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접교수2

학습장애 - 학습부진, 직접교수, 명시적 교수, DI, di 김민경, 박유정(2015). 국내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연구에 나타난 직접교수 중재의 특성 분석. 학습장애연구, 12(3), 173-195. ① 직접교수 (direct instruction, di) · 교사에 의해 주도되는 체계적인 인지 전략에 바탕을 둔 수업 · 그 외 다양한 정의 - 교수의 질과는 상관없이 교사에 의해 주도되는 모든 수업 형태 - 교사 효과 연구에서 효과적인 교사들에 의해 사용되는 교수적 절차 - 교사가 학생들에게 인지 전략을 가르칠 때에 사용하는 교수적 절차 - DISTAR(Direct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Arithmetic and Reading)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교수적 절차 - 교사가 강의 중심의 수업을 제공하고 학생들은 수동적.. 2016. 3. 14.
Touchmath 김상은, 김은경 (2010). Touchmath 원리와 직접교수를 적용한 수학지도가 자폐성 장애 학생의 덧셈·뺄셈 연산 수행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학연구, 45(2), 89-113 ① 교과교육 · 교과교육이란 “교육과정령에 의하여 특별히 지정된 교과를 지정된 시간 수만큼 이수하도록 하는 교육활동”, 교과로 지정한 것은 모든 교육 수혜자가 갖추어야 할 기본요건이 되는 내용을 의미 · 교과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배경 - 교육개혁운동: 미국(낙오학생방지법), 한국(교육과정 개정 작업) - 통합교육 강화 경향: 일반교육과정의 틀 안에서의 참여가 증가 - 특수교육 책무성 증가: 교육의 성과 입증에 대한 요구(행동적 측면, 학업적 측면) - 지역사회 및 삶의 양식 변화(정보통신기기의 활용, 여가의 활용, 직업.. 2014.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