통 수단과 의도성을 축으로 구분 전의도적 단계 · 비상징적 방법과 반사적 행동(예: 배고프면 울기)를 사용하고 의도성을 갖기 이전 단계 초기 의도적 단계 · 비상징적 방법(예: 원하는 물건을 손으로 가리키기)로 소통하고 의도성을 갖는 단계 .. 2016. 12.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