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ECS2

자폐성 장애 -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 PECS, 긍정적 행동지원 한은선 외(2016).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행동분석·지원연구, 3(2), 17-41. ① 자폐성 장애 · 사회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적인 결함 · 소통의 어려움은 문제행동으로 표출 ②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 (PECS) · 의사표현기회를 확대시킬 수 있음 · 교사와 학생 간 신뢰가 쌓여 수업참여도 높아짐 · 선호물 파악 중요 ③ 긍정적 행동지원 (PBS) · 문제행동의 기능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개인의 독특한 사회적, 환경적, 문화적 배경에 적합한 종합적인 중재를 고안하는 문제해결 접근방법 · 문제행동 - 배경/선행사건 중재, 대체기술교수, 후속결과 중재 ④ 기능평가 · 일화기록, ABC 분석 활용 ⑤ 검사도구 ·.. 2017. 12. 19.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 상지연, 김은경 (2009).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 훈련이 자폐 유아의 자발적 사물요구하기 기능 습득과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유아특수교육, 9(2), 1-23. · 인간 → 사회적 동물 → 언어 및 비언어적 방식으로 타인과 메시지를 교환(의사소통) · 의사소통능력은 비언어적인 행동으로 발생하다가 언어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의 획득을 지도할 필요가 있음 · 5~6세까지의 음성언어의 습득의 유무는 이후 언어 발달의 예후와 밀접한 관련 ① 자폐 유아들의 의사소통 · 의사소통의 기초적인 기능인 사회적 상황에서 요구하기와 자발성의 결함 · 구어발달을 전혀 보이지 않거나 구어발달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구어를 사용한 대화↓ · 대명사 반전, 반향어를 보임 · 의사소통의 결함은.. 2014. 3. 27.
반응형